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6/18 14:12
대한비만학회의 경우 중국, 일본과 다르게 기존의 다소 보수적인 BMI 기준을 그대로 적용중이다. 기존에는 BMI가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3은 정상, 23~25이면 과체중, 25∼30은 경도비만, 30∼35는 중등도비만, 35 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구분했었으나, 2018년 비만진료지침에서 단계별 용어가 새롭게 변경되어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2.9는 정상, 23 ~ 24.9는 비만 전 단계, 25∼29.9는 '1단계 비만', 30∼34.9는 '2단계 비만', 35이상이면 '3단계 비만'으로 구분하며 이전에 사용하던 용어에 혼란을 주지 않기 위해 비만 전 단계는 과체중으로, 3단계 비만은 고도 비만으로 대체하여 부를 수 있다.
다만 평균적인 인식 자체는 여전히 이 것과 거리가 멀며, 지나치게 엄격한 기준을 사유로 정계 및 학계에서 꾸준히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있는 중이다. 특히 인바디 수치의 보급으로 인해 골격근량과 체지방률로 몸을 판단하는 풍조가 이미 널리 자리잡았기에 사실상 유명무실한 수준.
22/06/18 14:13
23부터 과체중이라니 세상에나..........
한국 기준 자체가 좀 이상하긴 하군요. 제가 외국에 사는지라 모르고 있었습니다-_-;
22/06/18 14:14
위키펌인데 참고로 외국은 25까지 정상 체중입니다. 우리나라 BMI는 지나치게 엄격하여 비판받는 상황인데다 최근에는 인바디 측정 기술로 인하여 BMI는 유명무실하죠. 체지방률이 적고 골격근량이 높으면 BMI가 높아도 오히려 건강한 신체라고 하니까요. 글쓴이도 인바디 검사를 하시는게 오히려 어떨까요?
22/06/18 14:12
어라 bmi 국제규격상으로는 남녀 공통일텐데요? 체중 * (신장)²요렇게요.
bmi만으로 보면 글쓰신분도 아내분도 정상체중입니다. 경도비만(과체중)은 제가 알기로 국제표준은 25부터라고 알고있어요.
22/06/18 15:17
(수정됨) 써주신걸로 직접 계산해보니 시오냥님 BMI는 23.1 아내분 BMI는 22.1이 나오네요. 23을 기준으로 정상과 과체중으로 나누어서 써주신 것과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으로 보이네요.
BMI가 간단하게 비만의 정도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기는 하나 직접적인 체성분에 대한 정보가 없다보니 한계가 있는게 사실입니다. 허리둘레, 인바디 등의 자료를 종합해서 생각하는게 맞고 BMI가 0.1 정도 높고 낮고는 개인에게 있어서 임상적으로 엄청 중요한 차이는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22/06/18 16:43
Bmi는 아니지만
가정시간에 배운 기준으로 남자는 (키-100)×0.9이 정상체중 이므로 님은 과체중입니다 여성분은 키-100 이기 때문에 정상체중입니다 지금시대에 적용하면 기준이 이상하지만 예전엔 이게 맞았고 요샌 체지방 근육량 등 세분화 해서 보죠.
22/06/18 19:32
사람의 몸무게는 키의 제곱과 비례하지않기때문에 생기는 문제라고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키가크고 키가 클 수록 bmi가 높게나오는 경향이 있거든요 이를 보완하기위한 키의 2.5제곱으로 계산하는 식이 있습니다(부피이므로 세제곱을 이용하는 식도있지만 이도 한계를 갖고있다고 하더라고요) 아래 New bmi를 참조하세요 (New formula: BMI = 1.3*weight(kg)/height(m)^2.5 = 5734*weight(lb)/height(in)^2.5) https://people.maths.ox.ac.uk/trefethen/bmi.html
22/06/18 20:07
(수정됨) 전 예전부터 왜 BMI공식에서 키의 제곱으로 나누는지 이해가 안되었거든요
왜냐하면 길이의 3제곱에 부피나 질량이 비례하기 때문이지요.. 이 질문이 뜬김에 좀 찾아봤는데 폰데랄 지수(PI)가있네요. 몸무게/(키^3) BMI는 키의 제곱으로 나누기때문에 정상 체형이더라도 키가 큰사람은 키가 작은사람에 비해 BMI가 크게 나온다고 합니다. 저는 어차피 지방/근육을 구분하지 못하는 지수라면 PI가 BMI보다 더 나은 지표 인것 같습니다만 왜 BMI가 널리 알려졌는지는 다른 능력자분이 설명해주시길 기대해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