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23 17:36
hdmi 스위치라고 찾으니 비슷한 물건이 나오네요
다만 hdmi용이니 맥북이면 허브를 이용해서 hdmi에 연결하셔야겠네요 마우스랑 키보드는 멀티페어링 제품 구매하시면 될 것 같구요
21/09/23 17:49
같은 환경에서 kvm 스위치부터 여러가지 시도 해봤는데 마우스는 멀티페어링 블루투스 (로지텍 triathlon 전환이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쓰시면 되고, 모니터는 단자 여러개 있으면 케이블만 다르게 해서 둘다 연결해놓고(하나는 dp 하나는 hdmi라든가 둘다 hdmi 라든가) 모니터에서 전환하는 게 젤 속편하더군요.
키보드도 멀티페어링 옵션이 몇가지 있는데 지금 저는 여러가지 사정상 손으로 usb 케이블 바꿔끼우고 있습니다.
21/09/23 18:23
많은 선택지가 있지만 버튼형 HDMI 셀럭터(만원이하)가 편할거라 생각하구요
키마는 무선으로 로지텍 MK850을 쓰고있습니다 usb unifying(블루투스 동글이 같은제품)이 컴퓨터1개분만 동봉되어 있어 추가로 구매해서 쓰고있는데요 모니터가 1대여도 키보드와 마우스 버튼으로 전환가능해서 쓰실만 할 것 같습니다.
21/09/23 18:40
일반적인 (인텔) 랩탑이라면 분리/연결 과정이 가장 간단하고 미관상 깔끔한 (그러나 가격도 가장 높은) 방법은 썬더볼트 독 또는 그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썬더볼트 모니터를 쓰는 겁니다. 썬더볼트 독은 랩탑에 줄 하나만 연결하면 충전과 모니터 출력, USB 입력장치 연결, 이더넷 연결이 다 되니까, 분리/연결 과정이 가장 간단하고, 아예 선을 연결한다기 보다는 랩탑을 어디에 꽂는 형태인 것도 있습니다. 키보드/마우스는 데탑과 썬더볼트 독에 각각 유선 키보드/마우스 내지 무선 동글을 붙여놓고 서로 다른 키보드/마우스를 쓰는 방법, 하나의 유무선 키보드/마우스를 가지고 페어링을 전환해가며 쓰는 방법, barrier나 synergy 같은 네트워크 기반 KVM 프로그램을 쓰는 방법(logitech flow와 유사한 동작방식), KVM 스위치를 쓰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장단이 있지만 데스크탑과 랩탑이 둘 다 켜져있을 때 기능상 가장 우월한건 소프트웨어 KVM이고, 각자 연결시켜 놓는 것이 설정이 가장 쉽습니다.
다만 이건 일반적인 랩탑을 기준으로 하는 이야기이고, M1 맥의 경우 맥미니 외에는 외장모니터 2개 이상을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추가 장치(어댑터류)와 설정이 필요합니다(썬더볼트 독을 쓰든 안 쓰든 마찬가지). M1X나 M2가 나오면 바뀔 수도 있지만 현재로썬 그런 상태니까, 이런걸 잘 못 하신다면 어느 방법으로 가든 외장모니터 중 하나만 쓰게되는 상황이 나올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