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3 15:56:31
Name 호비브라운
Subject [질문] 이명증과 커널형 이어폰의 상관 관계?
며칠 전부터 자기 전에 왼쪽 귀에서 미세하게 삐하는 느낌으로 소음이 들리길래, 어디서 나는 잡소린가 하고 넘겨짚었습니다. 며칠 간 이어지니 이게 이명이라는 걸 알게 되더라고요.

다른 일에 신경 쓰면 전혀 신경 안 쓰이는데 가만히 있을 때 괜스레 자꾸 이것만 생각하게 되고 곤혹스럽더라고요.



더불어 원인을 스스로 생각해봤는데, 일단 처음은 노화(30대 중반입니다)도 가능성이 가장 클 거 같고, 그 다음으로 생각나는 건 이어폰이더라고요. 커널형 노캔 이어폰인 에어팟 프로 시리즈를 수년째 쭉 쓰고 있습니다. 음량은 작게 듣는 건 아니지만 지나치게 크게 듣는 건 아닙니다. 그래도 생각보다 최소 출퇴근하는 1~2시간부터 업무나 작업을 하는 동안 수시간 끼는 편입니다.

이 과정에서 조금 안 좋은 영향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혹시 커널형 이어폰 사용과 이명증의 상관관계를 경험한 분이 계신지 궁금합니다!

(얼른 병원 가서 어떤 진단이라도 받아보려고 합니다. 이명증 특성상 원인이나 문제점이 뭔지 알지못할 수도 있다고 해서 걱정이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Plus
25/02/03 16:17
수정 아이콘
커널이건 오픈이건 이어폰은 귀 건강에 안좋습니다. 물론 오직 이어폰 때문에 이명이 생긴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구요. 병원 가도 딱히 뭐 없어요. 스트레스 받지 말고 이어폰 듣지 말라고 합니다. 그래도 증상 말하고 약 주는 거 먹으면 효과는 좀 있는 것 같아요.
25/02/03 16:17
수정 아이콘
수시간 끼고 있었다면 영향이 반드시 있었을거 같습니다. 챗지피티는 이렇게 말해주네요.

---------------------------------------------------------------------------

커널형 이어폰(인이어 이어폰) 사용과 이명증(이명, tinnitus)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주요 요점이 있습니다.

1. 커널형 이어폰과 소음성 난청
커널형 이어폰은 귀 안 깊숙이 삽입되어 소리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므로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큼.
소음 차단으로 인해 더 작은 볼륨으로도 선명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음.
하지만 볼륨을 높여 들을 경우, 고막과 내이(달팽이관) 가까이에서 강한 소리가 전달되어 소음성 난청(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2. 소음성 난청과 이명의 연관성
소음성 난청이 발생하면 달팽이관의 유모세포 손상으로 인해 이명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짐.
특히, 고주파(높은 음역대)의 소리를 반복해서 듣는 경우 유모세포 손상이 가속화될 수 있음.
난청 초기에는 자각하기 어렵지만, 이명이 먼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3. 커널형 이어폰 사용 시 이명 발생 위험 증가 요인
장시간 사용: 장시간(예: 하루 2시간 이상) 사용 시 귀 피로도가 증가하고 청각 신경에 부담이 커짐.
고음량(85dB 이상) 청취: WHO(세계보건기구)는 85dB 이상에서 장시간 노출될 경우 난청 위험이 증가한다고 경고함.
귀 건강 상태: 기존에 귀 질환이 있거나, 스트레스·수면 부족 등으로 신경이 예민한 경우 이명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음.
4. 이명을 예방하는 올바른 커널형 이어폰 사용법
✅ 볼륨을 60% 이하로 유지 (WHO 권장: 최대 60dB, 60분 이하 사용)
✅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 사용 자제 (지하철·버스 등에서 볼륨을 올리는 습관 주의)
✅ 적절한 휴식 (한 시간 사용 후 최소 5~10분 귀를 쉬게 하기)
✅ 귀 건강 체크 (이명 증상이 있으면 즉시 청력 검사 및 이비인후과 상담)

결론
커널형 이어폰 자체가 이명을 유발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잘못된 사용 습관(고음량·장시간 사용) 이 지속되면 소음성 난청을 일으켜 이명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적절한 볼륨과 사용 시간 조절이 필수적입니다.
Fullhope
25/02/03 16:33
수정 아이콘
저도 이명으로 병원 갔더니, 선생님이 신경안정제 주면서 마음 편하게 먹고, 스트레스 받지 말고, 공기 좋고 조용한데 가서 쉬는 게 제일 좋다 라고 말씀하시길래 포기했습니다. 치료가 안된다고 합니다. 초기 증상이시면 귀와 머리, 얼굴에 마사지하는 것은 긴 시간은 아니여도 전 꽤 효과가 있었습니다. 밑져야 본전이라고 유튜브 보고 한번 해보세요.
25/02/03 17:47
수정 아이콘
이명으로 오랫동안 고생했고 약도 2년 정도 먹은 사람입니다.
의사가 이명 치료는 그냥 뇌가 익숙질 때까지 안정시켜주는 치료라고 하더군요.
저같은 경우는 의사샘이 그냥 하라는 대로 꾸준히 약먹고 조심했더니 "덜" 들리게 되어 그럭저럭 살만 합니다.
귀는 망가지면 복구가 안되니 의사 처방 받으시고 그대로 따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5/02/03 18:32
수정 아이콘
저도 이명... 이거나 이명 비슷한 증상은 있는거 같아요, 병원가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명 진단을 해줄거 같긴함...
근데 저도 커널 이어폰을 자주 쓰기 시작하면서 증상이 좀 시작된거 같기도 합니다. 물론 그 시점 즈음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기도 했고요
큰 상관관계는 없더라도 귀 건강에는 무조건 안좋은건 맞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집 pc 에서 이어폰 쓸때는 예전 아이폰 줄 이어폰 쓰고 커널 조금씩 줄이고 있어요
호비브라운
25/02/04 00:54
수정 아이콘
청력테스트 해주시고, 왼쪽 귀가 일정 주파수대에 비교적 낮아서 발생한다고 하더라고요.
스테로이드 처방받고 일단 이어폰 사용을 하지 말라고 하더라고요
25/02/03 18:36
수정 아이콘
병원은 가보셔야겠지만
이어폰은 의심스러우면 당장 사용하지 말아야죠. 설마 이게 원인일까? 괜찮지 않을까? 하시지 마시고요. 며칠 안된 증상이면 일단 쉬어야 합니다.
이명이 원래 그렇습니다. 원인 못 찾는 경우도 많고 오래되면 병원에서도 딱히 방법이 없더라고요.
아케르나르
25/02/03 20: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작년 9월부터 이명이 며칠씩 지속되는 증상이 수회 있었습니다. 버즈2프로를 재작년부터 써왔는데 찰스님 덧글 내용처럼 하루 두시간 이상 쓰거나 볼륨을 크게 해서 쓴 적도 없는데 생겼더라고요. 이후로 이어폰 사용을 줄이다가 아예 안 쓴 지 한 달이 넘었는데 이후로 이명이 없습니다. 아무래도 영향이 없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호비브라운
25/02/04 00:53
수정 아이콘
아예 이어폰을 안 쓰시는 건가요? 워낙 음악을 좋아해서, 처방약 먹는 동안은 참겠지만, 그 뒤는 어떻게 할는지 모르겠네요
아케르나르
25/02/04 01: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냥 집에서 컴퓨터에 달린 스피커로 듣거나 폰으로 듣습니다. 나름 실험을 해봤었는데 이어폰 때문이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기록한 걸 찾아보니 작년 9월이 이니라 6월부터 이명이 나타났는데, 이어폰 사용을 중단했다가 다시 사용하면 며칠 뒤에 이명이 따라왔던 거 같네요.
찰스님 덧글에도 있지만 저도 수면장애나 스트레스 요소가 있어서 이어폰 때문이라고 100프로 확신하기는 어렵긴 합니다. 일단 병원도 가보시고(저는 지금은 멀쩡하기도 하고 좀 무서워서 못 갔네요) 이것 저것 시도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ArcanumToss
25/02/04 23:07
수정 아이콘
위에 해 주신 설명들에 한 가지를 덧붙이자면 이명은 귀에서 나는 듯한 소리에 주의를 기울이면 정착이 됩니다.
실제로 소음이 나는 것이 아니지만 소리가 나는 것처럼 뇌가 인식하고 되려 소리를 합성해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명 치료에 필요한 중요한 요소가 '귀에 들리는 듯한 소리', '귀에서 나는 듯한 소리'에 무신경해 지는 것입니다.
그러면 뇌가 합성해내던 소리의 합성이 멈춰서 소리가 사라집니다.
그러니 신경을 끄세요.
호비브라운
25/02/05 14:38
수정 아이콘
네 주변 소음도 신경을 기울이면 저 잘 들리는 것처럼 이명도 비슷한 메커니즘이라는 게 이해가 됐습니다. 생각해보니 이명 현상이라는 게 과거에서부터 있었는데, 무신경하게 모르다가 어떤 시점에 깨달았던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조용해지면 자꾸 들리고 더 잘 들리는 것 같아 신경쓰이는 것도 있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581 [질문] 레딧 어플 깔앗는데 핫한 게시물만 볼 수 있나요 [2] Alfine1433 25/02/04 1433
179580 [질문] 갤버즈 FE 어떤가요??? [13] 스트롱제로1570 25/02/04 1570
179579 [질문] 31개월 애기가 흥얼거리는 노래를 찾습니다!! [6] 윈터1953 25/02/04 1953
179577 [질문] 폰 바꿨는데 유심만 끼우면 데이터 터져야 하지 않나요? [7] 싸구려신사1521 25/02/04 1521
179576 [질문] 자산0 월소득 1억 어떻게 해야할까요? [31] EnzZ2178 25/02/04 2178
179575 [질문] 무도짤 - 못난이도 받아주는구나 어디일까요? [1] 마르틴 에덴646 25/02/04 646
179574 [질문] 파일을 여는 '기본 앱'을 변경설정해도 재부팅하면 초기화됩니다. qwertyy373 25/02/04 373
179573 [질문] 이런류의 자동화는 어떤식으로 접근해야 하나요? [5] 스핔스핔762 25/02/04 762
179572 [질문] 기준시가 확인하려면 어디로 들어가야 하나요? [4] 44년신혼2년684 25/02/04 684
179571 [질문] 카톡 오픈채팅방 문자 숫자 카운팅만 없앨 수 있나요? [11] 보로미어1017 25/02/04 1017
179570 [질문] 이동식 스마트티비 IPTV 시청질문 [1] 출근하기싫다아653 25/02/04 653
179569 [질문] 거실 tv 와 방에 있는 데스크탑 연결하려고 합니다 [2] BlueSKY--935 25/02/04 935
179568 [질문] 군대나 학교처럼 다양한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곳 없을까요? (20대) [37] 티타늄3010 25/02/04 3010
179567 [질문] 체중 감량 시 아침에 미숫가루 대신 프로틴도 괜찮을까요? [12] 쉬군2771 25/02/03 2771
179566 [질문] 일반인이 투자에서 능력범위를 가져갈 수 있을까요? [7] 깃털달린뱀2472 25/02/03 2472
179565 [질문] 마트에 있는 카드나오는 게임기 아시는분 계실까요? [5] EnzZ2026 25/02/03 2026
179564 [질문] 비알레띠 모카포트 뭐를 사면 될까요? [16] 장마의이름2013 25/02/03 2013
179563 [질문] 이명증과 커널형 이어폰의 상관 관계? [12] 호비브라운1530 25/02/03 1530
179562 [질문] 손톱 관련 질문 드립니다. [5] 집에보내줘944 25/02/03 944
179561 [질문] 방송 나는 솔로 질문입니다 [8] 종이컵1384 25/02/03 1384
179560 [질문] 갤25 케이스 질문입니다. [4] 서낙도1045 25/02/03 1045
179559 [질문] 아이패드 구매 질문입니다. [9] FallingInLuV806 25/02/03 806
179558 [질문] 아이폰 문자 필터링 관련 잉차잉차378 25/02/03 3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