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9/02 19:31
1. 체중을 (근육을) 늘리려면 먹어야죠
2. 하체 근육량이 상체에 비해 많기떄문에 맞는 말입니다. 근데 일단 재미가 있어야 하니 본인이 원하는 3분할 하세요 3. 전자가 고전적 방식, 후자가 요즘? 많이 나오는 RIR/RPE 개념 비슷한데, 저는 마인드가 약해서 그냥 조지는걸 좋아합니다...
22/09/02 20:23
보디빌딩에 관심이 없으신데 상체 미관이 목적이라는 건 좀 모순적이긴 합니다만..
그냥 3분할 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3분할을 일주일에 2타임 돌리는 게 잘 맞으시면 상관이 없는데, 일반인들에게는 오버트레이닝일 가능성이 꽤 높습니다. 특히 원래 마른 체구였던 분이면 더 그럴 거 같아요. 오버트레이닝이면 안 큽니다. 그냥 하루 근력 운동하고 하루 쉬고(또는 유산소하고) 해서 일주일에 3일 정도 볼륨과 강도를 섞어서 하시는 게 근비대에는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제가 주6일운동에서 일하기 시작하면서 피로가 쌓이는 거 같고, 신경계도 피로가 쌓이는 거 같아서 하루씩 줄여서 현재 주3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히려 주5일 할 때보다 전반적인 바디 컨디션은 더 좋은 거 같아요.
22/09/02 22:13
아 모순적인데.. 그냥 보여지는 부분 커지고싶다 이런 욕구입니다
주 6일 운동을 하고있고.. 근육통에 바디컨디션이 참 안좋은데요 운동볼륨이 많아야된다해서 꾹참고 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에 3일이 더 근비대에 좋을수 있다니 엄청 솔깃하네요ㅠ
22/09/02 22:34
말씀하신 게 보디빌딩입니다.
지금 주6일로 근육에 피로가 쌓여있다면, 하루씩 운동을 줄이면서 바디컨디션을 찾아보세요. 제 생각엔 매스 키우려면 주6일 45분보다 주3일 1시간이 나을 거 같습니다. 아, 그리고 한 가지 괜히 참견하자면.. 인바디는 한 동안 찍지 않으시는 게 좋아보입니다. 현재 스펙이면 그냥 말라 보일 텐데, 인바디 수치 보면서 운동하면 거기에 얽매여서(어? 근육량이 줄었네. 지방량이 너무 올랐네.) 근성장을 놓칠 수 있습니다. 눈바디에 의존하시면서 많이 드시면서 적당히 운동하세요~
22/09/02 20:48
식단은 언제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에너지, 운동량, 강도를 직접 겪어보고 그걸 버텨낼 정도로 먹는 식으로 짜면 좋아서... 운동 계획, 식단 계획 이전에 운동량 점검, 컨디션 점검해보세요. 그럼 저절로 잘하게 됩니다.
역삼각형 상체 피지크형 몸을 원하시는 것 같은데 하체 꼭 하셔야합니다. 하체 보조운동은 안하더라도 (근육 선명도, 결이 좋아집니다) 고중량 다뤄서 대퇴,둔근 절대 사이즈를 키워야 허리가 얇아보이고 역삼각형 몸이 더 도드라져서 상체가 커보입니다. 거의 제가 아는 피지크 선수들은 다 이런식으로 훈련합니다. 하체가 힘들고 싫으시면 불륨보다 스트렝스 트레이닝 위주로 일단 해보세요. 그런데 하체하다보면 펌핑감 좋고 아드레날린 많이 분비되어서 흔한 헬스인들처럼 하체 운동도 좋아하게 될겁니다. 되려 상체는 죄다 어깨 개입되서 어깨 부담 때문에 걱정이 먼저거든요. 조지듯이 하는건 진짜 예전 헬스인들이 심하게 조져서 적당히 하라는건데 중급자만 되어도 실패지점은 가끔 이용하는게 더 발전 빠르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그런데 상체 실패지점을 남발하면 부상, 회복이 문제라 적당히하는게 좋긴하죠.
22/09/02 22:18
하체가 싫은게.. 이상하게 스쿼트/레그프레스를 하면 허리 무릎이 안좋고 레그익스/레그컬 주로 하다보니 재미가 없는것도 있는거 같습니다
스트렝스식으로 무게를 많이 올리고 싶은데... 무릎걱정에 상체는 많이올려서 하는데 (8~12회 가능무게) 하체는 비교적 가볍게 하고 있었네요 (20~30회)ㅠ
22/09/02 22:24
무릎 문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높은 확률로 고관절 자체의 유연성 부족으로 고관절 근육이 쓰이지 못하고 무릎에 무게가 실려서일겁니다. 일단 고관절 유연성 확보는 웨이트를 안해도 편안한 일상을 위해서 하시는게 좋으니 좋은 동작들 찾아보셔서 스트레칭해주세요. 그리고 하체 운동 자세 문제일 확률도 있습니다만 레그 익스텐션은 잘못된 기구 세팅을 하면 무릎이 아플 수 있는데 정작 이쪽은 세팅 잘하셔서 괜찮으시면 스쿼트, 레그프래스때 문제면 고관절 유연성 문제일 확률이 커보입니다.
22/09/02 21:08
1. 일어나서 30분 뒤 운동이면, 물 마시고, 음식물 섭취는 가능한 피하세요.
고강도 근력 운동 시 사용되는 포도당은 글리코겐형태로 저장되는데, 저장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운동 전 음식물 섭취는 오히려 운동에 방해됩니다. 운동 종료 후 가능한 빠르게 음식물 섭취하거나 식사대용 보충제를 드세요.
22/09/02 23:30
1. 공복이 제일 좋다고 봅니다
2. 하체 아예 안 넣어도 무방 3. 초보에게 실패지점은 실패지점이 아닙니다 그냥 무지성으로 달리셔도 무방 (자세 유지 되는 선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