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28 15:02
(수정됨) 충전 비용은 점점 내려갈거라고 하는데 그게 2030년이 될지 2040년이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지금 kg당 8천8백원 하는 수소 단가도 추레라 운송료를 국가에서 보조해줘서 나오는 가격이거든요. 그와 별개로 차는 좋습니다. 아니 좋았었습니다. 출시 당시에는요. 엔진이 아니라 모터로 굴러가는 차량이라 배터리 전기차만큼 정숙성 좋고 150 마력이라는 출력이 무색하게 잘 치고 나갑니다. 적어도 충전 문제만 해결되면 통상적으로 차량을 운용하면서 받는 스트레스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감각에 익숙해지면 내연기관 차량 몰고 시내 운전하는게 정말 피곤해질정도로 고급진 주행감이구요. 근데 내연기관 차량의 엔진에 해당되는 스택의 결함이 보고되고 있고 (가감속시 울컥거림, 겨울철 시동불량 등..) 제가 이용하던 차량은 5만4천km 정도를 주행하고 결국 스택 무상 교체 처리를 받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보조금 받으면 차 값은 진짜 저렴한데 유류비가 생각보다 저렴하지 않습니다. 현 시점 수소 1kg 충전량으로 110km 정도를 달리는데 리터당 1400원 하는 경유값으로 환산하면 딱 그 급의 디젤차량 수준의 유류비가 듭니다. +출시 시점에는 제네시스 급에나 도입 검토중이었던 갖가지 옵션들을 떡칠하고 나왔었는데 그것도 2018년 기준이고 현재는 아반떼 급에도 부분적으로 넥쏘에 들어가던 고급 옵션들이 발라져서 나옵니다. 그 말은 아반떼보다 윗급인 투싼, 싼타페, 쏘렌토 하이브리드 등에는 이미 넥쏘와 동급이거나 더 개선된 전자장비들이 탑재된다는 얘기구요. 전기차를 고려중인데 그래도 중형 suv급은 되어야 한다 라는 전제조건이 달린다면 고려해볼만한 선택지이고, 현재는 뭘로 보나 투싼 하이브리드가 더 나은 선택으로 보입니다.
21/08/28 15:07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보조금하고 가까운곳에 충전소가 있어서 좋게 보였고 여러가지가 궁금했습니다. 차알못이라 답변이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21/08/28 15:30
충전시간이 생각보다 오래걸립니다. 차 한대당 10~15분정도 걸리는데 충전소마다 충전구가 한군데밖에 없다보니 앞에 대기차량이 많으면 시간낭비가 상당히 크더라구요.
21/08/28 16:42
수소차는...아직 진짜로 시기상조인게...수소 연료전지 스택은 사용기한이 있습니다.
---넥쏘 동호회 관계자는 "1년에 1만6000km운행하는 사람에게는 10년이 보증기간이지만, 연간 3만km를 운전하는 사람에게는 5년 만에 보증기간이 끝난다"면서 "연료전지 스택을 평생 보증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니까 수소를 전기로 변환하는 핵심부품 수명이 15민킬로쯤 된다는건데...이게 교체비용이 거의 차값입니다. ----실제로 현대모비스 홈페이지에서 검색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가격은 3927만원에 달한다. 이와 더불어 교체되는 연료전지 스택 부동액(2만1900원, 6~8통)과 공임 등이 추가된다면 유상 수리시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4000만원에 달할 전망이다.---- 뭐 15만까지만 타고 폐차한다거나, 그전에 판다거나 할 수 있겠습니다만, 저런 부품이 있는 차가 중고로 팔 때 감가가 적을 리가 없겠죠..
21/08/29 09:56
넥쏘 타고 있구요
A. 스택문제에 대해서는 현대차에서 이번에 대량 리콜하면서 더이상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라고 공언했습니다 그럼에도 보증기간 종료 후 스택문제 발생시 현대차에서 선택지를 2개 제시할것이구요 1. 정상성능을 발휘하는 리퍼스택을 내연기관 엔진수준의 비용으로 교체 2. 잔존가치를 현대차(제네시스는 모르겠네요)수준에서 제일 크게 책정하여 구매 요거에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B. 수소값은 점진적으로 인하되고 있습니다. 거주하시는 지역이 어디신지 모르겠는데 ev.or.kr 에서 수소충전소 검색하시면 수소값이 대부분 7800~8400원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고속도로 충전소는 일괄적으로 8000원, 하이넷계열은 8800원) C. 보통 앵꼬난 상태에서 충전하는 경우는 없지만 제가 주로 다니는 충전소는 93%까지만 채워 주는데 연비 주행하시는 성격이시라면 여름철에는 주행가능거리가 640~660km 찍힙니다.(모던은 690이상 찍히는분도 있어요) 보통은 이거보다 더 타죠, 아마 전기차 중에 이정도 주행거리 찍히는 차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것중에는 모델x밖에 없습니다(가격은 하늘로) - 한때 아이오닉5하고 EV6가지고 서울에서 부산가니마니 하는데 넥쏘는 옛날부터 그런거 안해도 충분히 갔습니다. D. 전기차는 자꾸 불나죠? 그게 사고같은 충격에서 의해서만 불나는게 아니거든요 가만히 세워져 있는데 불이 날수도 있어요 수소차는 그런거에서 현재 내연차 만큼 자유롭습니다. 적어도 후방추돌 사고에 대해서는 아마 동급차종 중에서는 가장 안전할껍니다 E. 운행스타일이 어떠신지 모르겠는데 마력이 150인데 반해 토크가 40정도 되는 변태 출력이라 초반가속 좋구요(물론 첫끝발 개끝발) 전기차처럼 팍 치고 나가는것까지는 아닌데 그래도 일상주행에는 무리없습니다. F. 충전도 수소차의 문제가 아니라 세워진지 오래된 충전소를 개량을 안하면 윗분말씀하신대로 10분 막 이렇게 걸리는데 그게 충전건이 얼어붙는거랑 압떨어지는것때문에 그렇거든요 요즘은 그런데도 별로 없던데요 뭘 G. 옵션은 확실히 18년형 차량이라 요즘 아반떼도 다 달고 나오기는 하는데요 요즘 다그러지 않던가? - 이번 신형 스포티지하고 신형 쏘렌토 보면 알 수 있습니다 H. 그래도 18년에 나온 차량이라 그런지 뭐 차박같은거 할때는 나쁘지는 않은데 아이오닉5나 EV6처럼 V2L기능이 없다는 건 조금 아쉽긴합니다만 사람은 어떻게든 답을 찾는다고 배터리에다가 인버터 1kW이상 되는거 사다가 붙이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I. 지금 막 바꾸실것이 아니라면 뭐 좀 더 기다렸다가 나오는 전기차 사셔도 되구요 23년인가 쯤에 넥쏘 다음 풀체인지 모델 나온다니 그거보고 사셔도 될 것 같네요
21/08/29 10:05
소중한 답변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많이 해결됐습니다. 차알못이라 옵션 이런것도 잘 모르고 Suv에 내연기관아니고 보조금많이나오고 충전소도 가까이 있기에 궁금했었네요. 근데 23년형 나오면 그때도 보조금이 많이 나올까요?
21/08/29 10:01
아 팁으로 넥쏘는 보조금 받으면 3000~4000만원 사이긴 한데
원래 차값이 7000이라서 자동차 보험들때 자차가 7000만원 수준으로 책정됩니다 그리고 사고나 수리, 리콜 할때 대차 나오잖아요? 그것도 7000만원 기준이라서 이번에 스택 무상리콜할때 대차를 G90으로 받았습니다 ㅡ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