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6/02/23 17:40:43
Name 성동구
File #1 01.jpg (425.2 KB), Download : 52
File #2 02.jpg (367.4 KB), Download : 22
출처 페이스북 페이지
Subject [기타] 상처는 사람을 강하게 만들지 않는다.JPG




그림이 귀엽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윌 그레이엄
16/02/23 17:43
수정 아이콘
개복치가 귀엽네여
16/02/23 17:43
수정 아이콘
아프면 환자지 무슨 청춘이야.
Frezzato
16/02/23 17:45
수정 아이콘
그림 예쁘네요
시노부
16/02/23 17:47
수정 아이콘
공감이 가는 만화네요. ㅠㅠ; 어제 개발 기획 회의에서 또 스크래치가 늘었슴다. 하...
16/02/23 17:47
수정 아이콘
천번정도는 흔들려봐야돼는데...
몇번 흔들려보지도않고... 노오력이 부족한듯..
16/02/23 17:52
수정 아이콘
남의 칭찬에 의존하는 것도 좋지 않죠

케바케가 심하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수업 내에서 교수의 실력이 우선이지, 교수의 태도는 부차적인 문제라고 생각해서
그 엄한 정도의 선은 각자 다를 테지만요.
마스터충달
16/02/23 17:52
수정 아이콘
칭찬이 더 효과적이라는 건 심리학적 실험으로도 어느 정도 증명되었죠. 단, 그 칭찬이라는 것도 제대로 잘 해야 한다는 단서가 붙긴 합니다. 무조건적인 무한 긍정 칭찬은 독이될 수도 있죠.

여담인데 첫 컷의 문장이 좀 그렇습니다. '지지적'이란 말은 너무나 번역투이고, '독특하시다'라는 것도 적확한 단어는 아니고요. "한 분은 혹독하신 분이었고, 다른 분은 격려해주시는 분이셨다."라고 해야 맞는 것 같네요. 요즘 퇴고에 신경을 많이 쓰다보니 이런 게 거슬리는데... 좀 과민반응 하는 것 같기도 하고... 거슬리긴 거슬리고... 뭐 그렇습니다;;;
퐁퐁좨
16/02/23 18:56
수정 아이콘
저는 학부때 심리학 전공했었는데, 그때 배운 바로는 차라리 무조건적인 칭찬을 해야지 조건적인 칭찬은 결과중심적인 태도 + 타인의 평가에 의존적이게 되는 경향을 만들 수 있다고... 발달 심리학 얘기입니다.
마스터충달
16/02/23 23:48
수정 아이콘
이 말이 하고 싶어서 칭찬도 잘 해야 한다고 한 거였는데 ^^;; 상황을 왜곡할 정도의 칭찬은 안 된다는 말과 또 묘하게 상충하네요;;;
16/02/24 23:13
수정 아이콘
보통 결과에 대한 칭찬(이야기하신 부작용들)과 과정에 대한 칭찬을 나누지 않나요?
무조건 적인 칭찬에 대한 글은 읽은적이 없어서요.
alphamale
16/02/23 19:19
수정 아이콘
과민반응이 아니라 타당한 지적이라고 생각해요. 저도 거슬렸거든요 흐흐
WeakandPowerless
16/02/23 19:43
수정 아이콘
저도 거슬렸습니다 흐흐 내용은 참 좋은 만화인데 말이죠
16/02/23 17:57
수정 아이콘
요즘 애들은 약해빠져서
_人人 人人_
> 돌연사 <
 ̄Y^Y^Y^Y ̄
16/02/23 17:59
수정 아이콘
이런 게 뭐 한쪽만 답이라고 할 수 있겠냐만은 둘 다 필요하다고 보네요 흫
시린비
16/02/23 17:59
수정 아이콘
군대에서 사회는 이보다 심하니까 경험시켜주는거다
이런 말 정말 싫어하는 입장에서 동의합니다. 미리 겪어본다고 피해를 안받는것도 아니고. 그냥 합리화죠
자기들이 막대하는 걸 '너를 위해서' 라는 말과 함께 합리화 하는 것.
뭐 모든게 그렇다 할 순 없겠지만 대략적으로.
16/02/23 18:05
수정 아이콘
뻨큐 플래쳐!!
사토미
16/02/23 18:05
수정 아이콘
제가 요즘 돌연사 하지 않을까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교수님이 자꾸 고양이 그리려는데 키메라 만들려고해요...(논문 얘기입니다...)
Camomile
16/02/23 18:05
수정 아이콘
너의 능력을 믿는다
반복문
16/02/23 18:06
수정 아이콘
군대가야 사람된다도 참위험한 발상이죠
어떻게 퍼트렸는진 몰라도 참...
유캐한하루
16/02/23 18:09
수정 아이콘
문제는 이 발언을 갓 전역한 예비군들도 한다는겁니다
그래서 계속 돌고 도는건지도..

전 군대에서 배운건 스트레스와 자유에 대한 갈망 담배 3가지 밖에 없기 때문에
뭐가 사람된다는건지 아직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Rorschach
16/02/23 18:48
수정 아이콘
군대가야 사람되는게 아니라 나이가 들면서 사회를 배우고 저 말에서 표현하는 '사람이 될 만한' 시기에 군대를 가는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중요한 시기를 군대에서 보낸다는게 사실 더 위험함;;
유캐한하루
16/02/23 18:08
수정 아이콘
케바케겠죠

본인이 노력하지 않은걸로 칭찬을 들으면 사람이 자만하고 나태해질수있지만

본인이 노력했음에도 비난을 당한다면 의욕부터 꺽이는게 사람이 아니지 않나 싶습니다
16/02/23 18:09
수정 아이콘
음.

인격 모멸적인 선을 넘지 않는다면 1번 같은 교수님이 좀 더 가르침을 많이 줄거라고 생각하네요. 무조건적인 격려와 따뜻한 말보다는 때때로 엄격한 질타와 충고, 비판이 사람을 성장시킬 때가 많아서. 물론 이게 지나치게 몰아 붙이는 선까지 간다면 사람을 해칠 수 있겠죠. 혹은 받아들이는 사람이 감정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조금 여린 편이라면 되려 상처를 입거나, 자신감을 잃을 수도. 허나 견딜 수 있는 사람에게 있어서 저런 훈육 방법은 크게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상기된 그림이 제 판단으로 느끼기엔 그렇게까지 인격 모멸적으로 제자를 가르치지 않았던 것 같은데 너무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듯합니다. 칭찬과 격려는 물론 좋은 가르침의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좋은 선생님들도 많이 계십니다.
코카스
16/02/23 18:10
수정 아이콘
첫 교수님이 전혀 막 대하는 모습이 아닌데요? '너한테 뇌라는 장기의 존재 이유는 무엇이냐' 정도는 기대했는데 말입니다.
물만난고기
16/02/23 18:13
수정 아이콘
확실히 한국은 강하게 키운다라면서 막대한다라는 문화가 꽤나 많죠.
개같은 문화라 생각합니다.
Mephisto
16/02/23 18:20
수정 아이콘
한국이라 그런게 아니라 과거 교육은 모두 그래왔어요.
아직 한국 사회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 시작이 늦어서 그런 부분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사회 전반에 보일 뿐 입니다.
물만난고기
16/02/23 19:48
수정 아이콘
이런 폭력적인 방식은 방식 자체의 과격함으로 그 취지가 좋았다손치더라도 피교육자가 이해해주기 힘들죠. 결국 남는 건 당했다란 기억뿐이죠.
강압적인 교육문화가 과거 모든 나라들이 그래온 것과 별개로 체벌이 아직까지 논란이 될 정도인 우리나라에서 유독 많다고 느껴지는게 사실이고요.
Mephisto
16/02/23 18:15
수정 아이콘
적어도 유아기때에는 적절히 혼용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잘못된 조기 교육덕에 초중생들 난리도 아니라고 하더군요.
교육계 지인들 말로는 반에 한둘 정도는 공감능력 바닥치는 애들이 보이고 윤리의식이 상당히 떨어져있다고 하더군요.
아수라발발타
16/02/23 19:02
수정 아이콘
그 '잘못된' 조기교육이 뭔지 궁금합니다

어느 시대에서나 공감능력이나 윤리의식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그럴것 같구요

더구나 "초등학생".....

엄밀한 인과관계 대한 분석없이 막연히 "엄한"교육을 부추기는 편견이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듭니다
Re Marina
16/02/23 18:17
수정 아이콘
케바케라고 생각합니다. 스포츠에서도 이런 감독이 있고 저런 감독이 있듯이...
스타슈터
16/02/23 18:24
수정 아이콘
엄격함과 상처주는건 별개의 문제죠.
상처주지 않으면서도 얼마든지 엄격할수 있습니다. 다만 엄격함을 이유로 정신적 폭력을 휘두르는 사람이 은근히 많죠...
따뜻한 교육자도, 엄격한 교육자도 필요하지만, 그 방법이 잘못되면 어느쪽이든 안좋은 결과를 초래할수 있다고 생각해요.
닭, Chicken, 鷄
16/02/23 18:25
수정 아이콘
진주 이야기는 맘에 드네요. 고생했더니 그 아름다움을 얻는 것은 조개가 아니다라...
Tyler Durden
16/02/23 18:28
수정 아이콘
그냥 중간이 좋아요
요즘은 중간이 없을뿐
엘에스디
16/02/23 18:33
수정 아이콘
합리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공정한 평가와 성과분배를 해 주는 사람이기만 하면 어느 쪽이든 상관없...
쭈구리
16/02/23 19:12
수정 아이콘
엄격함을 넘어서 상처를 주는 행위까지 옹호하는 사람이 꽤 있기 때문에, 영화 위플래쉬에 등장하는 플레처 교수를 '제자의 가능성을 이끌어 내려는 진정한 스승'이라고 평가한 사람들이 적지 않았던 거겠죠.
무무무무무무
16/02/23 22:49
수정 아이콘
전 그래서 위플래시가 서구권에서 나왔다는 게 상당히 신기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평이 높았던 것도.
남광주보라
16/02/23 19:52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금메달리스트들이 종종 구타당하고 연습해서 그 역경과 고난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며, 일부분에서는 혹독한 교육을 옹호하기도 하던데..
글쎄요.. . 전 제가 두들겨맞으면서 배워서 미래에 잘되면 감사의 마음가짐을 가지겠습니다만. . . 두들겨패고 상처주면서 또 제대로 안 가르쳐주는 그냥 변태놈들도 너무 사회에 많은게 사실. . 일단 저라면 미래의 성과를 보고 판단하겠습니다. 제 노력이 중요하겠지만
다빈치
16/02/23 20:09
수정 아이콘
위플래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5340 [게임] 롤러코스터 타이쿤 최고장인 [24] Endless Rain14360 16/02/23 14360
265339 [서브컬쳐] [성우 정미숙,최덕희]애니메이션 토크쇼 대형팬더#47 전격 출연! [6] 좋아요2317 16/02/23 2317
265338 [서브컬쳐] 레전드히어로 삼국전 캐릭터 소개 [14] 좋아요5558 16/02/23 5558
265337 [연예인] 시그널 드라마속 싸이코패스.gif [27] Anti-MAGE7825 16/02/23 7825
265336 [기타] 호감가는 여성에게 번호를 물어봤습니다. [2] 성동구5341 16/02/23 5341
265335 [연예인] 드라마 시그널속 20대 김혜수.gif [22] Anti-MAGE16314 16/02/23 16314
265334 [유머] 겸손한 연대생 [21] 카우카우파이넌스8784 16/02/23 8784
265333 [유머] 2월 23일은 고인규의 날.TWT [7] Endless Rain3687 16/02/23 3687
265332 [기타] 에-로한 인력거 [1] 물맛이좋아요4021 16/02/23 4021
265331 [스타1] 15살때 이영호.avi [2] 핫식스3619 16/02/23 3619
265330 [서브컬쳐] 스시녀와 김치남 [7] 토다기7132 16/02/23 7132
265329 [유머] 남자친구 어머님과 단 둘이 만나는 만화 [11] 미캉6869 16/02/23 6869
265328 [기타] 상처는 사람을 강하게 만들지 않는다.JPG [38] 성동구8868 16/02/23 8868
265327 [게임] 10년만에 또다시 오크로 전향한 첵저씨.jpg [17] Endless Rain6569 16/02/23 6569
265326 [유머] 아무리 애를 써도 가사처럼 안들림류 甲 [17] 미캉6342 16/02/23 6342
265325 [게임] 사회가 쓰러질 때 우리가 일어선다. [1] 청소부하이에나4126 16/02/23 4126
265324 [유머] 겸손한 고대생 [20] 성동구9403 16/02/23 9403
265323 [연예인] 검빨은 진리! [9] 808BS7269 16/02/23 7269
265322 [게임] 갓게임의 흔한 순보 [5] 태랑ap5216 16/02/23 5216
265321 [유머] 역대급 광고 효과 [1] 에버그린5296 16/02/23 5296
265320 [방송] [위키드] 개성있는 3명의 아이들 [10] 써니는순규순규해4129 16/02/23 4129
265319 [유머] 야! 니가 그렇게 자전거를 잘타? [9] 물맛이좋아요8140 16/02/23 8140
265318 [방송] [프로듀스101] 내가 응원하는 연습생 박해영 편 (움짤다수, 데이터 주의) [18] SANJI9101 16/02/23 91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