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4/08/23 20:39:52
Name Darth Vader
File #1 238c6251f13dfd7cf72e567179ca4ec5.png (162.6 KB), Download : 59
Subject [기타] [기타] 대학생들의 선택은?


흐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rya Stark
14/08/23 20:40
수정 아이콘
이건 그냥 닥후 입니다. 한권 정도 우습죠.
가을독백
14/08/23 20:40
수정 아이콘
차라리 후자를 택하겠습니다. 전자는 과제에 치어 죽을듯 하네요.
14/08/23 20:41
수정 아이콘
2번은 원래 맨날 해오던거고 1번은 이러나 저러나 내가 할거기 때문에 귀찮으니 그냥 2번.
엘스먼
14/08/23 20:41
수정 아이콘
밸붕이네요 후후후
무더니
14/08/23 20:42
수정 아이콘
밸붕이라기엔 전 닥전......
14/08/23 20:42
수정 아이콘
전자를 선택해서 소위 썸 기회를 만드는 게 낭만적인 대학생활 아니겠습니까?
는 조장 당첨..
Arya Stark
14/08/23 20:43
수정 아이콘
+조원 실종
우주뭐함
14/08/23 20:44
수정 아이콘
닥후
아이지스
14/08/23 20:45
수정 아이콘
매번 나오는 거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밸붕 닥전인데
손연재
14/08/23 20:46
수정 아이콘
닥후
귤은지
14/08/23 20:47
수정 아이콘
닥전.. 전공책 반도 한학기동안 겨우 나가는 판에 한권이라뇨.. 크크
14/08/23 20:48
수정 아이콘
전자는 상황이 제대로 안 돌아가면 짜증날 것 같습니다.

후자는 경우에 따라 물리적으로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한 권 가지고 두 학기 나눠서 해도 뒤에 단원이 남기도 하거든요..

과목 잘못걸리면 선택과 집중 한 다음 내가 공부한 부분만 시험에 나와주기를 빌어야 됩니다-_-;;

제가 고른다면 문과는 후자 이과는 전자 선택하겠습니다만 현실은 문과에 전자가 많이 나오고 이과에 후자가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하긴 제 전공만 해도 전자로 평가하려면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흐흐;;
밤식빵
14/08/23 20:49
수정 아이콘
시험보는걸 좋아해서 후자.
해원맥
14/08/23 20:49
수정 아이콘
닥전.
공부 잘 하시는분이 많나봅니다 -_-..
각종 각론은몰라도 총칙 개론 연습 아오 머리야 ,,
지나가다...
14/08/23 20:50
수정 아이콘
닥후요. 어차피 십중팔구 상대평가인데요 뭐..
그런데 후자의 경우 중간고사는 없는 건가요?
14/08/23 20:50
수정 아이콘
닥전이죠
하하맨
14/08/23 20:50
수정 아이콘
닥전이네요...전공서적 1권이면 분량도 많은데 양자역학 이런거면...
포도씨
14/08/23 20:51
수정 아이콘
학점에 대한 기대가 없다면 닥후죠.
전자는 귀찮게 이거해라 저거해라가 너무 많네요.
뒤는 깔끔하게 백지내면 되는데...
Tristana
14/08/23 20:51
수정 아이콘
닥후
아티팩터
14/08/23 20:51
수정 아이콘
발표과제라면 팀발표겠죠? 수십명이 다 일인발표 하지는 않을테니.. 전 차라리 후자 하렵니다.
피와땀
14/08/23 20:52
수정 아이콘
남이 못해서 C vs 내가 못해서 C
톼르키
14/08/23 20:53
수정 아이콘
전 전자요!
서술형 너무 피곤합니다.. 공부하면서 손구락도 아프구요;;
차라리 호구가되더라도 발표는 자신있어서 조별과제 할겁니다 크크
14/08/23 20:55
수정 아이콘
후후후후
John Swain
14/08/23 20:56
수정 아이콘
닥 전..

전 전자의 과목 수강했을 땐 거진 학점이 좋았어요. 무조건 A이상.. 생각해보면 조별과제라고 남들 믿지 말고 혼자 다 하자라는 마인드로 임하긴 했습니다 -_-; (자료 준비, 회의, 발표 전부 제가 했네요.)
뭐라고 해야 하지.. 전자는 수강생의 50%정도가 토론하고 남에게 기대해서 멘붕하는 분위기라 전반적인 과제물 혹은 발표의 퀄리티가 떨어지는 관계로, 내가 죽어라 피똥싸서 어느 정도 정상적인 퀄리티만 내게 되면 상위권인 반면에,
후자의 경우엔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공부 투입량이 상대적으로 다른 학생들보다 많아야 할 뿐더러, 내가 그 과목에 어느 정도 적성이 맞아야만 상위권일 확률이 높더군요. 그리고 죽어라 암기하고 예습하고 복습해도 그 과목이 회계 과목이거나 법학 과목이거나 한 경우엔 사시, 회계사 준비하는 분들이 집단 수강하는 경우 탈탈 털리니..
공대 쪽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제가 공대는 아니지만 친구들이 많은 관계로 들어보면.. 아무리 예습 복습 많이 해도 한번에 척척 알아채는 회로 귀신, 역학 귀신, 물리 귀신들이 있다던데..

뭐 그래서 전자를 선호했습니다.
Arya Stark
14/08/23 21:07
수정 아이콘
저도 공대 출신인데 진짜 작정하고 공부하면 그런 귀신들만큼 할 수 있습니다. 대신 하루 세시간씩 그 과목만 해야 된다는거 ;
필더소울
14/08/23 20:58
수정 아이콘
닥후요.
둘 다 해봤는데 조별과제의 스트레스는 상상 이상입니다.
14/08/23 20:59
수정 아이콘
학부라면 전자였겠는데
대학원 오니 후자가 편하네요. 크크
눈물이 주룩주룩
14/08/23 20:59
수정 아이콘
문과는 후자, 이과는 전자
배노아
14/08/23 20:59
수정 아이콘
조별과제로 스트레스 받느니 후자 하겠네요
14/08/23 21:02
수정 아이콘
어차피 똑같은시험, 상대평가니 닥후~~~

조별과제는 모일때마다 스트뤠스가....
옆집백수총각
14/08/23 21:03
수정 아이콘
근데 뭘선택해도 이득 아닌가요 크크

원래는 조별과제에 발표과제에 개인과제 다있고 시험은 전공책 한권인... 양자의 합이 보통...
RedDragon
14/08/23 21:05
수정 아이콘
상대평가면 닥후죠.
오쇼 라즈니쉬
14/08/23 21:06
수정 아이콘
수강하는 다른 과목들 봐서 밸런스있게...
조별과제가 아무리 싫어도 중간, 기말에 서술형 대비해서 책 몇 권을 보는 건 무리라고 생각되니까요
정용현
14/08/23 21:09
수정 아이콘
후장
간지미중년
14/08/23 21:09
수정 아이콘
닥후죠 이거...
14/08/23 21:11
수정 아이콘
상대평가라면,, 전자를,,
3년동안 조별과제 혼자 해서 A이상 꼭받았습니다.. 오히려 암기과목에서 C를 ㅠ
물티슈
14/08/23 21:11
수정 아이콘
케바케인데 현 상황에선 후자 할래요..
조별과제 ..후...군에 있을때도 이정도 빡친적은 없었는데...
14/08/23 21:13
수정 아이콘
전 문과라 닥후요. 그게 성적이 더 좋았기도 하고
14/08/23 21:13
수정 아이콘
밸붕인데 닥전 아닌가요 후자 한권 후덜덜 진짜 머리털 다뽑힐뻔했는데..
다레니안
14/08/23 21:16
수정 아이콘
이건 닥전이죠.
후자는 나만 열심히 하는게 아닙니다. -_-;;;;;;
차자리 경쟁율이 적은(??) 전자쪽이 학점따기가 훨씬 좋아요.
RedDragon
14/08/23 21:17
수정 아이콘
후자가 A+ 따긴 하늘의 별다긴데 의외로 B0~B+ 은 잘 나옵니다.
상위 5% 내 빼곤 공부 안하거든요...
아 그래서 내가 졸업학점이..... -_-;;
다레니안
14/08/23 21:24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이건 생각못했네요.
하긴 저렇게 몰빵(?)하는 시험은 포기자가 은근히 많죠.
RedDragon
14/08/23 21:55
수정 아이콘
네 크크 예전에 2학년 전공 (공대생입니다.) 시험 어렵게 내기로 유명한 교수님 수강 신청했는데,
중간고사 120점 만점에 30점, 기말 110점 만점에 20점 맞고 B+ 나왔습니다. 중간고사 보고 반수가 안나오더라고요...
다행히 전 선배의 조언으로 포기를 안해서....
보통 이런 과목들이 A+ 받는 3~4명만 점수가 80~100점대고, 평균은 30점 정도... 더라고요.

문제가 어려운건 아닙니다.
전공책에 나오는 연습 문제 숫자만 바꿔 내시거든요.-_-;;

그런데 전공책이 1500페이지인가 되고 문제가 거기 실린 문제가 1000문제 정도는 된다는게 함정.
한 문제 이해하는데 족히 2~30분은 걸리는데......
불건전한소환사명
14/08/23 21:17
수정 아이콘
저는 전자 2과목정도에 후자 5과목정도 섞어들었었는데..
시험 안보는 과목 있으면, 시험기간이 널널해지죠
국카스텐
14/08/23 21:17
수정 아이콘
시험 조금 못봐도 괜찮으니 닥후..
저에겐 벨붕입니다.
대학교 다닐때 수강신청 기준도 개별 레포트는 괜찮은데 조별과제가 있느냐 없느냐 였으니까요.
Realization=V.D
14/08/23 21:19
수정 아이콘
저도 수강신청 기준이 발표가 있냐 없냐여서.. 닥후
14/08/23 21:20
수정 아이콘
저에게 닥전
밥잘먹는남자
14/08/23 21:21
수정 아이콘
닥전! 피피티, 발표 하드케리 자신있습니다!!
Legend0fProToss
14/08/23 21:21
수정 아이콘
원서라도 닥후!
성적이 뭔가 내 컨트롤 하에 들어오는 느낌...
전자는 가끔 뭐배운지도 모르겠고 바쁘기만하고 시간만쓰다가 b+나오고 끝나는...
착한밥팅z
14/08/23 21:22
수정 아이콘
닥전
카페르나
14/08/23 21:26
수정 아이콘
저는 과 특성상 어차피 다 서술형 시험이었던 만큼.. 차라리 후자를 선택했을 것 같네요
마스터충달
14/08/23 21:28
수정 아이콘
닥전이죠.
만일 그 학기에 양자역학, 유체역학이 포함되어 있다면
후자가 공지된 순간 쿨하게 두 과목은 드랍합니다.
싸구려신사
14/08/23 21:32
수정 아이콘
이건후자요!
14/08/23 21:34
수정 아이콘
후후후후!!
암기로 점철된 생물, 전공 다섯개를 한 학기에 들어도 무조건 후자가 좋았습니다.
로마네콩티
14/08/23 21:36
수정 아이콘
이게 전공책 한 권을 다 시험본다고 놀라시는 분들은 전부 이과시네요 크크
전 문과니 닥후
14/08/23 21:37
수정 아이콘
이과입니다.
14/08/23 21:42
수정 아이콘
미적분학 같은 책을 한 학기에 다 끝내나요? 후덜덜
Arya Stark
14/08/23 21:44
수정 아이콘
전 공대생이지 말입니다. 그래도 닥후 입니다.
RedDragon
14/08/23 21:56
수정 아이콘
공대생이니 닥후!
크크..
사티레브
14/08/23 21:40
수정 아이콘
다 잘모름 -> 후
전-잘암 후-잘모름 -> 전
전-잘모름 후-잘암 -> 닥후
다 잘암 -> 후
14/08/23 21:42
수정 아이콘
후자하면 남는 거라도 있지...
학점이야 어차피 상대평가고.
전자는 저는 저렇게 해서 뭘 배우는지 솔직히 잘 모르겠어요. 무언가를 배우는 학생이 아니고 그냥 사무실 일 해주는 기분.
노련한곰탱이
14/08/23 21:47
수정 아이콘
닥후. 전자같은 수업방식 치고 내용이 남는 수업은 별로 없었던거 같네요. 학점이야 수업방식과는 무관하다고 보고..
개념은?
14/08/23 21:48
수정 아이콘
저는 닥전... 과제 점수는 항상 좋아서 해오던대로 하면될듯.. 시험은 스트레스가 ㅠㅠ
Retour a vega
14/08/23 21:55
수정 아이콘
책 2권이래도 닥후
14/08/23 22:01
수정 아이콘
닥후 아닌가요?
점수는 다른 과목에서 채운다면....
R.Oswalt
14/08/23 22:20
수정 아이콘
닥후요. 조별과제 1번도 빡치는데 2번이요? 논할 가치도 없습니다.
어차피 공부할 거 책 한권 다 보면 되죠. 수업 때 잘 것도 아니고...
클로로 루시루플
14/08/23 22:34
수정 아이콘
4학년때 기사 준비하는거 아니면 닥전이죠. 전공 400~600페이지 책을 암기는 물론 이해할려면 어마어마한 시간이 걸립니다. 재미도 없구요. 조별과제는 역대급 재앙운이 아닌이상 학점 쉽게 받을수있어요.
14/08/23 22:36
수정 아이콘
양자역학 들어본 입장에서 닥후입니다.
양자1,2로 책 반으로 나눠서 2학기동안 해도 어차피 못 알아먹습니다.
한학기만에 끝내면 안드로메다 2번 갈거 1번 가고 학점도 덜 빵꾸나니까 이드기여
14/08/23 22:47
수정 아이콘
내가 잘해서 학점 따면 되니까 무조건 닥후입니다.
화잇밀크러버
14/08/23 22:58
수정 아이콘
닥 전이요.
전자로 점수 따기가 쉬운 타입입니다.
까짓 조별 과제 혼자 다하면 되죠.
14/08/23 23:10
수정 아이콘
.... 댓글 보니 어느 쪽이든 닥전 닥후는 아닌 것 같네요
14/08/23 23:18
수정 아이콘
학점을 신경 안쓰는 문과생이라면 후자는 그냥 날로먹는거죠.
14/08/23 23:19
수정 아이콘
닥전인데 이건....

점수따기 아주 좋은 조건입니다.
14/08/23 23:20
수정 아이콘
벨붕... 특히 타과 수업 들을때 조별과제 없는것만 골라들었어요
14/08/24 00:13
수정 아이콘
이... 이걸 전자를 선택하는 분들이 계시는군요. 저한테는 문화컬처네요.
기계공학
14/08/24 00:49
수정 아이콘
공부하기 귀찮아서 다 잘 안하고 문제도 쉬운교양은 후자 전공은 닥 전자...
레이몬드
14/08/24 02:19
수정 아이콘
공학인증이라는 개떡같은 것 때문에 대부분의 전공과목이 팀과제(발표포함) 1~2회 + 챕터 끝날때마다 연습문제 풀이 + 시험 3~4회였던
저에게는 천국과 같은 환경이네요.
전자로 하겠습니다.
14/08/24 10:40
수정 아이콘
내가 쌀 것 같은 과목이라면 전자, 자신 있는 과목이라면 후자.
라라 안티포바
14/08/24 15:43
수정 아이콘
이거보다 과목이 뭐냐, 교수가 누구냐가 중요하지 제도가 중요한건 아니더라구요.
극복이
14/08/24 16:10
수정 아이콘
남자들은 후, 여자들은 하, 둘이합쳐 모두 같이 후! 후! 후! 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16263 [기타] [기타] 씨리얼은 기다렸다 드세요. [60] 참새9308 14/08/23 9308
216262 [유머] [유머] 5대 메가포켓몬 [13] 좋아요7122 14/08/23 7122
216261 [기타] [기타] [퀴즈] PGR 90%가 의견이 갈릴 확률 문제 [32] atmosphere5162 14/08/23 5162
216260 [기타] [기타] 토성의 태풍.jpg [13] 톼르키8662 14/08/23 8662
216259 [스포츠] [스포츠] 발리에서 생긴일 (국내축구) [15] 네라주리4536 14/08/23 4536
216258 [유머] [유머] 탈덕게임 [13] 잔인한 개장수4105 14/08/23 4105
216257 [기타] [기타] 목성.gif [31] 톼르키10029 14/08/23 10029
216256 [기타] [기타] 허락되지 않는 드립 [14] 다솜8900 14/08/23 8900
216255 [유머] [유머] 치킨 중독 테스트. [5] 잔인한 개장수5161 14/08/23 5161
216254 [기타] [기타] 역설사의 하트 오브 아이언 4 시연 [4] 요정 칼괴기3614 14/08/23 3614
216253 [기타] [기타] 대학생들의 선택은? [80] Darth Vader9854 14/08/23 9854
216252 [기타] [기타] [황우석 계층] PD수첩 제보자의 기막힌 예측력 [7] Alan_Baxter7053 14/08/23 7053
216251 [유머] [유머] 난 사실 침팬지가 아니다. [2] 잔인한 개장수3441 14/08/23 3441
216250 [유머] [유머] 요새 약빤 배달의 민족 광고 [19] 로마네콩티7872 14/08/23 7872
216249 [유머] [유머] 주식이란... [9] 요정 칼괴기6274 14/08/23 6274
216247 [기타] [기타] [스타1] 보통 저그 송병구 아비터와 아칸은 어디서 나왔을까? [6] kien3674 14/08/23 3674
216246 [스포츠] [스포츠] 전 롯데 외국인선수 사도스키의 조성환선수 은퇴 응원멘트 [7] 살앙하는차3432 14/08/23 3432
216245 [기타] [기타] [스타1] '김명운'이 '이제동'을 '개인리그'에서 '5전 3선승'인 '저저전'에서 승리 [9] kien4364 14/08/23 4364
216244 [유머] [유머] '비법' [20] 길갈7359 14/08/23 7359
216243 [유머] [유머] 이 개 좀 잡아가세요 [9] Suite5157 14/08/23 5157
216242 [기타] [기타] 카카오톡... 새로 나오는 서비스.jpg [26] hola26710151 14/08/23 10151
216241 [스포츠] [스포츠] [WWE] 레슬링 본 이래 가장 감동적이었던 장면 [1] 이직신3308 14/08/23 3308
216240 [스포츠] [스포츠] 발로텔리 등장에 심하게 감격한 리버풀 팬 [3] 요정 칼괴기4240 14/08/23 42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