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29 10:08
박찬욱 다움이 호불호의 영역이었는데, 박찬욱 다움을 없애버리니 다시 호불호가 되는 영역. 어차피 브랜드라면 그대로 가는게 맞는거 같아요.
헤어질결심이 흥행못했다고 노선을 틀어봐야... 밍숭밍숭하단 느낌만 받았습니다
+ 25/09/29 14:11
근데 전 사실 이런 평이 잘 이해가 안가긴 합니다. 박찬욱 다움이 뭘 말하는거고, 어떤 부분이 빠져서 박찬욱 스럽지 않다는건지를 잘 모르겠어요. 너무나 박찬욱 스러운 영화인거 같은데... 흐음. 보는 관점이 어떻게 어긋나 있는걸까요?
25/09/29 10:52
손익은 이미 개봉 전에 넘겼다고 하네요. 해외 서평이 극찬인 이유가 있죠. 저도 상당히 재미있게 봐서, 이게 재미없다고? 란 느낌이긴 한데... <헤어질 결심>보단 오히려 덜 대중적인 거 같기도 하고... <헤어질 결심>과 <어쩔수가없다> 중 뭐가 좋으냐 하면 <헤어질 결심>이 좋은데, 연기는 <어쩔수가없다>가 너무 좋아서 또 애정하는 느낌입니다. 이병헌은 진짜 연기의 신인가 싶어요. 그리고 이 풍자극의 가장 격렬한 부분은 역시 AI가 지배하게 될 미래에 업주를 제외하고 인간 노동자끼리 서로 그 하나 남은 일자리 얻으려고 죽고 죽인다는 느낌이 너무 절절하게 와닿았네요. 반면 이 영화에서 가장 싫었던 불호의 영역은 역시 차승원 캐릭터의 죽음이었던 것 같습니다. 아무리 영화라고 해도 이 정도 불편함은 참아내기가 쉽지 않네요. 와이프 경우는 마지막에 박휘순 죽이는 장면이 너무 싫었다고. 으음 이건 박찬욱 전매특허니까... 좌우지간 어제 100만 넘겼고 추석 연휴도 있으니 200만은 무사히 넘길 거 같긴 합니다.
+ 25/09/29 13:19
그 뉴스 저도 봤는데 참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박찬욱 감독 작품 좋아하는 편이지만, 그렇게 대중적이라고 생각하진 않아서 흥행 성적 안나와서 거기 쫓길까봐 걱정되는 감독이거든요.
25/09/29 10:59
저는 재미있다 재미없다 수준인데 같은 영화를 봐도 이렇게 해석을 할 수 있군요. 몰랐던 부분 많이 알고 갑니다. 좋은 후기 감사합니다.
25/09/29 11:24
잘 모르겠더라구요
잘(공들여) 만든 영화인데 재미가 없다. 공감하기가 힘들다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처음부터 해외시장을 타겟팅한건가? 등장인물들 설정도 너무 말이 안되는게 많은 것 같고 .... 그래도 좋았던 점은 이병헌은 확실히 승부와 어쩔수가없다 연타석 홈런을 날리면서 연기의 신에 등극하는 것 같고 연기를 잘한다 어쩐다 생각해본적이 없었던 손예진을 이번에 다시 봤습니다. 박휘순도 진짜 연기하기 어려운 케릭터였을 것 같은데 잘 한 것 같습니다.
+ 25/09/29 14:14
손예진씨 연기 좋았죠. 전 오히려 이병헌씨는 연기를 못해서 그러는게 아니라 워낙에 평균치가 높으니 딱히 감흥이 없달까? 이번 작품에서도 잘했지만, 늘 잘해왔던 배우라서 별 생각이 안 들더라고요.
25/09/29 11:26
박찬욱 감독이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 장면 하나 하나 마다 의미가 담겼으니 대단한 작품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대중성은 영 아니라고 봅니다
좋은 영화가 꼭 흥행하는 영화는 아니니 추석 명절에 이 정도의 우울한(?) 블랙코미디를 가족이 즐기기는 좀 역시 박찬욱이라는 탄사도 나오지만 또 역시 살인 장면 등에서 역시 박찬욱이네 말이 나옵니다. 이제 정말 한국 극장가는 범죄도수만이 유일 희망인가!
25/09/29 11:33
이 대중 반응의 기준점으로 볼만한 게 이번 '김단군' 유튜버 내용이더라고요. 처음 올릴 땐 너무 공감이 안 된다고 B 점수를 줬는데, 그때 볼 때 컨디션도 안 좋고 너무 졸려서 뭐라는지 모르겠는데 차라리 다시 보고 평가해 보자, 하고 다시 봤더니 그제야 재미난 부분들이 보여 S 등급으로 올라버린. 그러면서 이렇게 말하더라고요. '한 번에 보고 그 내용이 보이면 좋은 거고, 그게 안 보였다고 했다면 그건 영화가 잘못한 거지 그걸 감독의 의도를 이해 못 했다고 해선 안 된다' 공감이 가더라고요.
+ 25/09/29 13:27
관객이 잘못했다는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게 영화가 잘못한거도 아닐껀데... 좀 묘한 이야기네요. 작가주의 성향이 섞인 영화의 대부분은 한번 보는걸로 해석이 안될껀데, 당장 기생충만 하더라도 전문적인 평론가들 제외하고 기생충의 메타포를 한번에 읽어내는 사람이 얼마나 된다고... 그런 기생충도 잘못된 영화게요. 그냥 추구하는 바가 다른거고, 난 재미없던데, 하고 갈길 가던가, 어 이거 궁금한데? 하면 재관람을 하기도 하고 시간을 들여 사유해보기도 하고 그러는게 맞겠죠.
25/09/29 12:01
전 그럭저럭 봤습니다
엄청난 호평하고 싶은 영화는 아니고 잔잔한 비인간화의 아우성 비주얼 적으로도 공을 들인거 같은데 극장보다 고화질 모니터로 보는게 더 깔끔할 것 같다는 느낌 최근에 브레이킹배드를 보고 있는데 가장의 무게로 빗어내는 범죄라는 것에 대해 비슷한 느낌을 받네요
+ 25/09/29 14:02
제가 스포 후기로 나름 공들여 작성하긴 했지만, 사실 저도 재미있냐 재미없냐 하면 재미있는 쪽이지만 그렇다고 막 대단히 재미있게 보진 않았습니다. 박찬욱 감독님 작품중엔 쏘쏘 정도?
+ 25/09/29 12:40
영화도 재밌고 글 도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이동진 평론가는 박찬욱 영화중에 가장 대중적인 느낌으로 유머가 가득차 있는 영화라고 평했는데, 저도 박찬욱 감독의 모순적이고 뒤틀려있는 상황에서 주인공들의 어쩔수없이 발현하는 일련의 사건들과 상황 대사 행동들이 쓴웃음을 만들고 이게 코드가 맞으면 괜찮은거 같아요.
실직한 남자의 이야기로 시작되서 살인까지 엮어있고 묘한 유머코드가 초기작인 복수는나의것이 연상됐는데 특히 이번 영화 제목이랑 복는나의것 마지막씬에서 신하균 죽일때 대사가 연상 되더라구요. 2회차 관람하면 더 재미있을거 같네요.
+ 25/09/29 13:00
제가 생각했던것과 비슷하네요.
저는 영화 재미있게 봤고 높은점수 주고 싶습니다. 진짜 올해 영화관안에서 가장 많이 웃었습니다. 코미디 영화 장르였던 좀비딸은 심드렁하게 봤는데 어쩔수없다는 자주 웃은거 보니 저는 이런 유머가 취향인듯 하네요. 추천하고 싶은 영화인데 주위에서는 다 평이 안좋으니... 올해 한국영화는 얼굴/어쩔수없다 2개가 가장 괜찮았습니다.
+ 25/09/29 14:06
코미디가 워낙 취향을 타는데다가 블랙 코메디는 더더욱.. 개인적으로는 블랙 코메디로는 괜찮은데 그냥 코메디 타율이 조금 아쉬운거 같아요. 2번 봤는데 이병헌의 아 안돼~! 장면에서 웃음 소리를 한번도 안들리더라고요.
+ 25/09/29 13:13
감독 이름을 알고 본 영화이기에,
일단 재미가 있으면서 동시에 고민할 메세지가 담긴 수준의 작품을 기대했는데, 막상 보고나니 영화가 재미가 없었고, 연기력 출중한 배우들을 제대로 활용하지도 못했고, 메세지 조차도 강력하지 못했기에 실망감이 컸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제목이 어쩔 수가 없다인 만큼 절묘하게 상황이 맞아떨어지며 어쩔 수가 없는 선택지로 계속 진행되어 가며 관객의 예측을 요리조리 피해가는 절묘한 전개를 기대했는데, 솔직히 절묘한 느낌은 전혀 못받았어요. 손예진은 나이 먹어도 귀엽고, 그 와중에 이병헌은 연기 잘하는구나 정도를 느꼈고, 굳이 OTT에서 다시 찾아보지는 않을 듯 하다는 생각입니다.
+ 25/09/29 13:25
저는 박찬욱 감독 영화 중에 제일 '웃겼'습니다.
영화를 코미디로 받아들이느냐 아니냐, 그리고 이러한 블랙코미디에 대한 수용도가 어떻느냐가 평을 갈리게 하는 것 같아요.
+ 25/09/29 14:28
아들하고 같이 봤는데, 나무 심는 신 전후의 화면과 대사 처럼 재미있게 본 장면이 귀멸의 칼날 좋아하는 10대 청소년에게는 그다지 도파민 분출을 일으키진 않나봐요. 저는 화면이 예쁘고, 대사가 달라붙는 느낌이 좋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