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05 02:34
회생제동이 연비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어차피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해야 하는 타이밍에 브레이크제동 대신 회생제동으로 전력을 세이브하는 개념으로 알고 있는데요.
전방에 아무것도 없을때는 타력주행을 하는게 낫겠죠.
22/11/05 09:22
보통 타력주행으로 속도가 서서히 줄어드는것 이상의 제동력이 필요할때 회생제동을 하죠.
회생제동을 조절할수 있는 차량의 경우, 저는 일반적인 도로에서는 내연기관차 타력주행 수준으로 회생제동을 약화시키고(현기차 기준 0~1단계?) 고갯길 내리막 같은 도로에서는 회생제동 단계를 크게 올립니다(현기차 기준 2~3단계) 조절할수 없는 차량의 경우(예를 들면 제가 모는 아반떼 하이브리드라거나...)는 어차피 차량이 알아서 회생제동 여부를 조절하기 때문에 일반 운전자가 신경쓸만한 일은 아니고...
22/11/05 09:48
전기차 오너입장에서 회생제동은 그냥 브레이크 대신 정차거리 조금 더 길게 잡아서 엑셀 떼면서 브레이크 대신 쓰는 편입니다.
원페달 드라이빙이 편하거든요
22/11/05 09:48
조금 다른 얘기일 순 있는데
제 개인적인 경험으론 1.6가솔린 차량인데 고속도로에서 90정속주행보다 100-80 왔다갔다하는 펄스앤 그라이드 주행이 연비가 더 잘나오더군요 엑셀을 밟지않는 퓨얼컷 시간이 길수록 연비가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