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6/20 17:56
작년에 기존 백신으로도 충분하다고 해서 개발 안하고 있다는 뉴스를 본 것으로 기억합니다.
실제로 충분하잖아요? 선진국들 중에 동아시아 몇 나라 빼고는 이제 마스크도 안 쓰지 않나요?
22/06/20 17:57
제약분야와 아주 짧게 같이 일해봤던 경험으로 말씀드립니다
제가 말한 것의 오류는 다른 분들이 지적하고 수정 해주실겁니다 님 질문과 반대로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코로나 백신은 왜 다른 백신보다 빨리 나왔는가 예전처럼 백신을 만든다면 코로나가 2020년 나왔다고 할때 '빨라야' 올해 나왔을겁니다 백신 부작용 실험으로 부작용을 줄이는 수정을 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백신이 출시되는데 3-5년 잡아야 합니다 그런데 코로나 백신은 예외적인 상황이라는 이유로 그 부작용 실험이라는 절차를 빼버리고 나왔습니다 그래서 알게모르게 백신 부작용에 시달렸거나 시달리는 분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수정판이 나온다면 그건 백신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의 백신으로 나올 것이고 아마도 지금도 조금씩 수정하면서 나오고 있을겁니다 큰틀에서 본다면 예방효과는 기존의 것으로 충분하다고 볼겁니다 그렇다면 신경써야할 부분은 백신 부작용 수정입니다 지금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백신 부작용 수정이라고 보시면 될겁니다 그게 수정되면 오미크론도 가능한 백신으로 나올거라고 예상해봅니다
22/06/20 18:06
오미크론 대응 업데이트를 해봤는데 막상 업데이트 전/후 예방효과가 크게 상승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면 편하죠.
그렇다면 굳이 시간/돈 들여서 업데이트 버전을 내놓을 필요가 없는거고, 현재 버전으로도 적당한 예방효과가 있긴 하니까 그대로 유지해서 쓰는거죠. 특히 오미크론의 전파 추이를 보면 오미크론 대응 업데이트 버전이 기존 버전 대비 10~20% 정도 예방효과가 높아진다고 한들 속도가 워낙 빨라서 크게 이득볼만한 상황도 아니었구요.
22/06/20 19:11
상대적으로 지금 관심이 줄어들어서 한국에 보도가 안되고 있는지 아님 질문자분이 못보신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실제로 업데이트된 백신이 임상실험중이고 모더나측에서는 실험결과 오미크론에 좀 더 효과적이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월초에 이미 보도가 나왔어요.
미 cnn https://amp.cnn.com/cnn/2022/06/08/health/moderna-omicron-booster-results/index.html 로이터 재팬 https://jp.reuters.com/article/health-coronavirus-vaccines-moderna-idJPKBN2NP29A
22/06/21 10:36
빠르다는것도 상대적인 개념이지 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처럼 하루 아침에 되는 것이 아닙니다. 개발기간이 짧은 것이지 임상기간은 똑같습니다. 법률상 새로 버전업 만들었으면 모든 임상 절차를 다시 밟아야해요. 이게 빨라도 2~3년은 걸리죠. 처음에 나왔을때는 긴급한 상황이었기에 이 절차를 상당히 뛰어넘고 진행한 것이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