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4/08 00:13:36
Name 치열하게
Subject [일반] [7] 제(祭)
제(祭)




얼굴도 모르는 이에게 밥을 해주고 떡을 해준다는 것은

모름지기 어려운 일이다

하물며 술은 어떠냐



고맙다는 말조차 들을 수가 없다

입맛에 맞는지 알 수도 없다

잔을 부딪칠 수도 없다

그저 빙 돌릴 뿐



이야기를 나눠본 적도 없다

그렇다고 원을 들어주는 거 같지도 않다

수저를 옆으로 누이며

하던 대로 따를 뿐이다



그러나 상여의 무거움을 알게 되고

고맙다는 말도

부딪히는 술잔도 무슨 소용이랴



바랬던 가장 큰 원을

스스로 감아버린 사람에게

빌어서 뭐할지냐



열린 문 사이로

바람뿐이던가

눈을 감고

홀로 말을 건다



밥이든 떡이든

쉬운 일이 아니던가

하물며 술은 어떠냐


================================================================


언젠가 제사를 지낼 때 동생들이 저에게 말을 한적이 있습니다.

'제사 왜 지내야 하는 지 모르겠다고.'

사실 저도 잘 모릅니다.

그저 예전부터 하던 것이었기에

으레 그러려니 했었지요.

사실 크게 관심도 없었습니다.

집안 행사가 있을 때마다 제 또래에서는 제가 가장 높은 출석률을 가지고 있지만

소심한 성격 때문인지 참석해야하는 건가 해서 참석했었던 것 뿐

그 누구보다 나몰라라 할 자신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이 참석률은 미약하게나마 부모님 발언권을 높여드리기에 조금의 효도이긴 할 겁니다.)



인생에서 여지껏 장례식장에 두 번만 참석할 만 큼 죽음과 가깝지 않았습니다.

시골 어르신이 돌아가셔도 멀기도 했고 어리기도 해서 전 가지 않았죠.

자라면서 아는 사람이 늘어났지만 제가 참석해야할 자리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그 두 번 중 한 번은 정말 가까운 사람이었습니다.

제 이름을 지어주신 작은 할아버지



그러고보니 저의 친가와 외가의 할아버지들은 정말 예전에 돌아가셨습니다.

제 또래는 아예 본 적이 없습니다.(심지어 며느리들과 사위들도요.)

그러니 기억도 없고

추억할만한 것도 없죠.

그런데 일 년에 한 번 와서 음식 차려놓고

절을 하라고 하니

머릿속에 물음표가 남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겠지요.



그러던 중

기억이 살아있고,

예뻐해주시고 귀여워해주시던 추억이 있는

작은 할아버지가 돌아가시니 느낌이 살짝 달랐습니다.




한편, 자세히 기억이 안 나지만 TV에서 인상깊었던 장면이 있었습니다.

아마 남자로 기억하는 데 감옥이었나 아니면 어디 집이 아닌 먼 곳에 살고 있었나

그 남자는 며칠동안 자기 먹을 거 안 먹어가면서 음식을 챙겨놓는 겁니다.

자기도 엄청 힘든 상황이면서 음식을 챙겨서 하는 것이 바로

어머니 제사였습니다.

초라한 제사상이라도 그 남자는 어머니 제사를 챙겨드리고 싶었던 거지요.
( 그래도 음식은 결국 남으니 크게 손해 본 것은 없겠지요.)

그 장면을 보면서 느끼는 것이 있었습니다.

그 마음이요.




결국 제사의 본질이란 '죽은 자에 대한 산자의 기억법'이 아닐까 합니다.

정확히는 기억법 중 하나겠지요.

누군가는 기도를 할테고

누군가는 음식을 차릴테고

누군가는 모여서 이야기를 할테고

진중한 분위기도 있을거고

떠들석한 분위기도 있을거고

다 각자의 기억하는 방법이 있지 않겠습니다.



다만 제사가 형식에만 너무 치우치기도 하고,

제사상 자체를 며느리들만이 준비하는 등의 폐단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4/08 13:50
수정 아이콘
좋은글인데 댓글이 없는것이 다들 좋은글에 사족이 되는 댓글을 굳이 달고싶지 않았나봅니다. 잘 읽었습니다
치열하게
18/04/08 14:21
수정 아이콘
저야말로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8/04/08 14:06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치열하게
18/04/08 14:21
수정 아이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스터충달
18/04/08 14:16
수정 아이콘
<코코>가 생각나네요.
리멤버 미... (왈칵)
치열하게
18/04/08 14:22
수정 아이콘
한편으론 코코에선 죽은 자들의 시선을 볼 수 있었죠. 무슨 진수성찬을 바라겠습니까 그저 잘 살고 날 기억해주는 모습이면 '그거면 됐다'라 하지 않을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5686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3471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7507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3456 4
105070 [정치] (수정) 국힘, 정부조직법만 필리버스터하게 됨 [23] 다크서클팬더1347 25/09/25 1347 0
105069 [일반] 이륜차 자동차전용도로 통행 허가 요청에 관한 청원 참여요청 [76] DogSound-_-*2985 25/09/25 2985 2
105068 [일반] [NYT] 트럼프의 이중성: 대중앞에선 비난-개인적으론 회유 [24] 철판닭갈비2808 25/09/25 2808 0
105067 [정치] 오세훈 "한강버스 세금으로 운영? 가짜뉴스…꼭 필요한 인프라" [116] 전기쥐6556 25/09/25 6556 0
105066 [정치] 한국, ‘독재의 길’ 7단계 중 이미 5단계… 배회하는 선출독재의 유령 [246] 핑크솔져10481 25/09/25 10481 0
105065 [일반] 실제 용병들의 전쟁방식을 알아보자 [3] 식별2545 25/09/25 2545 11
105064 [정치] 흥미롭게 흘러가는 동해가스전 [52] 몰리6804 25/09/25 6804 0
105063 [일반] 차은우는 과연 막차를 탄 것일까? [23] 카레맛똥6079 25/09/25 6079 1
105062 [일반] [역사] 정반합으로 보는 기하학의 역사 [3] Fig.11830 25/09/24 1830 10
105061 [일반] '어쩔수가없다.'를 봤습니다.(강스포) [24] 헝그르르2939 25/09/24 2939 0
105060 [일반] 첫 애플 무선 이어폰,에어팟 프로3 간단 사용기 Lord Be Goja2212 25/09/24 2212 2
105059 [정치] 기득권과 극우가 이재명을 무서워하는 이유 [231] 갈길이멀다8822 25/09/24 8822 0
105058 [정치] 오늘날 한국 젊은이들이 느끼는 결핍은 [105] ipa7772 25/09/24 7772 0
105057 [일반] 아이폰17프로맥스 /간단 사용기 [36] Lord Be Goja4255 25/09/24 4255 5
105056 [일반] 트럼프 대통령, 유엔에서 주권 옹호하고 세계화 거부 [126] 유머9141 25/09/24 9141 4
105055 [정치] 무안공항 사고 관련으로 지난주에 SBS에서 기사를 내놓았는데 조사위원회가 사과를 한 게 있네요 [36] petrus8043 25/09/24 8043 0
105054 [일반] 여우와 사자의 전쟁 [1] 식별2690 25/09/24 2690 5
105053 [일반] [스포] 체인소맨 극장판 - 레제편 후기 [49] 한뫼소4489 25/09/23 4489 3
105052 [일반] 크라임씬 제로 1-4화 후기 (줄거리 언급 없음) [25] wannabein4483 25/09/23 4483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