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4/08/26 21:43:31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561717379
Subject 칸예 웨스트, 언니네 이발관, 프랭크 오션 잡담.
지난 금요일은 칸예 웨스트의 '리스닝 파티'를 빙자한 근 4년 만의 콘서트가 화제가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저런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다가, 칸예 웨스트의 부인인 비앙카 센소리가 감격하는 것 같은 장면을 보면서 이런 저런 생각이 많이 들더라구요.

우리는 때때로, 예술가들의 아픔을 향유합니다. 그러니까, 예술가의 비감, 사건이든 정서는 어떤 변화를 불러옵니다. 그리고, 어떤 예술가들은 그런 감정들로부터 영감을 얻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주된 창작의 방식이 그런 슬픔과, 우울 같은 것인 예술가도 있습니다.

칸예 웨스트라는 뮤지션은 그런 점에서 그런 스타일의 예술가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농담삼아, 사고를 칠때마다 좋은 앨범이 나오기도 했었고, 본인의 조울증에 대한 이야기도 꽤 자주 얘기된 뮤지션이니까요.
칸예 웨스트의 공연을 유튜브 라이브로 보고, 오지 않는 잠을 포기하고 유튜브를 떠돌면서 이런 저런 공연 영상과 뮤직비디오를 보다가 이래저래 찾아듣다보니, 한 밴드와 한 솔로 가수에 대한 곡들로 이어지더라구요. 바로, '언니네 이발관'과 '프랭크 오션'이었습니다.

언니네 이발관과 프랭크 오션은 '슬픔'이라는 정서를 공유하는 뮤지션들이면서, 한 쪽은(언니네 이발관의 이석원) 은퇴선언 후 전업 작가로 전향했고, (새로운 곡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긴 했다고 들었습니다만) 다른 쪽은 마지막 앨범이 8년 전인, 사실상 음악 활동이 멈춰버린 뮤지션들입니다. 저는 이 사실이 묘하게.... 양가적인 감정이 들더라구요.

예전에, 그런 얘기를 들었던 거 같습니다. 아마 윤종신씨였던 거 같은데, '더 이상 슬픈 이별 노래를 쓰기 어렵다는 생각을 했다.'였던가요? 결혼도 하고, 아이도 있는 삶을 살고 있다보니, 본인의 트레이드 마크인 '슬픈 이별 노래'를 만들고 부르는 게 쉽지 않다는 이야기를 했던 게 기억이 났습니다. 본인의 감정과 생각과, 본인에게 일어난 일들을 어떤 방식으로 승화시키는 게 예술가들의 작업이라면, 언니네 이발관, 더 정확하게는 프론트맨 이석원과 프랭크 오션이라는 가수는 그 감정과, 생각과, 사건들은 대체로 '비감'에 기반해왔던 예술가들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더 이상 작업을 하지 않는 이 뮤지션들에게 아쉬움을 느끼면서도, 이 사람들이 어쩌면, 아주 어쩌면, 본인의 삶 속에서 그런 슬픔이라는 감정을 떨쳐내는 과정에 있는 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그래서, 어떤 치유의 과정을 겪으면서, 더 이상 표출하지 않기 위해서, 혹은 표출하지 않아도 되기에 음악을 멈춘 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아름답고 어두운 뒤틀린 환상'에 대해 노래하고, 누군가는 '우리는 영원히 살 것'이라고 노래하는, 다채롭고 풍성한 음악들이 우리의 삶을 훨씬 풍요롭게 한다는 데는 이견의 여지가 없을 것 같습니다. 슬픔과 우울을 다루는 예술가도 분명 있고, 또, 어떤 의미로는 다른 사람의 슬픔과 우울을 위로하는, 혹은 그저 옆에 있어주는 것 만으로도 역할을 다하는 예술도 분명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그 어떤 우울과 비감이 사람을 잡아먹는 성격의 것은 아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게 예술가든, 감상자든요.

* 배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5-07-29 08:4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人在江湖身不由己
24/08/26 22:46
수정 아이콘
[아름다운 것]은 음반 발매 시점 기준으로 [아름다웠던 것]이지만 저에겐 계속 [아름다운 것]으로 남아 있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24/08/27 01:50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가끔씩보면 약간의 우울과 비감. 어두운 밤은 창작자에게 오랜 친구같기도 합니다. 어떤면에서 헝그리정신과도 맞닿아있는거같아요. 앨범이 대박나서 배가 부르면 이제 결혼도 하고 자식도 낳고 정신없이 행복하게 살잖아요? 그러면 어느덧 자주보던 오랜친구들도 일년에 한번 보게될까말까… 그렇게 점점 멀어지지요.  
마일스데이비스
24/08/27 03:57
수정 아이콘
자신의 이야기와 감정을 음악으로 쓰는 사람은 할말이 없어지는 순간 음악이 더이상 나오기 쉽지 않습니다
전문 작사가들은 사실상 이야기꾼이죠..
백년후 당신에게
24/08/27 07:43
수정 아이콘
악동뮤지션의 이찬혁도 그런이야기를 했죠. 그 때의 나와는 다르기에 예전처럼 노래가 나올 수 없다 라는.. 자신의 경험이던, 자신의 생각이던 계속 그때를 바라는 것 은 너무 욕심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리니시아
24/08/27 09:07
수정 아이콘
때에 맞는 그 무언가에 충실한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느낍니다.
좋아하는 아티스트가 항상 그자리에 같은 모습으로 있길 바라지만 결국 아티스트도 사람이거든요. 항상 같을순 없겠죠.
문득 아래 링크 글이 생각나네요.

https://m.ppomppu.co.kr/new/bbs_view.php?id=gameforum&no=365950
24/08/27 17:20
수정 아이콘
nell의 Walk Through Me, Healing Process 앨범의 감성이 다시는 오지 않는 것이 당연함을 알면서도 너무나 아쉽단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추천게시판을 재가동합니다. [6] 노틸러스 23/06/01 32939
3920 [잡담] 똥꼬는 얼마나 소중한가.. [25] 언뜻 유재석1511 24/08/15 1511
3919 칸예 웨스트, 언니네 이발관, 프랭크 오션 잡담. [6] aDayInTheLife1477 24/08/26 1477
3918 악보 지옥.......ㅠㅠ [12] 포졸작곡가1454 24/08/23 1454
3917 [서평]《손쉬운 해결책》 - 아직은 자기계발 심리학이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엔 미숙하다 [39] 계층방정1390 24/08/19 1390
3916 데스메탈계의 거장 일러스트레이터 : 댄 시그레이브 (Dan Seagrave) (스압) [8] 요하네스버그1361 24/08/19 1361
3915 대리운전, 투잡 or 알바로서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소소한 팁 [44] 청운지몽15242 24/08/14 15242
3914 지리산은 왜 智異山으로 쓰고 지리산으로 읽을까? - 상고한어의 흔적 [16] 계층방정14716 24/08/11 14716
3913 유럽사는 딱 3가지만 알면 됩니다 | 세상에서 가장 짧은 세계사 [32] Fig.114773 24/08/06 14773
3912 외박 복귀 D-4시간, 기차 타고 가면서 써보는 잡썰 [36] No.99 AaronJudge14297 24/08/04 14297
3911 MP3의 추억. iAUDIO G3 세척? 수리?기 [28] 우스타15468 24/07/28 15468
3910 뉴욕타임스 6.24. 일자 기사 번역(지하 미생물은 지구를 변화시킨다.) [9] 오후2시12258 24/07/28 12258
3909 내가 알고싶지 않은 바보들의 소식까지 알아야되는 세상 [33] 고무닦이12664 24/07/26 12664
3908 영어 원서를 읽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몇가지 팁 [46] 마구스12079 24/07/23 12079
3907 양극성 장애(조울증)을 치료하며 위로가 되었던 노래들 - 上편 [14] 욱상이11771 24/07/22 11771
3906 안락사에 대하여(부제: 요양원 방문 진료를 다녀본 경험을 바탕으로) [64] 아기호랑이10652 24/07/20 10652
3905 인류 역사의 99%를 알아보자: 서울에 200명도 안살던 시절 [12] 식별16142 24/07/16 16142
3904 ‘삼체’를 소설로 읽어야 하는 이유 [36] Schol16008 24/07/14 16008
3903 아이를 LG트윈스의 팬으로 만든 죄책감에 대하여 [43] likepa15048 24/07/10 15048
3902 2024년 방콕 광역권 지도 업데이트 [13] 쿠릭14787 24/07/04 14787
3901 장롱면허 레이 운전 분투기(3시간) [82] 사람되고싶다16887 24/06/16 16887
3900 [에세이] 군대에서 광신자가 되는 방법 [9] 두괴즐17721 24/07/03 17721
3899 전통주 회사 전직자의 주관적인 전통주 추천 [69] Fig.118049 24/06/11 180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