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6/09 16:45
미군은 기름이 들어가는 장비와 무기를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작전 준비와 작전 후 발생된 폐기물, 폐유 중 일부를 수십년간 주둔했던 기지 내에 버려왔습니다. 미군 기지는 한국전쟁 이후 매우 많았으나 현재는 많이 줄었습니다. 뭘 어떻게 처리한다 등등의 기준이 있지만, 그 기준에 해당 안되는건 그냥 처리하는거죠. 그냥 관행적인 겁니다. 또 미군 기지는 미군에게는 생활의 터전이라기보다는 작전 기지인거죠. 미군 및 가족 주거지는 당연히 오염시키지 않았습니다. 우리의 법규가 모자랐던 것도 분명 있고, 타국의 기지라 타국 정부와 협조하는 것이 미흡했던 것도 있습니다. 우리가 환경에 대해 신경쓴게 20여년 남짓으로 짧기도 했고요. 저 위에 여러 이유를 드셨는데 이게 그렇게 깊게 생각할 문제까진 아닙니다. 타국 전쟁에 참전했는데, 철수하지 않고 본인들의 육해공 기지를 운영하게 되어서 그렇게 된겁니다. 그리고 관련된 규정은 지난 수십년간 점점 엄격하게 바뀌어서, 미군기지를 반환하기 전에는 제독 절차/계획이 수립되고, 제독이 완료된 후 반환토록 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번처럼 정무적인 판단/의사결정이 우선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작업들을 "사후로" 할 수 밖에는 없게 됩니다.
22/06/09 17:30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651645?sid=101
이에 앞서 또 다른 공개구역 A4a(학교), A4b·A4f(장군숙소), A1(스포츠필드)도 오염 실태가 확인된 바 있다. TPH의 경우 A4a 구역에서 23배, A4b·A4f 구역에서 29배, A1 구역에서 36배 각각 기준치를 초과했다 ----------- 학교, 스포츠필드 등도 오염이 확인되긴 했습니다. 학교나 운동장에서 거주하진 않는다고 한다면야 할 말은 없습니다만...그렇다고 학교가 작전기지라고 하기도 뭐하죠.
22/06/09 23:05
미군부지의 특징이 아니라 군부대 부지의 특징입니다. 한국군 부지도 이전 후 택지개발된 사례가 여럿 있는데 대부분 토지정화과정 거쳤습니다.
22/06/09 23:27
그냥 군부대 오래 있으면 그럴건데요
실제로 창원에 있던 39사단도 부대 이동 후 해당 부지에 아파트 지을려고 했는데 토양 오염 이슈가 있었죠.
22/06/10 08:13
미군기지 있던 곳의 토양이 오염 x / 군부대 있던 곳의 토양이 오염 o
특히나 우리 군부대보다 장비나 운용하는 무기, 인원이 더 많은 미군부대라면 더 심하겠죠
22/06/10 20:54
미군이 문제가 아니고 그냥 군부대가 기름쓰는데라서 그런겁니다. 주유소도 어디 공장들도 기름 저장하고 사용하는데는 다 오염이 있습니다. 요새는 많이 좋아졌지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