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1/25 12:25
휴대폰은 기지국과 전파로
버스의 TV는 우주의 위성에서 직진성이 강한 신호를 받죠. 그래서 중간에 뭔가 신호를 막을만한 것이 끼어들면 TV가 안나오는겁니다.
21/11/25 12:26
고속버스를 안타본지 오래되서 아직도 그런거 해서 검색해보니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70712000072 최신 버스는 LTE로 해서 안끊기나보네요.
21/11/25 12:26
휴대폰도 차폐(가리는) 구간 가면 통품이 떨어지거나 끊어지거나 합니다.
예전부터 엘리베이터에서 많이들 그러죠. 또한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서 투과되는 물체가 다릅니다.
21/11/25 12:29
아마 주파수 때문일거에요..
lte기준으로 800에서 2600mhz를 씁니다. 위성tv는 12ghz를 쓴다고하네요... 주파수가 높을수록 직진성이 높아지고 많은 정보르 담을수있고 낮아질수록 장애물을 잘 뛰어넘습니다. 위성tv는 직진성이 높은 신호를 위성가 주고 받아야하는데 터널등으로 드러가면 바로 차단되는거죠.. 핸드폰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로 신호가 장애물을 잘 타넘어가고 위성처럼 한곳에서 받는게 아니기때문에 터널에서도 터지는겁니다. 터널내부에 장비를 설치하는경우도 있구요 고속버스 tv가 위성티비가 아니라 공중파신호를 잡는 티비였다면 400-500mhz대 주파수를 써서 화질은 떨어지지만 끊김은 덜했을거에요
21/11/25 13:25
어릴 적 공중파 TV 전파 잡으려고 아파트 옥상에서 아버지랑 안테나 방향 맞추고 했던 기억으로 유추해 보건데, 공중파 신호 잡는 방식이면 더 잘 끊어졌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도시 바깥으로 나가면 안 잡히는 구역도 많을테고... 굳이 위성 TV 로 하는 이유가 다 있죠.
21/11/25 13:29
(수정됨) 어릴적 기억은 음영지역이라 그러셧을거에요.신호가 약한곳이니 안테나를 기지국방향으로 조절이 필요했던거죠..
주파수가 낮을수록 잘 잡힙니다. 요즘 만원짜리 공중파 안테나 사서 tv에 꼽아보시면 아무데서나 잘 잡혀요.. AM라디오가 FM보다 낮은 주파수를 쓰기때문에 음질이 떨어지지만 산속에서 더 잘잡히죠. 버스가 위성tv를 사용하는 것은 고속버스니 공중파의 음영지역을 지나가는경우 답이 없기 때문이라 생각해요. 물론 거의 20년전에 배운 통신이론이 근거라 현직과는 다를수 있습니다.크크
21/11/25 14:04
고속버스에 부착된 TV는 DMB나 IPTV가 아니고 스카이라이프 위성신호를 통해서 시청하는 방식이라서 그렇습니다.
버스 위쪽에 동그랗게 생긴 차량용 위성안테나를 통해서 시청하기때문에 나무가 가리거나 터널안, 도심지에 건물가림등이 있을경우 끊김이 발생합니다. 최근에는 LTE라우터를 달아 음영지역에서는 LTE신호를 통해서 IPTV로 변환하는 방식 시청하기때문에 예전보다 시청이 원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