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1/04 13:45
실물의 가치는 유지 혹은 증가하고,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안 갚을 수 있다면 최대한 갚지 않는 게 맞습니다, 게다가 주담대 이자는 시중에 어떤 신용대출/마통 이자보다 저렴합니다,
21/11/04 13:59
참고로 주담대는 승계가 없습니다.
매수자가 따로 다시 주담대를 받는거에요. 그러므로 보유하신 집은 15억이 넘는 순간 어차피 현금박치기로만 살 수 있습니다.
21/11/04 14:05
정해진 원리금 납부가 있어서 그건 당연히 내야겠지만 그 이상을 갚을 필요는 없을거 같습니다. 그와 별개로 대출을 남에게 승계할 수는 없을겁니다. 즉 대출을 승계해서 집을 팔면 잘 팔릴거라는 말도 틀린 얘기가 되겠죠?
21/11/04 14:35
아내분 말씀은 어디서 그리 들으셨는지... 처음 듣는소리라서요
매도시에 그 금액 은행에 상환하셔야합니다. 그리고 다시 매수자가 대출 근저당 잡고요.
21/11/04 19:08
이런 상황에서 주담대는 다시 늘리기가 어려우니 안갚는게 유리하긴 합니다. 갚는건 언제든 할 수 있지만 다시 되돌릴 순 없으니... 이사계획 등 돈쓸일이 앞으로도 없으시고 투자엔 자신없다 하시면 은행이자라도 줄이는게 나을순 있겠지만 저라면 그렇게는 안할듯합니다.
21/11/04 23:59
이자율/ 변동유무 /상환수수료 가 중요할듯 싶습니다.
저같으면 고정에 3프로 이하면 안갚고 4퍼센트에 변동금리라면 상환을 우선적으로 할것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