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24 10:29
1번은 모르겠습니다. 백신맞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니 무증상인 채로 맞은 분들도 분명히 계시겠죠.
2번은 케바케입니다. 연구결과로는 코로나 회복후에 항체가 생긴 사람도 있고 안생긴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의학자들은 코로나 걸렸다가 회복되었어도 백신은 꼭 맞으라고 합니다. 그리고 코로나 회복후 항체가 생겼다고 해도 백신 1차접종 맞은 사람보다 항체가 많은 경우가 별로 없었습니다. 코로나 걸리고 항체 생긴사람이 백신을 맞으면 부스터 샷을 맞는 효과와 같이 몸에 더 많은 항체가 생성되었다고 합니다. 내년에 우리나라도 3차 부스터샷 접종한다는 말이 있는데 코로나 걸려서 항체 형성된 분들이 백신을 맞으면 이 부스터샷을 맞은 결과와 같을 수 있겠죠.
21/09/24 10:45
1. 코로나 치료제를 사용한 경우에만 3개월 시차를 두고 접종하며 그 경우 제외하고는 확진자 포함 모두 접종 대상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2. 감염 후 치유되었다고 해도 충분한 양의 항체 형성이 안 되는 경우가 많은 걸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분들도 모두 접종 대상입니다.
21/09/24 11:13
질병관리청이나 기타 여러 기구에서 별 다른 이야기가 없는 것 보면 다른 확진자와 비교해 다를 것 없지 않을까 합니다.
당장 PGR 질문글에도 1차 접종 후 확진된 지인에 대해 물어본 분도 계시고 하니 종종 발생하는 케이스일텐데 이 케이스에서 다른 특이점이 있다면 질병관리청에서 별도의 코멘트가 있었을테니까요.
21/09/24 11:40
문제될 일 없습니다. 현재 코로나 백신이 약하게 만든 코로나 바이러스를 주입해서 앓게 만드는 예전 생백신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그게 문제가 된다면 이미 사례가 많이 나왔을텐데 각국의 방역당국에서 방치할리도 없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