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9/27 22:04:54
Name 카레맛똥
Subject [일반] 그래서 XXX는 영포티 브랜드인가요? (수정됨)
영포티로 활활 타오른 가운데 뇌절한번 더 해보겠습니다.

AI가 만든 영포티 런웨이
https://www.youtube.com/shorts/MyhRnCKebHc?si=1RBKW08hbBUlL0qn

최근 유튜브 쇼츠 중에 제일 감탄해서 봤던 작품입니다. 외모서부터 브랜드까지 커뮤니티발 영포티 패션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면 도대체 영포티 패션이 뭐길래 이리들 난리일까요?

사실 영포티 패션들의 브랜드는 하나하나 따져보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영상에서도 나오는 수프림, 조던덩크, 스투시서부터 우영미, 요시다포터, 스톤아일랜드, 팔라스, 메종키츠네, 솔리드옴므, 준지, 휴먼메이드, 옴므플리, 크롬하츠, 아더에러 등등등 지금 인터넷에서 영포티 패션으로 찍힌 브랜드들은 과거에는 20대들에게도 없어서 못팔던 브랜드고 현재도 한 시대를 풍미하고 있습니다. 보여준 서사에서부터 선도적인 디자인 등 모두 패션에서 한 획을 그은 멋진 브랜드들 입니다.

하지만 이 브랜드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분명히 있습니다. 그리고 이게 영포티 서사와 어느정도 맞물려 놀림아닌 놀림을 당하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1. 100m 밖에서 봐도 무슨 브랜드인지 알 수 있다 (로고 플레이 등)
첫 번째 공통점은 내가 어떤 브랜드의 무슨옷을 입고 있다!라는 티가 매우 많이 난다는 점입니다. 스투시의 전면 사인로고, 수프림의 레드 박스로고, 우영미의 백레터, 아미의 하트로고 등등..위의 언급된 브랜드는 모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그니처 로고가 다 있습니다. 로고 플레이도 패션의 한 영역이긴 합니다만 지나치면 자기과시의 영역으로 빠질 수 있기에 입을때 상당히 신중하게 맞춰야 하는 어려움이 있죠.

2. 과거에 엄청난 유행과 하입을 받은 적이 있다
저 브랜드들 모두 현재도 훌륭한 브랜드들 이지만 사실 과거에는 더 엄청난 하입을 받았었습니다. 10대 20대들 사이에서 엄청나게 유행했고 소위 말해 클론들이 넘쳐났던 브랜드들이었죠. 거듭 강조 드립니다만 지금도 당연히 훌륭한 브랜드이지만 현재 트렌드에 밀접하냐를 물어보면 물음표 마크가 떠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즉, 브랜드의 이미지 소비가 급격하게 한 번은 소모됐던 공통점이 있습니다.

3. 제대로 향유하려면 엄청난 비용이 든다
이미테이션을 입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저 브랜드들은 반팔 티셔츠하나만 해도 10만원 이상은 기본으로 소비되고 아우터 쪽으로 가면 돈 몇백은 들 수도 있는 제품들입니다. 명품의 영역까지는 아니지만 타 브랜드 대비 가격은 매우 살벌하죠. 당연히 경제력이 뒷받침 되어야 제대로 즐길 수 있는 브랜드들 입니다.

위의 세 가지 특징을 정말 단순하게 종합하면 '내가 무슨 옷을 입는지 너가 알아야 하고 난 유행템도 잘아는 트렌드 세터(근데 과거)이며 돈도 많음'을 나타내고픈 패션입니다. 이게 커뮤니티에서 영포티 패션을 놀리는 핵심이겠죠.
40대 분들 입장에선 억울할 수도 있습니다. 내가 아는 브랜드, 내가 젊었을때 유행하던 브랜드, 걍 좋다고 들은 브랜드 큰 맘먹고 입은건데 도매금으로 영포티 브랜드로 싸잡혀서 놀림당하니 얼마나 당황스러우시겠어요.

사실 저 브랜드 중에는 저도 몇 개는 즐겨 입는 것들이 있고 아직도 힙하다고 생각하는 브랜드도 많습니다. 좋은 브랜드들이 사회 현상과 밈들과 맞물려 평가절하 당하는건 어제오늘 일은 아닙니다. 급식충들의 친구였던 노스페이스, 문신돼지들의 영원한 로망 톰브라운, 압구정 제이미맘의 최애 몽클레어 등등 특정 이미지와 결부되어 브랜드 가치가 하락했던 예시는 수 없이 많습니다. 과연 저 브랜드들이 "그래서 이건 영포티 브랜드인가요?"하는 물음을 어떻게 돌파할 것인지 지켜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가 될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솔로몬의악몽
25/09/27 22:10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아 긁히네요 사실 전 로고가 크게 안박힐거면 뭐하러 비한 옷 입는지 아직도 이해 못하는 1인입니다 크크크크
25/09/27 22:10
수정 아이콘
지금 불타고 계신 몇분은 본문의 글은 어원일 뿐이고 실 사용례는 지극히 정치적이다라는 생각이 확고하시기 때문에 정성들여 쓰신 글은 별 의미가 없다고 생각할겁니다 흐흐흐
짭뇨띠
25/09/27 22:11
수정 아이콘
과거엔 좀 생겼어도 나이들면 어쩔 수 없이 몸매나 피부나 나이들어 보일 수밖에 없어서
연예인에 준하게 관리하고 신경쓴 것 아니면 저런 고가 하이프 브랜드를 입어도 언밸런스해요
배나온 제 중학교 동창 친구가 저런 브랜드를 선호하고 하필 이번에 차도 카니발로 바꿔버리고
주식 잘되라는 미신으로 금목걸이까지 걸어버리니 영락없는 영포티 패션같아져 왜 벌써 영포티 옷입냐 놀리니 자기도 영포티 패션인거 좀 알고 웃더군요.
그런데 본인은 만족한가 봅니다. 돈 쓰는 재미니까.
25/09/27 22:16
수정 아이콘
헛, 제가 이 맥락을 잘 이해 못하고 있었는지 모르겠는데, 제가 보기에 영상의 1, 2, 4번은 관리도 좀 되어있고, 그냥 자기스타일대로 잘 입은사람처럼 보이는데, 희화화의 대상이 되나요?
김김김
25/09/27 22:20
수정 아이콘
그냥 3~40대들이 많이 입을 법한 패션을 들고와서 영포티 패션이라고 하는 거죠. 도리어 이거야말로 진짜 맥락없는 혐오에 가깝습니다 크크 
디쿠아스점안액
+ 25/09/28 07:00
수정 아이콘
1,2,4번 형님들 실제 뵙게 되면 식단 운동 어떻게 하시냐고 여쭤볼듯...
김김김
25/09/27 22: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영포티 패션이 브랜드에 연계가 되는가 하면 솔직히 모르겠어요.

나름 패션 트렌드 좀 따라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본문 글에 나열된 브랜드 중에 진짜 퇴색된 브랜드는 수프림, 스톤, 뭐 언급 안 되었지만 톰브라운 정도라고 생각하거든요. 아더에러는 당장 신생브랜드고 이세이미야케는 애초에 로고플레이도 안 하는 쪽이죠. 스톤이나 스투시 수프림 톰브라운이 맛 가기 시작한 건 영포티 밈 부상 전에 이미 영 아닌 브랜드로 찍혔었구요(사실 맛이 간다는 것도 한국 내에서의 인식이기도 하고).

결국 패션에서 중요한 건 자신의 세계관을 표출하는 건데, '영포티 패션'이라는 말이 유행하는 거 보면 개인적인 입장으로는 '또 한국 사람들이 한국 하는구나' 라는 생각밖에 안 들어요. 왜 이렇게 패션을 범주화시키지 못해서 안달일까요?
카레맛똥
25/09/27 22:41
수정 아이콘
저도 브랜드 정리하면서 깨닫긴 했는데 몇몇은 20대들이 이미 단맛 다 즐기고 브랜드 이미지 소비 다해버려서 유행 좀 지나니 영포티 패션이란 명분으로 폐기처분한 느낌이 강하게 들었습니다 크크
김김김
25/09/28 00:52
수정 아이콘
솔직히 커뮤에서 영포티 패션 운운하는 사람들이 그래서 니들은 뭘 입나 보면 2030 주류 커뮤니티인 펨코 포텐이나 실베같은 데에서는 아직도 비캐를 못 받아들이고 정장은 무조건 포멀이지 포터리는 개 거지브랜드니까 가져다버려라 하고 있고 다른데도 비슷하죠. 패션에 그냥 관심도 없는데 그냥 말은 얹고 싶은 사람들이 트럭 단위로 널렸죠. 

그렇다고 펨코 패션게니 디시 남패갤이니 하는 패션커뮤에서 올라오는 것들 보면 죄다 일본에서 10년전에 이미 시도하던 라바콘류 패션으로 통일하고 있어요. 이게 영포티 패션하고 다른가요? 죄다 똑같이 바지로 바닥청소나 하는 건데.

좀 거칠게 말하자면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그냥 패션이 아니라 교복을 입는 거나 마찬가지죠. 이른바 ‘영포티’만 그런가요? 젊은 층도 핫하다는 외국 실루엣 카피한 도메브랜드 나오면 우르르 가서 사고 요즘엔 뭐가 핫하니까 뭐가 입어야지 어쩌고 저쩌고 그냥 유행의 앞쪽 줄에 서 있다는 거지 다른 건 뒤쪽 사람들이랑 하나도 없어요.

이런 상황인데 이제는 어떤 패션을 입으면 영포티니까 혐오받아야한다니 참 할 말이 없는 상황입니다. 
카레맛똥
25/09/28 01: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하신대로 패션의 교복화라는게 40대들 문제도 아니고 그냥 한국 특성인거 같습니다. 모나미룩에서부터 지금 바닥쓸기 와이드 팬츠까지 그냥 우르르 입어서 클론룩 만드는건 20이나 저 브랜드 입는 40이나 똑같은거 같은데 특정 브랜드 입는다고 조롱받는게 안타까워요.
마일스데이비스
25/09/27 22:22
수정 아이콘
흠근데 포티들이 저렇게 입든 말든 진짜 관심이 1도 안생기는군요
머스테인
25/09/27 22:24
수정 아이콘
‘불혹’은 ‘아니 불(不)’과 ‘미혹할 혹(惑)’이 합쳐져 세상일에 흔들리거나 미혹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40세가 되면 외부의 유혹이나 혼란에 쉽게 동요되지 않고,
스스로 판단하고 자신의 길을 흔들림 없이 걸어갈 수 있는 단계로 여겨왔지만
요즘은 비교적 옛날보다 젊어진 외모 만큼이나 불혹이라는 경지까지는 오르지 못하는 것 같군요.
육체적으로 어른이 된다고 해서 꼭 어른이라 부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가 아닌가 싶습니다.

남들이 부르길 영포티면 어떻고 올드포티면 어떻습니까.
40살이 넘어 불혹의 경지에 오르는 것이 스스로의 삶에는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5/09/28 03:37
수정 아이콘
영포티에 긁힌 분들이 꼭 읽어봐야하는 댓글이군요. 
25/09/27 22:26
수정 아이콘
잼민이, MZ문화, 그리고 영포티. 음 다음엔 어디 차례지? 그냥 오면 맞아야 하는건가.. 크크크크 저도 이제 영포티 나이와 가까워지니 그냥 조금 신경쓰게 되더라구요. 옷차림도 언행도 한 번 더 돌아보게 되고.. 특히 나이차이나는 동료직원과의 말을 최대한 안섞게 되더라구요.
잼민이,MZ 새대들이 한참 조리돌림(?) 문화 유행할 때 그냥 맞았던 것처럼 나도 그냥 맞으면 되겠죠..? 크크
인간실격
25/09/27 22:29
수정 아이콘
첫번째 두번째는 스타일링 괜찮네요 크크

근데 솔직히 40대가 입고 안입고를 떠나서 나열된 브랜드들 하나같이 이미지 소모가 극심해서 좀 꺼려지는 계열이긴 합니다. 특히 크롬 톰브라운 스톤 이런애들은 거의 사장됐죠. 슈프림은 당근에서 공짜수준으로 팔아도 안 팔리더군요 크크
25/09/27 22:3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고증 제대로 했네요
25/09/27 22:49
수정 아이콘
아니 스투시는 이거 진짜 누가 나 개인사찰 했나 싶은 패션인데여 크크크크크크
25/09/27 22:56
수정 아이콘
더이상 핫하진 않은데 입는 사람은 핫하다고 믿는 브랜드들 저격이죠 뭐
JILLSTUART
25/09/27 23:03
수정 아이콘
도메스틱에서 일부러 이런 자료들 만들어서 뿌린다는 음모론(?)도 있었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도 없이 곳곳에서 자연발화하는 모양새네요 크크..
유동닉으로
25/09/27 23:04
수정 아이콘
위의 세 가지 특징을 정말 단순하게 종합하면 '내가 무슨 옷을 입는지 너가 알아야 하고 난 유행템도 잘아는 트렌드 세터(근데 과거)이며 돈도 많음'을 나타내고픈 패션입니다. 이게 커뮤니티에서 영포티 패션을 놀리는 핵심이겠죠.

그런데 소위 '긁' 논리에 따르면 영포티 거리시는 분들은 저 패션에서 '돈도 많음' 에서 긁힌 걸까요.
카레맛똥
25/09/27 23:23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경제력일수도 있고 자기몸에 어울리지도 않는 브랜드 입는 비웃음일수도 있고 아재들이 한 물간 브랜드 입는다는 멸시일 수도 있고 돈자랑에 허세라고 볼수도 있고 복합적이겠죠 크크
25/09/27 23:29
수정 아이콘
그런데 생각해보니 뭐 조롱하는거야 개인자유라고 쳐도
어렸을때 돈없어서 나이키는 커녕 프로스팩스나 지하상가 짝퉁 신고 이제야 좀 먹고살만해서 조던도 사보고 티셔츠도 사보고 해서 뭐 남들에게 혐오감 느끼는 패션도 아닌데 조롱당하는건 좀 억울하긴 해여
학교다닐때 에어포스만 신어도 우와 우와 했었는데 때잉
엑스밴드
25/09/27 23:31
수정 아이콘
저도 포티라 괜찮아보이네요 크크 이게 z세대랑 차이겠죠
오라메디알보칠
25/09/27 23:48
수정 아이콘
이 또한 지금의 MZ가 곧 입게 될 착장입니다 크크크
만두무강
25/09/27 23:59
수정 아이콘
40대인 제가 볼때 꽤 쌈뽕해 보이는 패션이군요? 크크
장헌이도
25/09/28 00:14
수정 아이콘
홈쇼핑에서 세 장씩 사 입는 저는 그냥 올드포티구만요.
솔로몬의악몽
25/09/28 00:21
수정 아이콘
앗 그정도면 충분히 패션리더십니다. 저는 주변 '워크업'에서 옷을 삽니다. 와이프가 대체 이런 곳에서 왜 옷을 사냐고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죠 크크크크
25/09/28 00:18
수정 아이콘
노스페이스, 코오롱, 아디다스는 어떨까요?
차은우
25/09/28 00:29
수정 아이콘
방금 보고온거 같은데
25/09/28 00:33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옷을 유니클로에서 사고, 품질 좋은 옷을 입고 싶으면 가끔씩 빈폴을 기웃거리는 40대 아저씨인 저로서는 저 유튜브에서 AI로 창조한 사람들의 스타일이 세련되어 보이네요. 비슷한 사람끼리 모이는 법이라서, 제 주변에서 패션에 신경을 쓰는 사람은 거의 없고, 공통 관심사는 건강/재테크/자식교육/부동산으로 좁혀집니다. 그래서 영포티든 올드포티든 의류 브랜드의 특성을 잘 알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40대를 만나면 되게 신기하고 좋은 의미에서 대단해 보일 것 같습니다.
25/09/28 03:42
수정 아이콘
건강/재테크/자식교육/부동산에 관심있는 40대가 사실 가장 무난하고 주변에서 보기 쉽지 않을까요. 
25/09/28 00:51
수정 아이콘
40대가 20대때 입었던 옛날 패션이라 유행 지난걸 보는 느낌? 자신입게 입으면 당당해 보이긴함
여명팔공팔
25/09/28 00:55
수정 아이콘
이래서 제가 요즘 스투시를 못입..ㅜㅜ

다행히 송지오는 안보이는것 같은데..
하아아아암
25/09/28 01:27
수정 아이콘
영상봐도 무슨 브랜드인지 감도 안오는걸 보니 영포티는 글렀거나 거지거나 둘 중 하나인가보네요
십자포화
25/09/28 01:44
수정 아이콘
코스트코에서 가성비로 사입는 저는 영포티 자격 탈락이군요....
멸칭을 듣는 데도 자격이 필요한 더러운 세상!!
25/09/28 02:23
수정 아이콘
댓글보면 아시겠지만 패션은 그냥 핑계에요.
25/09/28 03:48
수정 아이콘
영상은 안보았고, 언급된 브랜드들을 보니 전혀 안입는 브랜드인 것으로 보아서 저는 영포티가 아닌 것으로 하겠습니다.^^
라이엇
25/09/28 06:05
수정 아이콘
뭐 저런거 신경안쓰고 그냥 입고 싶은대로 입으면 됩니다. 옷이 문제가 아니거든요. 물론 싸잡아서 욕먹는다는 느낌을 받으신다면 다르게 입는것도 좋겠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090 [일반] [팝송] 에이바 맥스 새 앨범 "Don't Click Play" [1] 김치찌개639 25/09/28 639 0
105089 [일반] 올해도 불꽃놀이를 보고 왔습니다 [7] 及時雨1981 25/09/27 1981 7
105088 [정치] 좌우 양쪽에서 까이고 있는 권력의 변방 3대장 [131] 유동닉으로4760 25/09/27 4760 0
105087 [일반] 중세 용병들의 일상생활을 알아보자 [5] 식별1221 25/09/27 1221 3
105086 [일반] 그래서 XXX는 영포티 브랜드인가요? [38] 카레맛똥3609 25/09/27 3609 2
105085 [정치] 민주국가는 성장을 못하는가 (2/3) 한국의 성장에 독재는 필수였나 [42] 사부작1906 25/09/27 1906 0
105084 [일반] 국가 전산망이 멈추었습니다. [39] 군림천하4013 25/09/27 4013 6
105083 [일반] 겪어보기 전엔 모르는 세계 – 부모되기 [10] 굄성953 25/09/27 953 11
105082 [정치] 종교개혁의 함의: 정치적 패배와 문화적 승리 [11] 슈테판2183 25/09/27 2183 0
105081 [정치] 2009년 국정원 심리전단이 하던 일 [208] 바람돌돌이10944 25/09/27 10944 0
105080 [정치] 영포티 타령, 인신공격의 최저선 [445] 딕시19617 25/09/27 19617 0
105079 [일반] 간짜장 썰 [17] singularian5340 25/09/26 5340 15
105078 [정치] 민주국가는 경제성장을 못하는가 (1/3) 독재를 경제성장론이 다뤄온 역사 [98] 사부작5651 25/09/26 5651 0
105077 [일반] 한국인은 왜 영어를 잘 못할까? [114] Quantumwk6169 25/09/26 6169 22
105076 [일반] 이탈리아의 영국인 용병대장, 존 호크우드 [1] 식별2703 25/09/26 2703 9
105075 [정치] 이쯤에서 보는 미일투자-관세합의각서 [164] DpnI11854 25/09/26 11854 0
105074 [정치] WSJ) 대미투자액 3500억불=>5500억불에 가까워질 수 있다 [538] 전기쥐20728 25/09/26 20728 0
105073 [정치] 영포티가 패션(브랜드)에만 적용되지 않는 이유 [162] 수지짜응9524 25/09/26 9524 0
105072 [정치] 키보드로는 영포티를 치지만 취향은 솔직한 분들에 대하여 [171] 유동닉으로10837 25/09/25 10837 0
105071 [일반] 위고비라는 약에 대해 알아보자 [9] 유유입니다4336 25/09/25 4336 0
105070 [정치] (재수정) 국힘, 정부조직법 등 4개 법안 대상 필리버스터 [36] 다크서클팬더7758 25/09/25 7758 0
105069 [일반] 이륜차 자동차전용도로 통행 허가 요청에 관한 청원 참여요청 [205] DogSound-_-*7715 25/09/25 7715 2
105068 [일반] [NYT] 트럼프의 이중성: 대중앞에선 비난-개인적으론 회유 [28] 철판닭갈비4923 25/09/25 492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