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8/15 12:14
저는 브레인 스토밍이 필요할때 OpenAI Playgoround나 Google AI Studio에서 직접 temperature 변수 설정 하는 방법을 씁니다.
+ 25/08/15 12:25
저는 "다른 사람이 이랬음" 을 즐겨 사용합니다.
???? : 누가 당신 주장을 보고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따르면 아니라던데? (사실 모름) 제미나이 : 아 그건 XX를 말하는 것인데 YY해서 아닙니다 ???? : 그렇지? 나도 그렇게 생각했어 (아님)
+ 25/08/15 12:54
관련 글이 있어 덧붙입니다. (ChatGPT 요약 중)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5-02548-0?utm_source=x&utm_medium=social&utm_campaign=nature&linkId=16213108 ‘마가렛 앤 보든(Margaret Ann Boden) 님이 88세로 별세하셨습니다. 보든은 인공지능 초기 세대 연구자 중 한 분으로, 인지과학, 철학, 컴퓨터 과학을 넘나드는 지적 활동으로 명성을 얻었어요. 특히 계산 모델을 바탕으로 한 ‘창의력’ 연구가 두드러졌습니다. 1998년 발표한 논문 ‘Creativ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에서는 AI의 창의성을 세 가지 방식—익숙한 아이디어의 조합, 개념적 공간 탐색, 변형을 통한 이전에 불가능했던 아이디어 창출—로 설명했습니다. 보든은 AI가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더 쉽다지만, 그것을 평가하는 것은 훨씬 어렵다고 주장했죠. 그런데 이제는 그 예측이 현실이 되어, 생성형 AI가 “창의적이긴 해도 반드시 지능적이지는 않다”는 점을 경고하는 상황이 됐어요. ...‘
+ 25/08/15 13:36
창의적인 양질의 결과물을 한 번의 프롬프트로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창의적이란 것은 낮은 확률의 정보 조합을 말하는 것이고, 이는 무수한 갈래의 길을 탐색하는 것과 같아, 반복적인 추출 시도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전력 수요는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거라는 예상과 마찬가지로, ai가 아무리 발달해도 창의적인 양질의 결과물을 얻는데는 역시 그만한 자원과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당장은 과도기라 엄청나게 줄어들고 있긴 하지만, 인간은 금새 뉴노말에 적응하게 될 거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