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7/08/21 22:04:51
Name 신불해
Subject 원말명초 이야기 (3) 다모클레스의 칼 上


tpB3woR.jpg





 어색하기 짝이 없는 동행은 제국의 중심지 대도에 도착하고서야 끝이 났다. 추방자였던 소년이 이제 원나라의 황제가 된 것이다. 그래야 했다.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았다. 엘 테무르가 그렇게 되지 않게 한 것이다.



 죽은 문종도, 부타시리 황후도, 심지어 엘 테무르 본인도 토곤 테무르가 황제가 되는 것에 찬성했다. 수도에는 '그' 토곤 테무르가 도착했고 그 외의 후계자가 될법한 황족이라고 해봐야 어리디 어린 엘 투구스 뿐이며, 그나마도 어머니인 부타시리 황후가 등극을 거부하고 있다. 



 토곤 테무르의 즉위는 이제 당연한 일이었으며, 남은 것은 오직 의례적인 절차뿐이었다. 문제는 바로 그 의례적인 절차에 있었다.



 황제라는 것은, 고대 정치 논리와 명분의 결정판인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아무리 어떤 사람이 ‘사실상 황제’ 라고 해도, 실제로 황제로 공인받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엔 크나큰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황제에 올라 마땅한 사람이라면 즉위식을 거행하고 조상 선조들에게 이를 알리며 천하 만백성에게 이를 선포해야 했다. 



 엘 테무르가 막은 것이 바로 그 부분이었다. 



 '좋다. 토곤 테무르가 문종의 뒤를 잇는 ‘후계자’ 가 되는 것 까지는 자신이 막을 수 없다고 치자. 하지만 황제 등극을 온갖 구실을 붙여가며 질질 끄는 건 내가 충분히 가능하다.' 



 이유 따윈 가져다 붙이면 그만이다. 전근대 왕조에서 천문과 점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한 일로, 일식과 같은 기이한 천문현상이나 좋지 못한 점괘는 정권의 권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엘 테무르가 손을 본 부분은, 바로 이쪽이었다. 천문을 보는 태사(太史)들은 토곤 테무르의 즉위를 미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곤 테무르를 즉위시킬 수는 없다. 그가 즉위하면, 천하가 어지러워질 것이다.” (1)



 이 사람이 군주가 되면, 나라가 망하게 된다. 그렇게까지 말하는데 무리해서 즉위 시킬 수도 없는 일이다. 



 결국 어쨌거나 원나라가 토곤 테무르를 끝으로 멸망하게 된 것을 보면 예언이 진짜로 맞았다고 할 수도 있겠다. 아니면, 이 기록 자체가 원나라의 뒤를 이은 명나라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한, 명나라 사관들의 프레임이 담긴 기록이라고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드러난 텍스트 내에서만 분석해보자면, 엘 테무르가 태사들을 뒤에서 조종했다고 보는 편이 합리적이 아닐까. 그에게는 별로 어려울 일도 아니었을 것이다.



 금방 끝나게 될 줄 알았던 토곤 테무르의 즉위는 하루, 이틀, 일주일, 그리고 몇 달에 걸쳐 늦어지게 되었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제국에서 시급한 처리를 요구하는 일이 적었을 리 없다. 이를 검토하고 결정할 황제가 없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이 당시의 내정을 처리한 사람은 새삼 놀라울 것도 없지만 바로 엘 테무르였다. 시급한 처리를 요구하는 일이 올라오면 엘 테무르가 먼저 살펴보고 결론을 내리며, 이를 부타시리 황후에게 보내 결제를 받는 형식을 취했던 것이다. ‘황제가 될’ 토곤 테무르가 있었지만, 실질적으로든 혹은 눈에 보이는 겉으로든 제국의 주인은 바로 엘 테무르였다.



 토곤 테무르의 즉위를 막는 명분적인 요소가 태사의 점괘라면, 감정적인 요인은 따로 있었다. 바로 감히 함부로 입 밖에 꺼내어 떠들기에도 불경스러운 일이지마는, 당시 민간에서는 이런 소문이 돌고 있었던 것이다.



 “토곤 테무르는, 명종 쿠살라의 친 아들이 아니다.”



 이게 대체 무슨 소리일까? 



 토곤 테무르가 변방을 떠돌며 고생하고, 후계자로 인정받은 것은 오직 명종의 자식이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친아들이 아니라니?



 황계(皇系)를 이어 받을 혈통의 결합은 명확, 분명하게 이뤄지는 법이었다. 그래야 쓸데없는 추문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황후를 뽑는 절차는 철두철미하기 그지없고, 첩에 불과한 여인이라 해도 후궁에 들어온 순간 철저한 관리 대상이 된다. 고대부터 궁전의 일에 괜히 부정적인 면을 감수해서라도 환관을 쓰는 것이 아니었다. 궁중의 일을 돕는 사람들의 남성성을 거세하여 스캔들을 차단하기 위함이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토곤 테무르를 낳은 명종과 그 어머니 매래적(罕祿魯)의 결합은 그런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에, 여러 뒷말이 무성하게 되었다.
 


 젊은 시절 탄압을 피해 막북(漠北)으로 도망쳤던 명종 쿠살라는 그곳에서 북방의 미녀를 만나 품에 안았다. 그렇게 해서 토곤 테무르를 낳았다. 하지만 아마도 매래적은 이미 유부녀 이거나, 혹은 아이를 임신한 과부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야, 시끄러운 소문이 나는 것도 무리는 아닐 테다.



 심지어 어떤 소문에선 토곤 테무르가 명종의 아들이 아닌 영국공(瀛國公)의 아들이라는 말도 있었다. 영국공이 누구인가 하면 원나라에 항복한 송나라 황제 공종(恭宗)의 아들이었다. 즉 영국공이 토번으로 가서 티베트 불교를 배우고 미녀 한 명을 임신시켰는데, 영국공과 친밀했던 명종이 부탁하여 그 미녀를 취하였으니 그녀가 낳은 아들이 토곤 테무르라는 것이다. 이 말대로라면, 토곤 테무르는 칭기즈 칸의 후예가 아닌 송태조 조광윤의 후예가 되는 기막힌 상황이 되어버린다. (2)



 이런 말들이 단순한 이야깃거리에 불과할 수 있다. 요즘으로 치면 루머, 찌라시에 불과할 법한 이야기라 굳이 소개하는 게 적절치 못할 수도 있긴 하다. 하지만 당대에 이런 소문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고, 어린 토곤 테무르에게 있어 출생에 얽힌 온갖 소문들은 분명 큰 상처가 되었을 것이다.



 그가 혹독한 어린 시절을 겪으면서도 감내할 수 있었던 정신적인 버팀목은 자신의 명종의 아들이라는 점 이었을 것이다. 본래라면 마땅히 황제가 되어야 했을 명종. 그리고 비록 추방자일지언정, 명종의 아들로서 자신이야말로 적법한 황위 계승자라는 자부심. 하지만 자신이 명종의 친아들이 아니라면, 지금까지의 삶은 무엇을 위한 삶이었을까?



 이런 소문을 내고 부추긴 것이 엘 테무르였을 수 있다. 혹은 엘 테무르와 죽은 문종이 손을 잡고 정권을 안정시키기 위해 떠벌리고 다닌 이야기였을 수 있다. 진위 여부는 둘째치고, 조정의 신료들부터 일개 무지렁이 백성들까지도 토곤 테무르의 ‘진짜’ 아버지에 대해 떠들어대고 다녔으니 그 위신에 큰 금이 갔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황제 등극이 좌절되고, 사람들은 서로 모여 무성한 뒷이야기를 수군거리다 자신을 보면 부리나케 손사래 치며 물러나기 바쁘다. 그들을 보며 토곤 테무르가 느꼈을 좌절감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엘 테무르의 능욕은 끝이 없었다.



 엘 테무르는 토곤 테무르의 옹립을 막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어린 딸 타나실리(荅納失里)를 토곤 테무르의 황후로 밀어 넣었다. 타나실리는 1320년, 혹은 1321년 생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명확하진 않다. (3) 아무튼 이런 설에 따르면 당시엔 10대 초반의 어린 꼬마에 불과했을 것이다. 굳이 말할 필요도 없는 이야기지만 당연히 철저한 정략결혼이었던 셈이다.



 자신의 아버지를 죽이고, 자신의 등극을 막은 증오스러운 숙적의 딸과 억지로 결혼하게 된 토곤 테무르였다. 하물며 그녀가 일개 후궁도 아니고 황후로 들어오게 된다는 것은 코미디에 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자신이 누구 때문에 아직도 황제가 되지 못하고 있는데, 제위 등극보다 황후 후보자를 먼저 얻게 된단 말인가?



 사정이 이러니 타나실리가 눈에 들어올 리 만무했다. 그저 주위의 시선을 고려해 드러내놓고 미워하지 않는 것만도 고작이었을 것이다. 그런 토곤 테무르의 눈에 들어온 한 여인이 있었다. 바로 고려 출신 공녀(貢女) 기(奇) 씨가 그녀였다.



PHUgfyO.png
기황후(奇皇后)





 고려가 몽골에 복속된 원 간섭기엔 수많은 고려 여인이 공녀라는 명목으로 끌려가게 되었다. 고려사에 언급된 공녀의 공식적인 숫자는 176명에 달한다. 하지만 실제로 끌려간 숫자는 기록의 4~5배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4) 



 마냥 생각하기엔, 다른 나라의 요구에 어쩔 수 없이 넘겨주는 여자들이라면 신분이 천한 하층민을 골라 보낼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았다. 인간에게 ‘등급’ 이 있던 그 시대에서, 주는 쪽 입장에서는 ‘좋지 않은 것’ 을 주려고 하겠지만 요구하는 쪽 입장에선 무조건 ‘상등품’ 을 원하는 것이 당연한 이치였던 것이다. 기실 원나라에 끌려가는 공녀 중 많은 사람들은 오히려 지체 있는 집안에서 고생을 모르고 자랐던 어린 소녀들이었다.



 이를테면 충렬왕(忠烈王) 시기 공신인 홍규(洪奎)의 일화가 있다. 홍규는 무신 정권의 마지막 실력자인 임유무(林惟茂)를 타도하는데 공을 세운 국가의 최고 원로 공신이었다. 하지만 심지어 그런 홍규마저 자신의 딸이 공녀로 끌려가는 것을 막을 순 없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딸을 어떻게 지켜야 할까? 고민하던 홍규는 딸의 머리를 밀고 비구니로 만들었다. 하지만 일의 진상은 곧 발각되고 말았고, 속임수를 쓰려던 홍규는 끌려와 모진 고문을 당했다. 국가의 공신이라느니, 원로라느니 하는 것은 몽골제국의 채찍 앞에서는 모두 무력하기 짝이 없는 이름에 불과했던 것이다. 



 수난을 당한 것은 그 뿐만이 아니다. 홍규가 그토록 지키려고 했던 그 어린 딸 역시 끌려왔고, 쇠 채찍을 맞으며 만신창이가 되었다. 딸은 온 몸이 넝마가 되는 처참한 꼴을 당하면서도 끝까지 소리쳤다. 



 “내가 혼자서 한 일이에요. 아버지는 관계가 없어요.” 



 그러나 부녀에게 내리쳐지는 매서운 채찍질은 도무지 멈추지를 않았다. 보다 못한 나라의 재상들이 와서 “홍규는 국가의 최고 원로 공신인데 이럴 수는 없다.” 며 만류했다. 그 뿐만이 아니다. 삼별초 토벌과 일본 원정에 2차례 참여했던, 당시엔 병이 들어 집에 누워 있던 당대의 전설적인 무신 김방경(金方慶)도 늙은 몸을 이끌고 나와 “홍규에 대한 처벌을 중단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하지만 냉혹한 몽골의 철퇴 앞에 이런 몸부림은 모두 속수무책이었을 뿐이다.





MUWVDkB.jpg




 결국 홍규는 모든 가산을 적몰(籍沒) 당하고 바닷가 섬으로 유폐되었으며, 피투성이가 된 홍규의 딸은 원나라 사신 아쿠타이(阿古大)에게 끌려간다. (5) 그녀의 뒷 운명에 대해 남아 있는 기록은 없지만, 그 주인이 된 아쿠타이는 훗날 원나라 정치계의 내부 다툼에서 밀려 살해당했다는 기록이 있다. 아마도 그녀는 이때 말려들어 같이 죽음을 맡이했을 것이다. 혹은 심한 고문을 당한 몸으로 천릿길을 가다가 길에서 객사했을 수도 있다. 



 몽골에 대한 원한이 골수에 사무쳤을 홍규의 후손들은, 훗날 공민왕이 반원 정치를 펼칠 때 가장 강력한 지지세력이 되었다. 나라의 원로마저도 이러했을 정도니 다른 사람들은 속수무책이었다. 고려 말의 대유학자 이색(李穡)의 아버지인 이곡(李穀)의 말에 따르면,



 “(공녀) 선발에 들고나면 부모와 친척들이 함께 모여서 밤낮으로 울음소리가 끊이지 않습니다. 도성의 문에서 보낼 때에는 옷자락을 붙잡고 쓰러지기도 하고 길을 막고 울부짖으며 슬프고 원통해서 괴로워합니다. 우물에 몸을 던져 죽는 자도 있고 스스로 목을 매는 자도 있으며 근심과 걱정으로 기절하는 자도 있고 피눈물을 쏟아 눈이 멀어버리는 자도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이루 다 기록할 수 없습니다.” (6)



 라고 할 정도니, 그 참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런데 혹은 일부러 집안의 여자를 바치는 공녀로 경우도 있었다. 가문의 성공을 위해 공녀를 바쳐 그 연줄로 원나라에 끈을 만들어 두려는 것이다. 하지만 강제적이건 자발적이건, 그 동기가 어찌 되었건 당사자인 공녀들에겐 가혹한 운명이 기다리고 있었다.



 수많은 궁녀들 사이에서 ‘황은’ 을 입어 신분상승을 하게 될 확률은 1등 짜리 복권에 당첨될 확률에 비유할 수 있다. 대다수는 나이가 들어 쓸모없게 될 때까지 궁궐에서 일만 하며 모든 세월을 버릴 뿐이었다. 그럴 경우 어쩌다가 궁궐에서 내보내는 경우도 있지만, 그럴 경우에도 환관에게 시집을 가 자식조차 보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7) 고국에서야 고관대작들의 꽃다운 딸 들이지, 사천 리 밖에 대도에서는 외국의 천한 계집이라고 무시나 안 당하면 좋을 무수리 신세였다.



 그러나 드물게, 기적을 이루는 공녀들도 있었다.



 기 씨 소녀는 행주 기 씨 집안의 딸로, 아버지는 기자오(奇子敖)라는 사람이었다. 기자오 본인은 조정에서 큰 벼슬을 하지 못 했지만, 그렇다고 본시 하잘 것 없는 집안까진 아니었다. 물론 원로 공신마저도 공녀를 숨겼다가 고문을 당하던 시대였으니 그런 것은 의미가 없었다. 고국에서라면 부족할 것 없었을 그녀는 시대를 잘 못 만난 죄로 수천 리 타향으로 어린 나이에 떠나야만 했다.



 그런데 여기서 그녀는 고용보(高龍普)라는 인물을 만나게 된다. 고용보는 원사에서는 투멘데르(禿滿迭兒)라고 기록된 인물로, 본래 고려에서 석탄을 캐던 하층민에 불과한 인물이었다. (8) 고려의 탄광부 고용보가 어떤 운명을 통해 원나라 휘정원사(徽政院使) 투멘데르가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여간, 이 고용보는 소녀를 궁녀로 삼으면서 차를 바치는 일을 주관 케 했다. 토곤 테무르에게 차를 바치던 기 씨 소녀는 이윽고 총애를 받는 행운을 얻게 되었다.



 어린 시절부터 숱한 고생을 겪었던 토곤 테무르는, 이 이역만리의 소녀를 특별히 아꼈다. 그 역시 어린 시절엔 고려의 대청도에서 살았던 몸이었다. 혹은 동병상련의 감정을 느꼈을 수도 있다. 밖에서는 물론이거니와 집에 들어와서도 원수의 딸이 부인으로 있으니 그로써는 달리 편할 날이 없었을 토곤 테무르다. 기 씨 같은 여인이 있으면 관심이 갈 수 밖에 없었다. 



 “영리하고 교활해, 특별한 총애를 입었다.” (9)



 원사에서는 기 씨 소녀의 성품에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똑같은 지혜를 의미하는 말도 할(黠)이라는 표현은 ‘약았다’ 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보통의 황후들에게 의례적으로 ‘덕이 있고 현명하다’ 고 하는 표현과는 분명히 다르다. 



 아무래도 여간내기가 아닌 그녀는 토곤 테무르의 마음속 응어리를 잘 파악하고 총애를 받았던 듯하다. 어린 나이에 가족과 생이별하여 타향에 홀로 끌려온 10대 소녀로서는 대단히 능동적인 삶의 태도였다. 물론, 그녀로서도 필사적이었을 것이다. 기 씨 소녀는 틈이 나면 여효경(女孝經) 및 역사와 유교 경전을 탐독했다고 한다. (10) 이 외국의 땅에 그녀는 혼자였다. 고국으로 말하자면 그녀를 저버린지 오래였다. 살아남기 위해선 영리해야만 했다.



 물론 토곤 테무르의 정실인 타나실리로서는 황제가 자신을 거들떠도 안 보고 기 씨 소녀만 만나러 다니는 것이 기분 좋았을 리 없었을 것이다. 화가 치밀어 오를 때마다 타나실리는 기 씨 소녀를 찾아가 채찍질을 하면서 모욕했다. 고려 출신 공녀 따위와 엘 테무르의 친 딸이 비교가 될 리 없었다. 매서운 채찍질을 당하면서도 그녀로서는 참는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었다.



 공녀 정도가 아니라 설사 황제라고 엘 테무르에겐 대항하지 못 했을 것이다. “못할 것이 없었다(肆意無忌)” (11) 라는 것이 당시 그 권력에 대한 평이었다. 엘 테무르가 무소불위의 권력으로 행했던 여러 일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데, 대체로 이런 식이었다.



 먼저 그의 집에서 잔치가 열린다면, 단 하루에 말 13마리를 잡는 경우도 있었다. 말이라는 동물은 요즘 시대에서도 마리 당 수백만 원을 호가하는 동물이다. 물론 잡아먹기 위해 도축하는 말이 비싼 경주마 같은 가격은 아닐 테지만, 엘 테무르쯤 되는 인물이 손님에게 접대하기 위해 내놓는 말이 형편없은 몰골의 말도 아닐 것이다.



 그런데 조정의 최고 실력자쯤 되는 인물이라면 크게 잔치를 벌일 만한 일은 무수하게 많을 것이다. 그때마다 저 정도의 사치를 부린다고 생각해보면, 이건 제아무리 중국 황제라고 해도 쉽게 부리기 힘든 사치라고 할만 했다.



 색을 밝히는 일에서도 그는 거리낌이 없었다. 원나라 말기엔 황제들이 빠르게 죽고 바뀌었기 때문에, 몇 대 전의 황제인 태정제 예순테무르의 황비들은 아직도 아름다움과 젊음을 유지하고 있었다. 엘 테무르는 이런 황비들을 내키는 대로 마음껏 취했다. 황제의 여자였던 비들을 일개 신하가 겁탈했다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믿기 힘들 정도의 불경함이지만 사서에서는 분명히 그렇게 기록하고 있다.



 심지어 아예 종실(宗室)에서만 사십여 명을 뽑아가 모두 자신의 첩으로 두고, 데리고 놀다가 지겨우면 삼일 만에 내쫓기도 했다. 그날그날 내키는 대로 여자를 데려와 첩으로 삼다 보니 나중에는 엘 테무르 본인마저도 누가 누군지 분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한다. 하루는 연회 중에 구석에 있는 부인 한 명이 그의 눈에 들어왔다. 



 마음이 혹한 엘 테무르는 그녀도 데리고 가려고 “저 여자는 누구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이런 대답이 돌아왔다.



 “태사의 집안사람입니다(此太師家人也).” (12)



 엘 테무르가 태사의 벼슬이었으니, 바로 본인의 집사람이라는 이야기다. 자기 집 여자를 보고도 누구인지 물을 정도였으니, 촌극도 실로 대단한 촌극이 아닐 수 없다.



 엘 테무르는 아무래도 색정광이었던듯하다. 비정상적으로 섹스에 탐닉했다. 평소에도 심했지만, 토곤 테무르가 나타나고 나서는 이것이 더 심해졌다. 토곤 테무르가 권력을 얻으면 자신을 죽이려고 할 것은 뻔한 일이다. 물론 지금은 본인의 위세가 훨씬 강하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안감을 감출 수는 없었다. 



 토곤 테무르의 황제 즉위를 막고, 혹여나 즉위할 것을 고려해 미리 자신의 딸을 결혼시켜 외척까지 되고서도 뭐가 그렇게 불안했는지는 모를 일이다. 엘 테무르는 불안감을 덜하기 위해서인지, 그야말로 미친 사람처럼 성관계를 맺었다. 소돔과 고모라가 따로 없는 실로 광인의 난교였다.



 결국 이런 무절제한 생활이 원인이 되어 그는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사서에서는 엘 테무르의 죽음에 대해 기록하기를,



“몸이 파리해지더니 피오줌을 싸지르며 죽었다. (體羸溺血而薨)” (13)
  


라며 냉담할 정도로 적나라하게 사인을 적어 두었다. 한때 제국 전역을 좌지우지했던, 원나라 말기 최강의 권신으로서는 너무나도 비참한 죽음이었다.



 이 죽음은 무언가 석연치 않다. 물론 엘 테무르가 색을 밝히고 무도하긴 했을 것이다. 하지만 토곤 테무르가 고려에서 반란을 꾸민다는 ‘소문’ 만 듣고도 그를 소환하며 자신의 파벌인 충혜왕을 바로 퇴위시켜버렸던 것이 엘 테무르였다. 그런 그가 정치적 위기에 봉착한 절체절명의 순간에, 단지 처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모든 것을 잊고 죽을 정도로 섹스에만 빠지다 죽다니?



 어쩌면 무언가 비화가 있을 수도 있지만, 우리로서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어찌 되었건 엘 테무르가 죽게 되면서 1333년 6월, 마침내 토곤 테무르는 황제에 즉위할 수 있었다. 그가 바로 혜종(惠宗) 이며, 순제(順帝)이자, 중국을 장악한 제국으로서 원나라의 마지막 황제였다. 
 











(1) 원사 순제본기(順帝本紀) 권 38 
(2) 부대외집(符臺外集) 中
(3) 원사 후비전에는 그녀가 1335년이 죽게 되는 이야기는 나오지만, 생년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4) 장동익, 「원에 진출한 고려인」 『고려후기외교사연구』, 일조각, 1997
(5) 고려사 홍규전
(6) 고려사 이곡전
(7) 위와 같다.
(8) 일반적으로 원사에서 언급되는 ‘투멘데르’ 와 고려사의‘고용보’ 는 동일인물로 여겨진다. 다만, 동일인물이 아니라는 주장도 없지는 않다. 권용철, 『고려인 환관 고용보와 대원제국 휘정원사 투멘데르의 관계에 소고』 사학연구 제117호, 2015.3
(9) 원사 후비전, “后性穎黠,日見寵幸”
(10)  위와 같다.
(11)  원사 열전 25
(12)  위와 같다
(13)  위와 같다





* 라벤더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11-22 11:39)
* 관리사유 :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7/08/21 22:27
수정 아이콘
하지원 등장이요
산타아저씨
17/08/21 22:30
수정 아이콘
와우.. 잘 읽고 갑니다.
뻐꾸기둘
17/08/21 22:32
수정 아이콘
매번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루크레티아
17/08/21 22:45
수정 아이콘
원사 등장이 너무 절묘합니다..
전립선
17/08/21 23:54
수정 아이콘
제가 확언하건대 이 글이 원말명초를 다룬 글 중에서 4번째로 재밌는 글입니다.
드러나다
17/08/22 08:55
수정 아이콘
1 2 3 위를 묻지 않을수 없네요.
전립선
17/08/22 11:14
수정 아이콘
신조협려 사조영웅전 의천도룡기네요.
세츠나
17/08/22 19:04
수정 아이콘
이건 생각못했네요...
신불해
17/08/22 23:15
수정 아이콘
사실 사조영웅전, 신조협려는 원말명초가 아닌 송원시대라는게 함정...
스웨이드
17/08/22 10:22
수정 아이콘
읽을때마다 뒷내용이 기대가되네요 몰아서 봐야하나 ㅠㅠ
조말론
17/08/22 19:15
수정 아이콘
좋다. 정말 좋은 글입니다. 고전과 형식글의 틀과 온라인 페이지의 절묘한 조화에 감탄하고 다음 글을 기다립니다.
17/08/23 12:56
수정 아이콘
추천
17/08/23 16:06
수정 아이콘
추천~
17/08/29 07:56
수정 아이콘
잘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864 원말명초 이야기 (5) 대의멸친(大義滅親) [21] 신불해8988 17/08/23 8988
2863 원말명초 이야기 (4) 다모클레스의 칼 下 [25] 신불해8763 17/08/22 8763
2862 원말명초 이야기 (3) 다모클레스의 칼 上 [14] 신불해8738 17/08/21 8738
2861 원말명초 이야기 (2) 황제 시해범 [22] 신불해9934 17/08/20 9934
2860 원말명초 이야기 (1) 시대의 끝, 시대의 시작 [26] 신불해12037 17/08/19 12037
2859 웃기는 놈이네 [22] CoMbI COLa14922 17/08/19 14922
2858 피부과 전문의가 풀어보는 탈모 이야기 [122] Pathetique35413 17/08/10 35413
2857 한글 마춤뻡 쉽개 왜우는 법 [82] 파츠29008 17/08/04 29008
2856 세계를 정복한 최강의 제국, 여기에 맞서던 지상 최대의 장벽 [168] 신불해53329 17/07/26 53329
2855 흡연은 때와 장소를 가려서 [93] 타네시마 포푸라20222 17/07/24 20222
2854 필통의 죽음 [27] 새님14529 17/07/18 14529
2853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163] Pathetique28141 17/07/04 28141
2852 "백만이 죽건, 천만이 죽건, 오천만이 죽건 오늘도 계속 굴러간다." [59] 신불해26124 17/06/29 26124
2851 염색체XY여성의 비밀(닥터하우스: 가장 완벽한 여성은 실은 남자였다) [41] 카랑카24205 17/06/25 24205
2850 [공포] 군대에서의 제 경험담을 풀어봅니다 [65] 윌모어24283 17/06/19 24283
2849 삼국통일전쟁 - 1. 일백일십삼만 대군 [51] 눈시H15521 17/06/18 15521
2848 고기의 모든 것, 구이학 개론 #1 [62] BibGourmand18162 17/06/13 18162
2847 병원은 왜 그곳에 있을까? [32] 토니토니쵸파16513 17/06/08 16513
2846 알파고가 울린 여자 [64] 마스터충달29810 17/06/03 29810
2845 정몽주 "피눈물을 흘리며, 신이 하늘에 묻겠습니다." [37] 신불해21006 17/05/23 21006
2844 항생제의 역사 [73] 솔빈50918 17/05/02 50918
2843 컴쫌알이 해드리는 조립컴퓨터 견적 (2017.05) [104] 이슬먹고살죠30621 17/04/28 30621
2842 제가 돌아다닌 한국 (사진 64장) [288] 파츠23918 17/04/10 239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