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2/13 19:45
돌이켜 생각해보니 저희 때는 최초 합격 발표에서는 고법 떨어지고 설법에 합격하는 경우가 왕왕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근데 당시 제 친구의 추가합격보고 될놈될이라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까 문과에서 설법 버리고 어디로 갔을까요? 미국 하버드 간 선배는 있었는데... 이런 것처럼 해외 대학 합격해 놓고 수능도 쳤던 걸려나요..
+ 25/02/13 21:14
제 친구는 고대 법대 떨어지고 서울대는 바로 합격했습니다.
당시 서울대 법대가 정원이 훨씬 많아서 고대 떨어지고 서울대 오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하네요.
25/02/13 18:08
전국 등수 100등 이내로 들 최상위권에서도 의대 안가고 공대가는 친구들 종종 있긴 하니까요. 저도 주변에 있었는데 수험생활이 너무 널럴해서 부럽더군요. 수능 망쳐서 평소보다 한 30점 떨어져도 공대중엔 못갈 곳이 없는 친구라서.. 근데 보통 정시로 가는 사람들은 포카보다 설공 좋아하는데, 저렇게 하면 가군이나 다군 어디 썼을까 궁금하긴 하네요.
+ 25/02/13 19:40
맞는 말씀입니다 좀 더 고등학교시절에 여러가지 직업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면 좋겠어요 그런데 한편으로는 그 현상을 막을 정책적 지원도 현실적인 여건도 안되는데 너무 학생들에게 낭만을 강요하는 것도 잔인하다고 생각합니다 남의 일이니 저에게서 이리 쉽게 말이 나오는거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