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6/15 22:59
최소한 미국금리가 우리 금리에 붙으면 안올릴 수가 없어서...
미국이 멈추면 멈출겁니다...역전당하면 더 노답이라 이건 어쩔수가 없어서요...
22/06/15 23:01
사실 정석적으로 생각하면 말씀하신 게 정답이긴 한데....
미국이 감당못하고 계속 올릴 경우 한국이 그걸 계속 쫒아갈 수 있을까 하면 전 한국경제 체력이 과연 그걸 감당할 수 있을까 의심스럽다는 입장이거든요. 저도 확신은 없긴 합니다만....
22/06/15 23:05
역전당하고 나서 그걸 감당하는거와 역전 안당하고 올리는게 낫냐에서 저울질 하겠죠 뭐...
근데 역전당하는게 더 문제라면...이런 상황에선 선택의 여지가 없죠...만약 역전당한거와 아닌거 사이에서 저울질이 가능한 정도의 문제라면 거기선 둘 중 하나를 고를거고요...
22/06/15 23:11
한꺼번에 댓글이 달려서 여기에만 답니다만, 세 분 다 감사합니다. 뭐 사실 답이 없는 문제긴 한데 역시나 그럴수밖에 없는것 같네요.
근데 이러다 진짜 과부하오면 어찌될지가 더 무섭긴 합니다;;;
22/06/16 00:57
안녕하세요.
경제를 잘 모르는 경린이가 질문드립니다. 혹시 한국이 미국보다 금리가 낮아질 경우 생길 일에 대해 몇가지만 좀 알 수 있을까요?
22/06/16 02:00
증시 대규모 외화 유출로 원화약세, 물가상승 등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만
저는 역대급 긴축이 예상되는 미국 금리인상 속도를 따라가지는 못할걸로 예상하네요
22/06/16 07:55
올해 하반기 혹은 내년 상반기쯤엔 금리역전 될거같습니다.
미국은 인플레8퍼 한국은 4퍼여서... 금리역전이 뭐 처음있던 일도 아니고 생각만큼 외화유출 잘 안되요
22/06/16 09:06
한미 금리가 역전이 된적이 없는 것도 아니고 역전까지는 용납이 될 수 있지만 크게 벌어지지는 못합니다. 결국 어느정도 맞춰가야하는건 맞습니다.
적금은 지금 들거면 변동금리가 얼마나 자주 반영되는지 어떤 기준 금리를 베이스로 쓰는지 가산 금리가 몇인지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본인이 금리 상승은 실시적이고 장기적으로 1년 이상 지나고 나면 결국 저금리로 회귀할거라고 생각하시면 지금은 오히려 주식/채권 으로 가는게 맞습니다. 저는 여기에 원자재까지 껴서 자산배분형으로 가는게 맞다고 생각하고 3년이상 투자시 적금 이상의 수익율은 나올거라고 생각합니다. 귀찮은게 싫으시면 자산배분형 펀드들이 많으니 배분율만 어느정도 정하시고 거기에 맞는 펀드에 넣어놓고 기다리시면 되고 조금더 귀찮은걸 감수하시려면 S&P, 코스피, 원자재(원유,목재,곡식 등), 채권형 ETF 어느정도 나눠서 사고 들고 계시면 됩니다. + 달러는 지금이라도 좀 사서 가지고 있는게 좋습니다.
22/06/16 13:39
아니 자고 일어나서 일하다가 잠깐 왔더니 댓글이....
모두들 감사드립니다. 업무중이라 일일히 댓글달기는 어려울 것 같고 말씀 감사드립니다~ +딱히 제가 주식이나 투자를 하는 건 아닙니다만 언제까지 가려나 싶어서 질문드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