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25 18:30
제가 무식해서 잘 모르는데, 바다에 김 양식장처럼 그 해역 수온에 맞는 해조류를 대량 양식하면 탄소흡수에 좋을거 같습니다. 새끼줄과 나무와 돌을 쓰면 환경오염도 문제없을거 같고.
그런걸 안하는 까닭은 뭔가요?
25/09/25 18:44
(수정됨) 김양식이 조건이 엄청 까다롭습니다.
시원한 수온(15~22도) 적절한 일조량(광량 300~500lux) 파도가 없는 잔잔한 바다 (약 7~30cm/sec) 적정 염도(22.5~33.5psu) 다량의 미네랄이 유입되는 해안 근처(질산염, 인산염, 망간구리코발트 등) 김양식이 가능할 정도로 대량 소비를 하는 국가가 사실상 한국과 일본밖에 없는데 문제는 기후 변화로 수온이 올라 일본 김양식과 한국 일부지역도 어려움을 겪고 있죠.
25/09/25 19:46
김이 생각보다 양식이 까다롭습니다
온도 안맞으면 그해 양식은 망하는 수준이죠. 그럼 잘맞는걸 키우면 안되냐? 안먹는 잡초를 대량으로 키워봐야 그거 수거 해서 처리하는것도 환경 오염입니다.
+ 25/09/25 20:29
김은 양식해서 정기적으로 수확, 소비하니까 그렇게 키울 수 있는 거고, 다른 해초들을 그런 식으로 키워봐야 처치곤란이 될뿐인 것 같습니다. 이를테면 녹조현상이 일어난다던가, 항해하는 배의 스쿠루에 끼는 등 피해를 야기한다던가.
특정 해초만 먹는 동물이 인간에게 도움이 된다면 그 해초를 키워볼 수도 있겠지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