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1/10 11:24:04
Name RaymondCattell
Subject [질문] 교통사고 후 통증이 뒤늦게 나타나는 이유?
안녕하세요.

주변에서 교통사고, 접촉사고 관련해서 가끔 들리는 이야기가,
'사고 당시에는 괜찮지만 며칠, 길게는 몇주후에 통증 또는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 입니다.
비슷한 얘기로, 합의하고 할때 며칠 기다려서 경과를 보고 해라,
경미한 접촉사고여서 당시에는 아무렇지 않았는데 다음날 되니 아프더라 등등이 있었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격투기 종목이나 실제 싸울때를 생각해보면, 경기 당시나 싸울때는 아픈지 모르다가 끝나고 나니 아프더라
이런 경우는 아드레날린(?) 등 뇌내 신경화학작용때문이라고 알고 있는데,
교통사고의 경우도 같은 걸까요? 아니면 실제는 그렇지 않은데 편견이나 심리적인 문제인지 궁금합니다.

검색해봤을때는 어혈이니 뭐 한방 이쪽 얘기만 나와서..질문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메레레
21/11/10 11:41
수정 아이콘
편견이나 심리적인 문제입니다
21/11/10 12:36
수정 아이콘
다음날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운동 심하게 한 다음날 알이 베겨 아픈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음날도 아니고 며칠 지난후 증상발현은 저도 이해 못 하고 있는 부분이라...
21/11/10 12:41
수정 아이콘
충격이 경미한 사고라고 가정하면, 며칠~ 몇 주 지나서 그냥 허리가 아픈건데 원인을 교통사고에서 찾는거죠.
목이랑 허리 안 아픈 현대인이 어디있겠습니까
나파밸리
21/11/10 13:10
수정 아이콘
고속도로에서 사고났을때 당일은 좀 쑤시는 정도였지만 다음날부터 제대로 아프더군요

개인적으로는 말씀하신대로 사고로 인한 흥분상태로 넘어가던 통증이 나중에 느껴지는게 아닌가 합니다
메타몽
21/11/10 13:14
수정 아이콘
심리적인 문제가 대다수이긴 한데

뒤늦게 나타나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21/11/10 13:19
수정 아이콘
그냥 아픈건데 원인만 교통사고로 찾는 건 좀 아닌거 같은게
실제로 아팠고 그 전, 후로도 그 부위가 아픈 적이 없습니다.
아파테이아
21/11/10 14:01
수정 아이콘
보험회사 근무하다 회사, 민원인에게 둘다 질려서 퇴사했습니다.
고속도로가 아닌 시내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90% 이상이 전치 2주이하 염좌입니다.
즉, 90% 이상 사고는 '후유증'을 염려할만한 사고가 아닙니다.
회색사과
21/11/10 14:19
수정 아이콘
당장 안 아픈건 흥분/긴장해서 일 것 같고..

근골격계 다치면 100% 완치 자체가 안되서 일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어릴 적에 호되게 접질렸었는데 (학교 계단 한 줄 - 반 층 거즘 2미터) 뛰어내리다가요..

아직도 피곤하면 그 쪽 다리 삐끗하고 비오면 쑤시고 그래용 흐흐
echo off
21/11/10 16:51
수정 아이콘
교감신경 흥분 때문입니다. 야생에서 맹수 등의 적을 만났을 때 싸울 것이냐, 도망갈 것이냐를 결정해야하는 상황에서 교감신경이 흥분합니다. 치타랑 싸우다가 팔 좀 할퀴었다고 아프다고 엄살 부리면 곤란하잖아요. 마찬가지로 죽음과 가까운 위기 상황이 되면 교감신경이 흥분합니다. 사고 나서 좀 다쳐도 일단 위기를 벗어나는 게 중요해서 고통을 잘 느끼지 못합니다. 아드레날린이 바로 교감신경 흥분 때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가능성탐구자
21/11/10 17:43
수정 아이콘
저도 어렸을 때 차에 치인 직후 벌떡 일어나 인도까지 뛰어가서 누운 적이 있습니다.
극도로 흥분하니 다친 다리로 짚어도 통증이 없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9624 [질문] 북한지도자가 되거나, 북한지도자로 태어났다면? [6] 베요네타8062 21/11/11 8062
159623 [질문] 다수 뮤탈 대 뮤탈 일때 컨을 어떻게 해줘야되나요? [2] 고등어3마리7422 21/11/11 7422
159621 [질문] 남녀범죄비율 관련 내용이 궁금합니다. [3] 애플댄스7303 21/11/11 7303
159620 [질문] 1(커피) 모카포트를 쓸까하는데 그라인더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AKbizs8705 21/11/11 8705
159619 [질문] vr기기에 대한 질문 [6] Fysta8493 21/11/11 8493
159618 [질문] 미용실서 남자 머리 드라이나 머 바르는것만 해주나요? [8] 쇄빙9542 21/11/11 9542
159617 [삭제예정] 손가락 부러졌는데요 [6] Trika9033 21/11/11 9033
159616 [질문]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받을 때 소득증명 작년 원천징수영수증 or 올해 급여내역서.. [2] 삭제됨9330 21/11/11 9330
159615 [삭제예정] 선배님들 면접 보러 갈까요? [14] 삭제됨9574 21/11/11 9574
159614 [질문] 디아2 용병 인내재료 갑옷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1] 나를찾아서13795 21/11/11 13795
159613 [질문] 민식이법 최초 적용이 언제 였나요? 깐부6473 21/11/11 6473
159612 [질문] 드론 비교 [5] 어...5971 21/11/11 5971
159611 [질문] [블루아카이브] 히비키 없이 시작해도 될까요? [3] 세이밥누님6826 21/11/11 6826
159610 [삭제예정] 반일감정에서 반중감정으로 바뀐 이유가 있을까요 [37] Trika9043 21/11/10 9043
159609 [질문] 컴퓨터 본체 산것좀 봐주세여 [8] 푸들은푸들푸들해8027 21/11/10 8027
159608 [질문] 두 건물을 사서 이을려고하는데요 [6] 조현7762 21/11/10 7762
159607 [질문] 전세 계약 질문드립니다. [3] 아엠포유7342 21/11/10 7342
159606 [질문] 이게 프리커현상일까요 [2] 나파밸리7914 21/11/10 7914
159605 [질문] 회사에서 징계를 받거나 하면 퇴직금이 줄어들 수도 있을까요? [14] 김택진9509 21/11/10 9509
159604 [질문] 요소수 판매는 언제쯤 이루어질까요? [3] 톨기스9663 21/11/10 9663
159603 [질문]  1박2일 여행 전라도 광주 VS 여수 어디가 나을까요? [20] 밥도둑8350 21/11/10 8350
159602 [질문] 휴직해도 4대보험을 회사에서 내주나요? [3] 쿠쿠다스9929 21/11/10 9929
159601 [질문] 베이베모니터 추천 부탁드려요. [1] narayo8500 21/11/10 85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