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3/10 20:42
사실 CPU 의 다이사이즈는 종류, 세대별로 꽤 다릅니다.
다만 많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일이 드문 이유는, 작아지면 성능 감소가 크고 커지면 만드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쉽게 설명해서 반도체를 생산하면 일정 확률로 일정 위치에 문제가 생기는데 다이 사이즈가 커질수록 그 문제가 생길 확률이 더 커져서 생산단가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22/03/10 21:04
cpu 크기 = 다이 크기가 아니기 때문에 조금 보충 설명이 필요하겠네요. 뭐 저도 다 아는건 아니라서 제 설명도 틀릴 수 있습니다.
웨이퍼에서 찍어내는 다이 크기가 크면 문제가 생길 확률이 더 커지는건 맞습니다. 그래서 요즘 cpu는 칩렛구조라는걸로 만듭니다. 웨이퍼에 찍어내는 다이 크기는 최소 기능 단위로(단순하게 코어 단위라 하죠.) 쪼개서 생산해 수율을 올리고, 그걸 조립 해서 만듭니다. 4코어면 4개 조립, 8코어면 8개를 조립, 요즘은 cpu 내 gpu랑 npu도 넣어야 하니 이것도 따로 코어 단위로 다이 생산해서 조립해 붙이죠. 이런식으로 cpu를 만듭니다. 고로 본문에 대한 답으로 다이 사이즈 크기 이야기는 틀렸다고 봅니다. cpu 크기는 저런 칩렛 구조 설계 방향, 소켓 호환성, 발열과 전성비 효율성 등의 이유로 정해집니다. https://gigglehd.com/gg/hard/6449845 https://zdnet.co.kr/view/?no=20210601123732
22/03/10 20:42
노트북처럼 납땜처리되지 않고 교체가능한 소켓을 이용하다보니 전원공급과 외부연결(메모리,PCIe)을 위한 접촉부가 필요해서 그렇죠. 서버용 같은 경우는 더 많은 메모리 채널, PCIe 레인 때문에 몇배까지 면적이 늘기도 하고요.
22/03/10 21:17
CPU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이런 칩도 있습니다.
https://www.servethehome.com/wp-content/uploads/2019/08/Cerebras-Wafer-Scale-Engine-Size.jpg
22/03/10 22:13
https://itigic.com/ko/processor-sizes-why-they-are-not-smaller/
프로세서 크기 : 더 작지 않은 이유 이런 기사가 있긴 하네요 너무 번역이라 좀 읽기 힘들긴 한데 크크
22/03/11 08:50
일단 다이를 크게 만들고 코어를 많이 박는다면 성능이야 좋겠지만 발열제어가 힘들고, 다이를 무조건 작게 만들면 그냥 적당한 다이에 코어 여러개 박는것보다 성능이 안나오니 그렇지 않을까요? AMD EPYC 같이 36코어 이런 애들은 다이 크기도 클것 같긴 하네요.
22/03/11 08:51
빛느님이 들고 있는거 보니 확실히 크긴 큰듯... https://en.wikichip.org/wiki/File:lisa_announces_epyc.png
22/03/11 11:13
쓰레드리퍼 같이 워크스테이션용은 cpu크기가 더 큽니다..
개인용컴퓨터이다보니 발열제어나, 전력소비 등등 때문에 사이즈를 일정하게 유지하는거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