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5/15 02:03:08
Name Kaestro
Subject [일반] 더 적게... 더 적게! 46키 키보드
이번에 키보드 트랜드라는 글을 보면서 '108키 아니면 불편하다', '몇 키 이하는 리모콘이다'와 같은 표현들을 보게 됐습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기 시작한 지 약 2달 정도 된 키보드가 46키 배열인데, 굉장히 만족하고 있는 입장에서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한 번 소개해보면 재밌겠다 싶어, 가볍게 소개해볼까 하는 겸 잠 깬 김에 글 올려봅니다.

거두절미하고 현재 사용중인 키보드부터 공유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iBaV0W5.jpg

키...보드?라는 말이 들 수 있는 당황스러운 물건임을 저도 압니다만 놀랍게도 이것은 키보드입니다. 그리고 아마도 여태까지 제가 써 본 모든 키보드들 중에서 가장 편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네요.

해당 키보드는 소위 corneV4라 불리는 배열의 46키 레이아웃을 사용하는 키보드입니다.

텐키리스라 불리는 95키도, 일반적으로 쓰는 108키도 아닌데 그러면 대체 없는 버튼들은 뭐로 누르는거냐?

이런 키보드들은 이제 소위 레이어라는 개념들을 사용합니다. 제가 현재 사용하는 레이어를 보여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KAjb746.jpg
D3WibBl.jpg
dAdUJl3.jpg

보시고 감이 오시는 분이 있을 수도, 아닐 수도 있는데 레이어라는 것은 동일한 키보드이지만 특정 트리거를 발생시킬 경우에 해당 키보드의 배열의 형태로 변형해서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저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0번 레이어의 키보드 배열을 사용하지만, 숫자와 방향키 등이 필요할 경우 1번 레이어를, f1~f12를 사용할 경우에는 레이어 5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고수분들의 경우에는 레이어를 더 여러개 사용하시고, 그 밖에 키 조합 같은 것도 사용하시는 모양이던데 저는 아직 응애라서 거기까지 사용하고 있지는 않네요.

-------------------------------------------------------------------------------------------------

가장 궁금해하실만한, 그래서 이 키보드가 대체 왜 편하단거냐?에 대해 답변드리자면 결국은 키보드 자체가 편하단 것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키배열을 맞춰두고 사용하기 때문에 편하다는 것이 정답일 것입니다 키보드 자체가 편한 것이 아니라.

인체공학 키보드는 저도 가장 일반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어고노믹 키보드를 굉장히 오래썼지만, 여기서 더 나가는 키보드들이 가지고 있는 철학은 보통 그렇습니다

1. 우리 손에서 가장 센 손가락은 엄지인데, 정작 왜 새끼손가락을 많이 쓰는 배열의 형태는 잘못 된 거 아냐?
2. 손가락은 덜 움직일수록 건강한데, 큰 배열의 키보드는 너무 손가락을 크게 움직여야하는게 문제다

여기에 더해 개인적으로는, 작은 키보드 배열의 경우에는 오히려 외우는 것이 더 쉽습니다. 왜냐면 손가락이 얼마나 이동해야하는지에 대해서 별도로 외워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사실 108키와 같은 클래식한 배열의 키보드의 단점은 제 생각에 결국 잘 쓰지 않는 키보드를 원래 놨을 때 잘 닿지 않는 키보드들은 눈으로 보고 독수리타법을 쳐야한다는 지점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형태의 키보드는 모든 버튼이 제가 사용하는 손을 놓은 위치 안에 있기 때문에, 레이어를 바꾸는 버튼만 익숙해지면 오히려 입력 정확도도 높아지고 속도도 빨라진다고 체험하고 있습니다.

---------------------------------------------------------------------------------------------------

저는 뭐 이런 키보드들 사용해보는 것 자체를 재밌다고 생각하고, 이번에 회사에서 오랫동안 사용해보신 분의 도움을 받아 물건도 공짜로 하나 선물 받고 했기 때문에 사용하게 됐지만 아무래도 일반적으로 접근성 자체는 좀 많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인 것 같네요.

그냥 저런 애들도 있나보다하고 넘어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원래는 제가 사용해왔던 인체공학 키보드와 스플릿 키보드였던 microsoft ergonimic, mistel md770도 소개해볼까 했는데 생각보다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고 자러 가봐야할 것 같아서 생각이 나면 써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십자포화
25/05/15 02:11
수정 아이콘
흥미로운 키보드네요
10년 전이었으면 도전해봤을 것 같은데 지금은 적응이 힘들 것 같습니다...
25/05/15 02:22
수정 아이콘
사실 막상 생각해보면 제가 느낄 때에는 오히려 일반적인 108키보드를 적응하는 것보다는 더 금방 적응할 수 있다고 생각하긴 하지만, 말씀대로 쉬이 누군가에게 추천드리기는 어렵긴 합니다 크크
25/05/15 09:14
수정 아이콘
제가 몇년전에 딱 그런 두려움을 안고 텐키리스에서 HHKB를 주저주저하다가 어차피 적응 못할 가능성이 높으니까 한번 넘어가는 김에 극단적으로 해보자해서 아예 무각 HHKB를 질렀습니다. 지금은 아무도 제 키보드에 손도 못대서 아주 즐거워요. 헤헤헤... 내가 뭘하고 있는지 아무도 몰룸
VictoryFood
25/05/15 02:32
수정 아이콘
유게글을 보고 든 생각이 핸드폰 자판(ex.천지인)을 물리 키보드로 만들어서 파는 곳도 있을 수 있지 않을까 였습니다. 흐흐
25/05/15 05:47
수정 아이콘
궁금하긴하네요 크크
25/05/15 02:37
수정 아이콘
저도 그 글에서 '어깨'에 관한 언급을 보았을 때 뭔가 문득, 제가 큰 덩치로 인해 항상 손목을 바깥 쪽으로 살짝 꺾어서 타이핑하고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백스페이스나 홈, 엔드 키 같은 걸 누를 때는 한층 더 많이 꺾게 되고요. 허나 MS 어고노믹은 좀 불편했기 때문에 좀 색다른 키보드가 없을까 하는 생각을 했는데 이게 괜찮은 시도가 될 거 같네요. 소개 감사합니다.
25/05/15 05:46
수정 아이콘
어깨 측면만 놓고 보시면 저는 microsoft ergonomic 키보드면 보통 충분한 답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여기까지 정착을 하시게 되면 제가 키보드를 세워놓고 수직으로 타이핑을 하는 형태를 구축한 것과 같은 짓거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습니다
저기까지 정착하는 데 성공하면 손목과 관련해서는 거의 완벽한 솔루션 상태인 것 같아요
다시마두장
25/05/15 04:10
수정 아이콘
저도 손목 통증으로 고생하며 이런저런 키보드를 사용해보다 최종적으로는 corne 배열에 정착한 후 모든 키보드를 이 쪽으로 통합했습니다. (초기 버전이라 키가 네 개 적어 42키지만요.) 이후로 확실히 손목 컨디션이 좋아졌습니다.
스플릿 배열, 컬럼 스태거 등의 인체공학 요소를 적용한 다양한 배열의 키보드가 있지만 corne의 장점은 손가락의 움직임을 상하좌우 한 칸 이상 벗어날 수 없도록 강제하는 적당히 적은 키 갯수가 아닌가 싶습니다. (외국 포럼에서 '여기서 키좀 더 추가해주면 좋겠다'는 글에 '그러면 이 배열의 의미가 사라진다'라고 답글이 달렸던 게 기억에 남습니다 크크.)

본문에서 말씀해주신대로 키보드를 자유롭게 맵핑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사고회로에서 가장 합리적인' 형태의 키보드를 만들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적응도 예상외로 빠르게 됩니다. 여기에 각종 매크로 기능과 키 조합 등을 이용하면 본인이 생각하는 웬만한 기능은 모두 구현이 가능하기에 종래의 키보드보다도 훨씬 게으른 컴퓨터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 크크. corne의 키가 너무 적다는 생각이 드신다면 sofle, lily58, dactyl 등의 형태는 비슷하지만 키가 더 많은 레이아웃도 있으므로 꼭 츄라이해보시길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25/05/15 05:44
수정 아이콘
저도 사실 처음에 corneV4를 사용하면서 키가 너무 적은 것 같아 sofle을 세컨으로 구할까 고민을 좀 많이 했었는데요,
정작 익숙해지고 나니까 이 키보드 배열 내에서 모자란 것을 전혀 느끼지 못해서 아마 갈아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원래 이 키보드 구매하기 전에는 glove 80 같은 물건을 구매하려는 생각도 있었는데 막상 적응하고 나서 해당 키보드를 보니까 저 많은 키 위치를 어떻게 외우냐 싶어서 어지러워서 엄두도 안나더군요 크크
정작 저한테 지금 키보드 선물해주신 분은 저한테 키는 더 줄일수록 좋다고, 36키 배열을 추천하고 계신데 솔직히 저는 여기서 키를 어떻게 더 줄이면 될 지 배열이 상상이 안됩니다 크크
다시마두장
25/05/15 17:51
수정 아이콘
앗 이 글을 보고 입문을 고려하시는 분들을 위해 정보를 남겨놓으려 한 거였는데 글을 잘못써서 Kaestro님께 기종 변경을 권하는 내용이 돼버렸었네요 크크;
저도 개인적으론 corne 정도를 제 마지노선으로 여기고 있는데, 말씀하신대로 세로로 한 줄씩을 더 삭제한 36키 레이아웃(Miryoku같은)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보이더라구요. 기본 자판 배열 외에 내츄럴로 누를 수 있는 양옆의 기능키가 아예 사라지는 셈인데 여기까지 가면 또 다른 차원일 것 같습니다.
25/05/15 18:09
수정 아이콘
크크크 감사합니다
생각해보니 저한테 추천한 분은 36키도 아니셨던거 같네요. 가운데 특수키도 날려야된다 그러고, 아래 엄지 6키중에 하나도 날리고 트랙볼 쓰시거든요
전기쥐
25/05/15 04:45
수정 아이콘
아 저도 스플릿 키보드 하나 갖고 있는데 반갑네요.
25/05/15 05:42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동지분이 많으시군요, 반갑습니다
duck orion wkl
25/05/15 05:56
수정 아이콘
코르네를 피지알에서 볼줄은 몰랐네요
스플릿에 텐팅추가해서 쓰는게 좋다는걸 알지만, 60-tkl 알루하우징 키감을 포기하는건 아직은 쉽지 않네요
요즘 타오나 알리 가격이 꽤 내려와서 가볍게 접근 가능한점도 좋은듯요
25/05/15 06:48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스플릿에 텐팅 추가해서 쓰는게 아무래도 건강의 관점에서 좋다는 것이지, 키감의 관점에서 놓고 보면 그 정도 물건을 쓰시던 분이면 아쉽다고 느낄 수 밖에 없는 부분은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진짜 키보드 좋은 물건들 싼 값에 많이 나오는 것 같아요. 다만 스플릿에 아예 정착을 해버린 시점에서 이제 일반 키보드는 온몸이 아파서 못 쓰겠더군요
AMBattleship
25/05/15 06:07
수정 아이콘
스플릿 사놓고 관상용으로만 쓰고 있는데 부럽네요. 가족이랑 같이 쓰다보면 75 사이즈가 마지노선 이더라구요.
25/05/15 06:4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는 집, 회사 둘 다 키보드를 두 개 두고 있긴 합니다. 제꺼, 남 쓸 것 크크...
25/05/15 06:13
수정 아이콘
본문에 언급하신 마소 에고노믹을 12년 일편단심으로 쓰고 있넜습니다.
단종된 걸 꿈에도 모르고 살다가 갑자기 쓰던 게 고장 나서 통수를 맞았네요...
직구 같은 방법을 알아봤지만 맘에 안 들어서 결국 앨리스배열 기계식 키보드를 샀는데 적응하는 데 한참 걸렸...
한 달이 넘었는데도 여전히 손가락 꼬입니다.
키보드 생긴 것과 별도로 손 건강에 좋으라고 왼쪽 캡스락을 컨트롤로 바꿨더니 특수키 쓸 때 꼬이는...
직업이 글 쓰는 쪽이고 숫자와 펑션키와 키패드를 다 활용하기 때문에 본문 같은 키보드는 어느 세월에 적응할지 자신이 없긴 하네요.
에고노믹은 분리형 키패드만 죽메로 남아서 잘 쓰고 있습니다. 이건 왠지 10년도 쓸 것 같네요.
25/05/15 07:15
수정 아이콘
어고노믹 키보드 단종했다니 굉장히 아쉽군요
저도 못해도 거의 10년간 아마 세,네개는 사서 썼던 어쩌면 제 인생에서 가장 좋아했던 키보드였던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이런 키보드가 펑션이나 숫자 누르기도 레이어를 통해서 더 쉽다고는 생각합니다.

레이어1은 넘패드 매핑, 레이어 5는 펑션키 매핑입니다
하루04
25/05/15 10:59
수정 아이콘
저도 마소 에고노믹 4대째 쓰고 있는데 단종이군요 ㅠ
25/05/15 07:48
수정 아이콘
65배열 사용 중인데 아직까지는 여기를 마지노선으로 삼고 있습니다
해피해킹배열까지는 FN키만 잘 쓰면 괜찮아보이기도 하는데 방향키를 쓰는 게임을 자주하다보니 살 생각은 안들고있네요
광저우 장인들이 힘을 내서 괜찮은 미니배열들을 10만원 이하로 맛볼수 있는 세상이 온다면 한번씩은 찍먹해보고 싶습니다 크크
25/05/15 08:32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방향키 쓰는 게임들을 할 때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저 같은 경우는 보통 그런 게임을 할 때에는 패드를 사용하는 주의긴 합니다
25/05/15 10:24
수정 아이콘
방향키쓰는 게임은 아예 레이어를 따로 두고 쓰면 되긴합니다만...
그냥 키보드 한대를 더씁니다 
고민시
25/05/15 08:13
수정 아이콘
방향키는 무조건 기본키로 있어야된다고 생각해서 65밑으로 내려가질못하겠네요. 방향키를 레이어로하면 홈엔드랑 같이쓰거나 하는 선택때 불편할거같아서요
전기쥐
25/05/15 08:29
수정 아이콘
저는 그래서 방향키 있는 레이어에 홈, 엔드 및 쉬프트, 컨트롤 등 주로 같이 쓰이는 키들도 같이 넣어놓습니다. 그럼 편해요.
구라리오
25/05/15 09:12
수정 아이콘
저도 방향키가 없으면 불편하지 않을까? 했는데 키보드 맵핑 프로그램으로 caps lock + hjkl로 방향키를 바꾸고 태스트해보니 마우스를 사용해야만 하는 상황만 아니면 기본 자세에서 팔을 움직일 상황이 안나오게 되서 편했습니다.
25/05/15 09:15
수정 아이콘
선생님, 일단 방향키를 hjkl로 쓴다는 발상부터 우리는 평범한 사람이 아님을 인정하셔야합니다...
구라리오
+ 25/05/15 23:04
수정 아이콘
사실 이상한 사람에게 개종당해서 저런 변태 맵핑을 쓰게 되었습니다.
진정한 프로그래머라면 절대로 마우스를 사용하면 안되고 편집기는 VIM을 써야되며 그리고 이것에 최적화된 해피해킹 키보드, 거기에 hjkl 방향만이 정통성을 가진다면서 저를 세뇌했습니다.
근데 말입니다. 마케터인 저에게 왜 저걸 강요했는지는 지금도 의문입니다.
전기쥐
25/05/15 09:39
수정 아이콘
방향키를 hjkl로 설정하면 불편하지 않나요 저는 ijkl로 설정합니다
구라리오
+ 25/05/15 22:58
수정 아이콘
사용자가 편하다면 어떤것도 오케이! 라는 마인드라 하하하하.
파고들어라
25/05/15 09:41
수정 아이콘
저도 본문 보면서 같은 생각을 했는데 역시 비슷한 분이 있네요.
가끔 쓰던 글을 지워야하면 백스페이스 연타보다 Ctrl + Shift + ← or home 으로 블록 지정해서 지우는게 편하니까요.
60%는 레이어 변환으로 JKL 라인에 넣어두는데 저 정도로 작아지면 그것도 힘들거 같다는 생각이
궁시렁프로도
25/05/15 09:07
수정 아이콘
급질문) 저같은 경우 ctrl/shift/alt 모두 왼쪽꺼만 쓰는데 다른분들은 양쪽 골고루 쓰시나요?
이런 극한의 미니멀을 추구하는 경우에도 양쪽에 다 배정되어 있는게 인상깊네요
25/05/15 09:14
수정 아이콘
사실 저도 버튼이 남으니까 배정한거긴 한데, 양쪽을 골고루 쓰는 것은 이전 키보드때 가지고 있었던 습관의 영향이 아무래도 큰 것 같네요.
대표적으로 저는 shift 같은 경우는 왼쪽, 오른쪽을 쓰는 경우가 다르긴 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그런 부분 때문에 더 미니멀하게 가시는 분들은 이제 키 숫자를 더 줄이시긴 하죠... 저도 아직 엄두가 안나는군요
국수말은나라
25/05/15 09:23
수정 아이콘
FPS랑 리듬겜만 하는 입장에서는 레피드 트리거 자석축 60키보드 사서 즐긴지 꽤 되었습니다

아마 앞으로는 키보드와 게임패드간 경계도 깨질듯 합니다
(게임패드형 키보드 등)
25/05/15 09:28
수정 아이콘
안 그래도 저도 리듬게임은 하는 입장에서 그런 기능성 키보드는 따로 둘 생각이 있긴 합니다.
혹시 추천하실만한 물건 있을까요?
국수말은나라
25/05/15 09:38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29BLzcuNtoc?si=XKltDxzCjPmpWdOO

일단 이걸로 맛 보시고 유튭에 rapid keyboard에 추천 순으로 보시는것도 추천
25/05/15 10:0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한번 써봐야겠네요
미숙한 S씨
25/05/15 09:34
수정 아이콘
음, 익숙해지면 좋겠네...라는 생각과 동시에 세팅하기 귀찮겠네/익숙해지기 귀찮겠네라는 생각이 드네요. 크크
25/05/15 10:28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그런 부분이 아무래도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장벽이 아닐까 싶습니다 크크
메가트롤
25/05/15 09:38
수정 아이콘
요즘 아이들에겐 이것도 많다고 느껴질지도 모르겠네요 크크
물론 노인인 제 시선에서 이건 리모콘입니다 크크
25/05/15 10:29
수정 아이콘
요즘 아이들한테도 이런 키보드는 너무 앞서간 물건이 맞습니다 크크
25/05/15 09:4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사진으로 보여주신 어고 스플릿(?)이 어깨 넓이를 그대로 사용 할 수 있어 가장 편할것 같긴한데, 제눈에는 60 hhkb가 제일 예뻐서 못넘어가고 있네요.
25/05/15 10:30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이런 키보드는 아무래도 기성품이 거의 존재하지 않다 봐야하기 때문에, 예쁜 물건은 없는 것 같습니다.
기능성에 올인하는 물건들이라서요
25/05/15 11:32
수정 아이콘
맞아용. 그래도 최근에 나온 qk duo가 좀 디자인에 신경썼다는 생각이 들긴하더라구요. 
25/05/15 13:24
수정 아이콘
예뻐 보이기는 하는데 저는 틸팅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라 이건 탈락이군요
25/05/15 11:25
수정 아이콘
planck키보드 사용중입니다 거의 10년된거같아요.
다른댓글에도 썻지만, 일단 책상이 넓어서 편하고, 손목이 고정되어있다는게 점이 장점이군요.
이정도사이즈면 손가락이 모든 키에 쉽게 닿기때문에 어고노믹까진아니어도 큰 상관은 없지않나 생각합니다..
자주 안 쓰는키는 레이어 내 배치를 까먹어서 다시 코드를 보곤 합니다만, 이제 그것조차 귀찮아서 그냥 노트북자판에서 직접 칩니다 크크

제키보드는 orthogonal해서 적응이 상당히 어려웠던거같긴합니다. 게임할땐 일반배열 86키를 쓰는데 orthogonal키보드와 스위칭하는게
초반에 어려웠지만 이젠 뇌내에서 알아서 스위칭됩니다. 인간의 뇌는 대단해요 흐흐
25/05/15 11:37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저도 지금 쓰는 키보드가 오쏘고널인데, 처음에는 적응 안됐다가, 다음에는 원래 키보드가 적응이 안됐다가, 다시 둘 다 스위칭할 수 있는 상태까지 오더군요 크크
손가락도 손가락이지만 저는 어깨, 등 같은 신체 부위 때문에도 어고노믹을 버리기는 힘들더라구요
김삼관
25/05/15 14:37
수정 아이콘
매크로 기능도 가능한가요? 자주 사용하는 문구를 지정해둔다던가…
전기쥐
25/05/15 14:41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인체공학 스플릿 키보드는 qmk를 지원하고, qmk에서 간단한 매크로는 짤 수 있죠(무선 키보드는 zmk인데 거기에 대해선 잘 모릅니다) 그런데 문구 지정 같은 매크로는 키보드 차원보다는 오토핫키 등 소프트웨어 차원에서 구현하는 게 더 낫습니다.
김삼관
25/05/15 15:3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5/05/15 14:41
수정 아이콘
전기쥐님이 말씀하신게 정확할텐데, 제가 해보진 않아서 모르겠네요
파라슈
25/05/15 16:02
수정 아이콘
멸종을 버티고 있는 삼벌식러인데, 이건 힘들겠죠?
전기쥐
25/05/15 16:24
수정 아이콘
세벌식도 숫자 열을 안 쓰는 신세벌식은 가능하겠죠 숫자 열까지 다 쓰는 공세벌식은 힘들고요.
25/05/15 16:27
수정 아이콘
저 이 키보드 소개시켜준 분은 36키로 3벌식 쓰시더라구요
드러나다
25/05/15 17:18
수정 아이콘
게임할때는 왼쪽꺼만 쓰면 되는 부분일까요?
전기쥐
25/05/15 17:27
수정 아이콘
적당한 게임용 레이어를 만든다면, 가능합니다.
드러나다
25/05/15 17:59
수정 아이콘
대부분 wsad qwer 시프트 컨트롤 정도일테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8984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2428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6577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9378 4
104190 [일반] 북한은 과연 김주애가 권력을 승계받는게 가능할까요? [44] 독서상품권4473 25/05/15 4473 0
104189 [일반] 어쩌면 PGR의 미래? [33] bifrost3408 25/05/15 3408 1
104188 [일반] 중동외교의 대전환을 꾀하는 듯한 트럼프 [19] 크레토스3196 25/05/15 3196 1
104187 [일반] 유나이티드 헬스그룹의 행보가 매우 심상치 않습니다 [19] 독서상품권6800 25/05/15 6800 3
104186 [일반] 더 적게... 더 적게! 46키 키보드 [57] Kaestro5110 25/05/15 5110 10
104185 [일반] AI Agent와 MCP [10] 모찌피치모찌피치3230 25/05/14 3230 5
104184 [일반] 일본 여행중 지갑 잃어버렸다 찾은 썰.ssul [23] 오징어개임4819 25/05/14 4819 7
104183 [일반] 본조비... [37] a-ha7831 25/05/13 7831 5
104182 [일반] 걸레빤 물.. 평양냉면을 먹고 오다. [105] 김삼관9602 25/05/13 9602 4
104181 [일반] 고양국제꽃박람회에 다녀왔습니다 [11] 及時雨4365 25/05/13 4365 4
104179 [일반]  '주호민 아들 아동학대 혐의' 특수교사 항소심서 무죄 [203] 퍼그17608 25/05/13 17608 12
104178 [일반] 도재욱선수의 결승진출을 보면서... [37] 이영수`9513 25/05/13 9513 19
104174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6)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5 [6] 계층방정2829 25/05/12 2829 3
104173 [일반] 이제와서 데스노트(애니) 정주행을? [20] 김삼관3824 25/05/12 3824 1
104172 [일반] 미국이 대중 관세를 90일 간 연기하였습니다. [82] 김유라10513 25/05/12 10513 4
104171 [일반] 중드 추천 [오복임문] 소개 글 (스포 최소화) [15] 마음속의빛3714 25/05/12 3714 0
104170 [일반] [번역] 무역 포커에서 이기는 패: 미-영 경제 번영 협정 검토 [3] Q-tip7542 25/05/10 7542 2
104169 [일반] 당분간 skt 이용자는 각종 인증 문자서비스 이용을 하지 않으시는게 좋겠습니다. [34] 키토13756 25/05/10 13756 10
104168 [일반] [창작] 논픽션적 픽션 (습작..?) [2] aDayInTheLife4450 25/05/10 445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