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11 00:23
좀비딸을 특별히 나쁘게 보지는 않았고 현재 좀비딸의 흥행에 딱히 불만은 없습니다만, 좀비딸 정도로만 만들면 관객들이 넓은 아량으로 찾아준다는 이야기는 헛웃음이 나오는군요. 보통은 좀비딸, 파일럿 같은 영화의 흥행은 "영화를 잘 만들면 관객은 알아서 찾는다"라는 명제가 잘못되었다는 반례로 주로 언급될 영화들이거든요. 애초에 잘 만든 영화가 무엇이냐 부터 많은 논란이 있을것이기 때문에 애초에 저 명제는 잘못 되었다는 입장입니다만, 좀비딸 정도의 완성도를 가진 영화가 없어서 여태 한국영화가 흥행에 연전연패 하고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당장 가족애라는 비슷한 주제를 가지고 흥행에 참패했던 보통의 가족이 좀비딸 보다 훨씬 잘 만들어진 영화라고 생각하거든요.
25/08/11 02:59
저도 좀비딸 재미있게 봤고 소재도 신선했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올해 극장에서 본 한국 영화 중에는 좀비딸보다 완성도가 같거나 더 높은 작품도 분명 있었어요 그래서 이 정도면 사람들이 극장을 찾는다는 말에는 솔직히 물음표가 생겨요 좀비딸은 마침 영화 관람 정부 지원이 있던 시기에 개봉했고 그 덕분에 많은 최초 관객을 확보했죠 그리고 영화 자체도 괜찮았기 때문에 입소문이 빠르게 퍼졌다고 생각하고, 그게 올해 다른영화와의 차이라고 봐요 그런거보면 좋은 영화가 흥행 확률을 높이긴 하지만 항상 그런 건 아니에요 반대로 완성도가 낮아도 우연히 흥행하는 경우도 많아요 마치 축구에서 빌드업과 전술을 완벽하게 갖추고도 계속 골대를 맞히거나 상대 골키퍼에 막히다가 세트피스 한 방에 실점해서 지는 경기처럼요
+ 25/08/11 07:46
저는 우리나라의 일반 관객들이 의외로 작품의 완성도를 깐깐하게 따지며 영화를 본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요즘의 많은 관객들은 일상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면서 유쾌하고 맘편하게 극장에서 영화를 즐기고 싶은 욕구가 더 클 것입니다. 이렇듯 흥행의 관점에서만 놓고 보자면, 관객과의 소통 능력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이른바, 관객의 욕구와 감정선을 이해하고 함께 호흡하면서 너무 앞서나가거나 뒤쳐지지 않는 리듬감과 대화 방식이랄까요. 이렇게 관객과 호흡할 줄 알아야 웃기고 싶은 장면에서 관객을 웃기고, 울리고 싶은 장면에서 관객을 울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유치한 부분이 많은 <좀비딸>이 부족한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흥행에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이 바로 이런 포인트에 있다고 생각하구요. 이러한 측면에서 '이정도라도 만들어라. 그러면 우리 관객들은 넓은 아량으로 찾아준다.' 라는 말을 본문에 적었습니다. 상업영화들에게 있어서, 막상 쉬워보여도 생각보다 어려운 숙제라고 보거든요.
25/08/11 04:25
구태의연하다는 여타 신파영화들도 '나라도 저렇게 하겠다'는 가족애, 공감대를 바탕으로 하지 않나 싶은데요. 전 신파극 팔아먹는다고 욕먹던 신과함께의 김동욱씬에서 더 공감대를 느꼈거든요. 이 영화가 뭐가 특별한 가족애, 공감대를 베이스로 하고있는지 전 전혀 모르겠긴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