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09 23:31
저도 확인해보았는데 되는 브라우저가 있고 안되는 브라우저가 있고 제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그때부터 되는 경우도 있네요 주소의 문제는 아닌것 같습니다
25/02/09 23:18
모든 면에 준수한 육각형 AI를 원한다 -> ChatGPT Plus
논문학습이나 새로운 개념을 공부하고 싶다 -> NotebookLM 실시간 정보가 반영된 검색을 언어에 상관없는 자료 기반으로 하고 싶다 -> Felo AI GPT o1, o3 제약을 넘어서 무료로 강력한 추론 기능을 쓰고 싶다 -> Deepseek R1 에이전트를 대충 체험해보고 싶다 -> Genspark 좀 애매한데 적당하게 쓰고 싶다 -> Gemini
25/02/09 23:42
genspark agent 기능에서 미래를 보게 됩니다.
번역 에이전트: 현존 AI 번역 서비스 중 가장 유명한 DeepL, 구글번역, chatGPT, Claude로 각각 번역 후 이들을 통합해서 하나의 완성된 번역본으로 주는데 결과물 퀄리티가 정말 좋습니다. 물론 번역을 생략해버리거나 등의 문제가 아직 있지만, 번역 하다 막히는 표현 있으면 이걸로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습니다.
25/02/09 23:21
연구용으로 GPT Pro 한달 결제해서 사용해봤습니다.
주로 수식 계산 확인과 프로그래밍, 논문 작성 시 글 교정 등에 이용했습니다. 저는 결론적으로는 앞으로도 계속 결제해서 사용할 듯합니다. o1을 메인으로 사용하는데 하루에 기본적으로 50번 이상 질문을 하니 돈 값은 하는거 같네요. 30만원짜리 요금제는 o1 Pro를 쓸 수 있다는 점보다 o1을 무제한으로 쓸 수 있다는 점에 그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 o1 Pro나 o1이나 어렵고 복잡한 수식 풀이는 한계가 있는 것 같고 코드 작성에서도 o1 Pro가 그렇게 뛰어나다고는 못느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답변 퀄리티에 비해 추론 시간이 너무 오래걸리는것 같구요.
25/02/09 23:23
수식 풀이나 코드는 o3-mini-high 추천 드립니다. 성능은 아주 큰 차이는 아니지만 경량화 모델이라 빠릅니다.
o1보다는 약간 위고 o1 pro랑 비슷한 수준인데 o1 pro보다 훨씬 빠릅니다. 그리고 프로 요금제면 o1 pro도 굉장히 많이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량이 굉장히 많으신가 보네요. 프로 요금제면 딥리서치가 알파이자 오메가인데 이건 써보셨는지....
25/02/09 23:27
o3는 몇번 써봤는데, 자꾸 추론과정 설명하는 란에 질문에 대한 대답을 적고, 실제 답변란에는 이전 질문들의 입력에 대한 답변이 나오더라고요. 성능자체는 괜찮았습니다.
o1 Pro는 질문 한번에 3-5분씩 걸리는데, 저는 그 시간에 o1으로 여러번 질문해서 원하는 답 나오게하는게 더 빠르다고 느꼈습니다. o1 Pro는 엄청나게 많은 텍스트를 주고, 통합적인 정리나 분석을 하는데에는 확실히 o1보다 좋다고 느끼긴 했습니다.
25/02/09 23:30
o3는 mini라서 수학능력이 좋아진 만큼 언어능력이 너프 되었다는 평이 많습니다. 그래서 언어적으로 너무 복잡하게 얘기하면 안 돼요.
수학,코딩은 잘하는데 국어,영어는 못하는 이공계 생이라고 보면 된다는 평....
25/02/09 23:34
아하 그렇군요. 계산기 느낌으로만 쓰는걸로 해야겠네요.
딥리서치는 보고서 초안 작성할때 써보니 아주 편하더라구요. 주로 OA나 아카이브 자료들이지만 레퍼런스들 링크가 바로 달리는게 맘에 들었습니다.
25/02/09 23:37
(수정됨) 딥리서치는 보고서 초안 작성할때 써보니 아주 편하더라구요. 주로 OA나 아카이브 자료들이지만 레퍼런스들 링크가 바로 달리는게 맘에 들었습니다. -> 네. 용도에 맞게 잘 사용하고 계신 거 같네요. 알트만에 의하면 학교에서 접속시 구독되어있는 레퍼런스도 접근하게 하는 것도 추진 중이라니 이리되면 이제는 연구자들한테는 거의 필수가 될 거 같습니다.
월 30만원이 상당한 부담이긴 한데 연구비로 결제 하면 되겠죠.
25/02/10 00:11
o1 pro는 간단한 질문도 너무 오래 생각하고 장황하게 답변하는 감은 있긴 합니다. 말씀 하신대로 o1을 여러번 물어 보는 게 더 효율적일 수도 있겠네요. 솔직히 저도 o1 pro의 답변 퀄리티가 o1보다 눈에 띄게 좋은 수준인지는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25/02/09 23:27
(수정됨) 주로 개발에 써요.
GPT plus 라서 4o 에 꽤 만족하고 있었는데 o3mini-high 써보고 감탄하긴 했어요. 근데 횟수 제한있어서 고민중이었는데 클로드 소넷 써봐야겠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25/02/09 23:29
저도 클로드 소넷 제대로 안 써봤는데 개발자 분들이 많이 쓰신다고 하더군요. o3-mini-high의 수학, 코딩 실력 향상은 괄목할만 합니다.
25/02/09 23:40
본문 중 chatGPT o1, o3-mini-high는 주 1 50회 제한에 대한 변경사항 업데이트입니다.
o1 모델: 여전히 주당 50회로 유지. o3-mini-high 모델: 초기에는 주당 50회 사용 제한이 있었으나, 최근 업데이트로 인해 하루 50회로 변경. o3-mini 모델: o3-mini는 하루 150회 사용 가능하며, 이는 o1-mini의 하루 50회 제한보다 3배 증가한 수치.
25/02/09 23:50
이제 저는 네이버, 구글은 검색용으로는 거의 쓰지 않습니다.
얼마전까지 복잡한 질문 검색은 perplexity, felo, genspark 3개를 동시에 돌렸었습니다. 이제는 chatGPT 웹검색, deepseek 웹검색도 켜서 5개를 동시에 돌립니다. 여전히 할루시네이션(창작)도 있고, 잘못된 소스를 참고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렇게 5개를 돌려서 얻은 결과를 종합하면 대부분 제가 원하는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제가 원하는 답을 못찾았다면 제가 수동으로 해도 못찾을꺼라 생각합니다. 구글도 아마 검색 기능을 더 강화하겠죠. 나중에 살아남은 검색 AI는 누가 될지 모르겠지만, 시대가 참 많이 바뀌었습니다.
25/02/09 23:53
(수정됨) GPT 검색은 체감상 별로고 AI 커뮤에서 평도 나쁘더군요. 검색엔진이 후진거 같습니다. 딥씩이의 성능은 진짜 놀라운데 문제는 맨날 서버가 뻗어서.....
Felo, Genspark도 알아봐야 겠군요. 전 얼마 전 결제한 퍼플렉시티도 꽤 만족합니다. 일단 딥씩이 한테 물어보고, 서버 뻗었으면 퍼플렉시티한테 물어 봤었는데 felo, genspark도 알아봐야 겠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저 검색 AI 다 돌려서도 못 찾은거면 수동으로도 못 찾는다고 봐야 합니다.
25/02/09 23:57
chatGPT 검색 스타일이 짧고 간결한 결과를 주는데, 가끔 다른 애들이 못한 것을 찾아주기도 합니다.
성공경험을 하게 되면 그냥 못한다고 버리긴 어려워집니다. 특히 chatGPT로 작업 중 바로 켜서 검색하고 바로 반영할 수 있다는 편리한 점도 있고. Perflexity와 더불어 Felo, Genspark 같이 쓰셔서 검증하다 보면, 아마 Perflexity에 대한 불신이 좀 생길꺼에요. 제가 괜히 여러개 쓰는 것이 아닙니다^^;
25/02/09 23:59
네 퍼플렉시티가 내놓은 결과 중 틀린 것들이 좀 보여서 저도 솔깃하긴 합니다. GPT 웹검색 폐급이라고 AI커뮤에서 욕먹는데 나름 장점도 있긴 하군요...
25/02/10 00:00
AI 커뮤 보면 결국 자기가 선호하는 건 올려치기, 비선호하는 건 내려치기라 너무 휘둘리지 말고, 실제로 써보는 걸 추천합니다.
25/02/10 00:05
GPT 서칭이 체감 상 별로 이긴 했는데 앞으로는 GPT도 크로스 체크용으로 한번 해보고 가야 겠습니다. 프로 유저라 어차피 GPT가 메인일 수 밖에 없거든요.
25/02/09 23:56
구글도 아마 검색 기능을 더 강화하겠죠 -> 구글이라는 최강 검색 엔진을 가지고 있는 제미니의 웹서칭은 불가사의할 정도로 후진데 일부러 이러는 게 아닌 가 싶습니다. AI 커뮤에서는 검색으로 인한 수입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게 보일 때 쯤 피치 올리지 않을 까 하는 의견이 많습니다. 꼭 검색 AI 뿐만 아니라 언어 모델 두요.... 제미니 욕 많이 먹지만 아주 크게 뒤쳐진 건 아니어서 구글의 인재풀, 자금력, 역량이면 아직 무시는 못함.
25/02/09 23:58
저도 거의 중독 수준으로 최근 언어 모델을 많이 써봤는데 결론만 요약하면,
무료 -> 원글대로 Deepseek 분석, 멀티모달 -> ChatGPT o1, o3 글쓰기, 언어 관련 -> Claude 3.5 Sonnet 라는 결론입니다. 글쓴 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DeepSeek는 무료인 게 너무 사기라 돈 쓸 생각 없으시면 그냥 Deepseek 쓰는 게 좋아 보입니다. ChatGPT는 분석적인 답변이 필요할 때, 수식과 같이 답이 정해진 상황에서의 추론이 필요할 때, 잘 정리된 단계별 분석이 필요할 때, (특화된 다른 인공지능 서비스보다는 못하지만) 멀티모달 등이 필요할 때 좋습니다. 일종의 [Problem Solver]의 느낌입니다. 클로드는 훨씬 인문학적인 느낌이 강합니다. 글의 뉘앙스 파악, 창의적 글쓰기, 번역, 언어에 대한 해석 등에서 아주 강합니다. 예를 들어서 소설의 한 장면에서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주고 서로의 감정을 물어보면 아주 정확하게 대답합니다. 저는 결국 GPT와 클로드 둘 다 쓰게 됐는데, 뭔가 잘 정리해서 단계별, 분석적 결과가 필요할 때는 ChatGPT에 물어봅니다. 외국어를 번역할 때나 글을 쓸 때는 클로드에 물어봅니다. 나머지 LLM들은 (제미나이 2.0 , 코파일럿 등) 아직 이 둘의 성능은 못 따라오는 것 같이 느껴지더군요.
25/02/10 00:02
클로드 언어 잘 한다는 평도 많네요. 클로드에 대한 경험이 별로 없어서 많이 못썼는데 정보 감사합니다. 클로드는 코딩도 정말 잘한다는 평입니다. 코딩도 일종의 언어로 컴퓨터랑 소통하는 거라 그런건가.....
말씀해주신대로 GPT, 클로드, 딥씩 말고 나머지 언어 모델은 일반 유저 입장에서는 아직 큰 장점은 없는 거 같습니다. 제미니의 경우 구글의 다양한 플랫폼과 연계 가능하고 가볍고 싸서 기업 고객 입장에서는 장점이 있다는 얘기도 있는데 어차피 일반 유저는 다른 모델과 똑같은 20달러 구독료 내는 거라 그닥....
25/02/10 00:08
저는 마이너한 언어를 주로 써서 (분야 특성상...흑흑) 둘 다 제가 쓰는 언어에 대해 솔루션을 물어보면 둘 다 잘 대답을 못합니다.
그래서 그냥 다른 언어로 작성된 코드들을 제가 쓰는 언어로 번역하는 정도로만 쓰고 있는데 여기서는 그렇게 큰 차이가 느껴지진 않더라구요. 하나 말하는 걸 까먹은 게 있는데, 소네트는 보통 답변 길이가 o3 mini보단 길고 o1보단 짧습니다. 일종의 니치 마켓 느낌인데 o1한테 한 줄 물어봤을 때 엄청 장황하게 답변하는 건 싫고, 그렇다고 mini처럼 너무 짧게 답변하는 것보다는 길게 답변을 받고 싶을 때 소네트가 좋습니다.
25/02/10 00:10
(수정됨) 전 o1 pro 쓰는데 이건 o1보다 더 길고 더 장황하고 더 오래 걸립니다. 답변 퀄리티는 더 높기는 해도 o1 pro만 볼거면 30만원 쓰는 건 진짜 아까운 게 맞아요.
제미니는 몰라도 클로드는 아직 자신만의 장점이 있어 보이네요. 제미니도 밑에 분이 적어 주신 것처럼 장점이 있지만 일반 유저 입장에서 체감이 되는 장점은 아니라....
25/02/10 02:39
저도 글쓰기는 아직 클로드가 체감상 원탑같네요.
단편소설 하나 주면서 비슷하게 써 보라고 하면 원작보다 나은 소설을 쓰기도 하고, 샘플만 잘 주면 시도 정말 창의적으로 잘 씁니다. 나중에는 실험시까지 써서 경악했네요..
25/02/10 12:31
저도 평소 업무하면서 글을 윤문하고 다듬거나, 번역하거나, 작문을 위한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 얻어야 할때가 많은데 비슷한 가격대 중에서는 클로드의 결과물이 가장 만족스러웠습니다.
다른 AI들이 그런 쪽에서 아직 부족한건지, 혹은 성능은 충분하지만 한국어 학습이 덜 된것 뿐인지는 문외한이라 잘 모르겠네요.
25/02/10 00:17
+로 일단 생각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답변을 의심하고 검색해보는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질문의 사용자 의견을 따라 억지로 이유를 만드는 경우가 꽤 많아서 사례를 넣고 이유를 물어보는게 아니라 , 결론을 빼버리고 어떻게 될지를 물어보는게 좋습니다.
25/02/10 00:19
(수정됨) 아직은 질문하는 스킬이 중요하긴 하죠. 솔직히 딥씩으로도 만족 못했다면 십중팔구 질문이 잘못 되었을 확률이 크다고 봅니다. 이제는 타 모델 쓰다가는 쓰면 역체감 때문에 거의 쓰기 힘든 수준이 된 GPT-4o 같은 것도 질문만 잘하면 아직도 쏠쏠히 써먹을 수 있음.
근데 이걸 무슨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니 이런 식으로 거창하게 배울 건 아니고 그냥 써보면서 그리고 유저들의 팁들을 참고해가면서 본인에 맞게 하면 된다고 봅니다.
25/02/10 00:25
(수정됨) 네, 제미니가 저렴하다고 한게 API가 싸다는 거였습니다. 근데 일반 유저들 중에 API를 끌어다 쓰는 경우가 잘 없어서.....
구글은 이걸 장점으로 삼아서 B2B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거 아닌 가 싶습니다. Open AI 처럼 거금 들여서 최상위 모델 만들어 봐야 자기들 캐시카우 갉아 먹히는 속도만 빨라 질테니 거기에 돈 퍼붓는 건 경쟁사보고 하라고 하고, 너무 뒤쳐지지만 않게 하면서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겠다는 생각 같습니다. 맘먹고 하면 지금보다 충분히 더 잘 할 수 있는 애들이거든요.
25/02/10 00:54
클로드는 써보면 속이 터집니다. 토큰 제한이 너무 빡빡해서 '내가 지금 돈을 내고 쓰는게 맞나?' 이 생각이 듭니다.
이거저거 써보다 결국 돌고돌아 chatgpt로 돌아오게 되더군요. 모든 능력치가 S는 아니지만 가장 육각형 느낌의 친구...
25/02/10 01:08
그렇군요. 그리고 플러스만 구독해도 Dall-e랑 sora 사용 가능한데 이것도 가지고 놀기 재밌습니다
ppt로 보고하는 사람들은 업무에도 잘하면 활용 가능 할듯...
25/02/10 00:55
좀더 업데이트 하자면
Gemini는 지난주 2.0 flash 와 2.0 flash thinking 버전, 2.0 flash thinking with apps (검색 지원) 이 나와서 굉장히 쓸만해졌습니다. 이게 다 무료버전으로 풀려서 chatgpt 무료버전보다 낫다고 봅니다. 제가 클로드 유로와 OpenAI API를 쓰고있는데 코딩 능력으론 o1과 o3-mini가 소넷을 앞섭니다. 여전히 전 둘다 쓰고있습니다만 클로드는 reasoning 모델 금방 출시 안하면 메리트가 떨어질거에요. 퍼플렉시티는 Gemini와 Chatgpt 둘다 이제 검색이 되서 메리트가 좀 떨어진다고 봅니다. 그래도 검색 위주면 가끔 쓸만합니다.
25/02/10 01:04
(수정됨) 제미니, gpt검색 둘다 개인적으로는 체감상 별로라서... 퍼플렉시티는 딥시크 r1이랑 연계 되면서 딥시크 마이너 버전 정도는 됩니다. 돈내고 무료 모델 마이너 버전이 된다는게 좀 슬프지만....
개인적인 평가는 다르겠지만 전 제미니,gpt보다 체감상 낫다고 생각함. UI도 좋고... 다만 각자 장단점이 있으니 gpt,제미니도 크로스 체크용으로는 써도 된다 봅니다 근데 skt 이벤트로 쓰는게 아니면 꼭 구독은 안해도 될거 같긴 합니다....
25/02/10 01:06
(수정됨) 제미니 무료버전은 안써봤는데 많이 좋아졌군요. 딥씩이 못쓰거나 중국거라 꺼려지면 무료유저한테는 좋겠네요.
소넷의 경우는 코딩의 경우 아직 좀 더 낫다는 평도 있어서... o3 mini는 위에도 어떤분이 언급하셨지만 말귀를 좀 못알아듣는다는 평이 있습니다. o1은 plus인 경우 횟수 제한이 있구요. 그래서 아직 클로드의 비교우위가 있는듯 합니다. 근데 말씀해주신대로 신모델 출시가 늦어지고 있어서 이대로면 위험하죠... 솔직히 다른 업계면 느린거 아닌데 이쪽은 워낙 발전속도가 미친수준이라....
25/02/10 01:22
저는 끌로드 유료모델&퍼플렉시티(skt무료)를 같이 쓰고 있는데 제 업무범위내에서는 거의 커버가 되더군요. 끌로드는 찐 놀라운 수준
25/02/10 07:17
(수정됨) 끌로드가 o1나오기전에는 원탑 취급이었던거 같습니다. 다만 업데이트 안된지가 좀 오래된거 같네요. 어디까지나 이업계 기준이지만...
25/02/10 02:29
(수정됨) 저도 언어/논리/인문학 쪽은 클로드가 탑이라고 느꼈습니다.
딥시크는 깊이는 없어도 정답은 잘 맞히는 똘똘한 대학생 느낌이라면, 클로드는 유능한 신입 실무자 느낌입니다. 보고서도 잘 쓰고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듣고요. 딥시크는 심층적으로 물어보면 계속 한말 또 하면서 헛소리해대서 좀 답답하더라구요(답은 맞는데 왜 그런 답이 나온 거냐고 물으면 a가 답이니까 a다....이런 식으로 무한순환논증에 빠집니다ㅠ) 벤치마크 테스트에서는 딥시크가 이겼다는데 아마 psat식 문제가 아니었을까 싶네요. 다만 클로드는 리밋이 너무 심하고, 검색기능이 안되는 게 치명적이라서 계속 구독할지 고민중입니다. 제미니도 2.5일 업뎃버전 보니 많이 올라왔던데 클로드 근시일내 추가 업뎃이 없다면 입지가 꽤나 위험할 듯합니다.
25/02/10 07:20
혹시 r1 안 키신건 아니실지... 딥씩은 서버 뻗는게 너무 잦아서 연속질문은 해본적이 없네요
클로드 코딩 뿐만 아니라 언어능력도 호평이 많네요. 다만 이 업계 치고는 업데이트가 늦어지고 있는데 빨리해야할듯 합니다.
25/02/10 06:22
저는 글쓰기에 gemini와 chatgpt 유료버전으로 둘다 쓰는데 o1이 회수제한과 도출시간이 오래걸리는 반면
얼마전 업뎃된 잼미니 2.0pro 버전 요게 빠르고 학습시킬수 있는 문서량이 많아서 좋더라구요
25/02/10 07:33
미디어 스크립트 작성, 브레인스토밍 자료 서칭을 주로 쓰는데 클로드랑 챗지피티 두개 두고 갈등중이네요ㅠ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5/02/10 07:39
(수정됨) 미디어 스크립트는 윗댓글을 보면 클로드가 나아보이는데 클로드는 서칭이 아예 안되서 둘 중 하나만 고르면 gpt로 하셔야 할듯
pro로 쓰는 딥리서치 아니면 자료 수집용으로 쓰기는 좀 별로이지만 그래도 가능하고 가끔씩 괜찮은 결과 내기도 한다니.... 딥씩으로 한번 해보고 그 다음 gpt 검색으로 크로스체크 하시면 될겁니다. 스크립트 작성은 gpt plus정도로도 괜찮은 수준으로 할수 있구요. 아님 skt시면 퍼플렉시티 쓰면됩니다. 위에 다른분들이 추천하신 genspark, felo도 있는데 얘네들도 제대로 쓰려면 유료같아서...
25/02/10 08:23
클로드 토큰 리밋이 기준도 모르겠고 짜증나서 한달만 쓰고 끊었습니다. 일단 무료로 google ai studio로 제미니 쓰고 있는데 api도 그렇고 만족합니다. 아마 유료결제로 쓰면 gpt를 쓰지 않을까 싶네요.
25/02/10 09:16
클로드도 무료버전은 3.5 소넷 세시간에 10~20번 정도는 제공하니 이거 한번 써보시고 쓸만하다 싶으면 깃헙 코파일럿 구독하시는 거 추천합니다 깃헙 코파일럿에 최신모델 전부 지원합니다 cusor windsurf는 ide를 따로 써야하니..
25/02/10 09:37
프로그래머들 깃허브 코파일럿이나 최근에는 커서 많이 쓰더군요. 전 단발성 코딩 밖에 안해서 (그것도 가끔) o3-mini-high로 만족...
25/02/10 08:53
개인적으로는 클로드가 압도적이었습니다. 글과 코딩에 퀄리티를 생각하면 클로드입니다. 가격이 챗GPT와 별 차이가 없다는 것도 사기급인거 같습니다.
무료는 딥시크죠.
25/02/10 09:41
클로드 호평 많더군요. 근데 전 지식인 느낌으로 쓰고 글쓰기와 코딩은 주 업무가 아니라 일단은 gpt로 하기로....
30만원이나 질러서 본전도 뽑아야하구요.
25/02/10 09:46
(수정됨) 당사자인 퍼플렉시티한테 물어보니 프로모션 만료라 신규가입자는 해당 안된다네요. 직접 확인이 필요하다는 단서가 있지만 일단 퍼플렉시티는 안될거라함.
https://www.perplexity.ai/search/skt-peopeulregsiti-muryo-3.g_J7RZTraiHz5zYegUjA
25/02/10 09:52
화난 와이프에게 해야할 말을 기준으로 챗지피티, 제미나이, 클로드 모두 작성했을때 클로드가 압도적이더라구요.
조금 오버해서 이런 이유로 화가났구나를 제 머리에 때려 박아 주는 정도 ;; 개인적으로 제일 마음에 들었던건 클로드였는데, 클로드는 아쉽게도 검색이나 음성인식 등 안되는게 많아서 아쉽습니다. 결국 주로 사용하는건 챗지피티가 되어 버렸네요.
25/02/10 10:47
앤트로픽 현재 직원이 1000명이 넘는데 작은 회사는 아닙니다. 대부분이 엔지니어로 이루어져 있구요.
설립 철학이 안전 민 윤리적 AI(constitutional AI)라 내부 정책 상 그렇습니다. 웹 검색이나 실시간 검색 시 잠재적 오용, 허위정보 생성 이런 문제들이 생기니까요.
25/02/10 10:30
chatgpt 무료버전을 오래 써왔는데 이 글 보고 나서 deepseek도 깔아서 같은 질문으로 비교해봤는데
deepseek도 괜찮긴 한데 딱히 갈아탈 이유는 1도 못느끼겠는데 글쓴분은 어떤점을 비범하게 느끼셨는지 모르겠네요
25/02/10 11:37
chatgpt무료버전(4omin,4o)도 잘쓰신다면 프롬프트 입력 스킬이 좋으신가보군요.
어떻게 설명해야될지는 모르겠는데 벤치마크로 봐도 차이가 좀 있습니다. plus로 쓸수있는 gpt o1보다 살짝 못한 수준임. 근데 이런 언어모델은 개인의 체감도 큰거라 본인이 못느끼면 그냥 계속 gpt쓰셔도 됩니다. 어차피 딥씩은 서버가 너무 잘뻗어서.... 근데 검색에서도 차이 못느낀거면 좀 특이 하시긴 한거 그리고 혹시 r1이랑 검색 켜고 한건지도 확인필요합니다. r1 안키면 gpt무료랑 차이 없는거 맞아요.
25/02/10 11:57
댓글 보다가 궁금해서..
저는 GPT 월 $20으로 플러스로 구독하고 있는데, 지금 4o 쓰고 있거든요 (이게 유료버전인줄 알고). 혹시 4o가 무료인가요? 저는 3.5가 무료이고 4o는 유료인줄 알고 여태 써왔었는데..?!
25/02/10 12:02
(수정됨) 이제 3.5는 없어졌고 4o-mini일겁니다
무료면 4o도 횟수제한이 걸려 있을거구요. plus면 일반적인 질문은 o1, 수학 코딩 질문은 o3-mini-high로 하세요. 제한이 걸려있긴한데 4o보다 훨씬 나아요. 4o만 쓸거면 멀티모달, DALL-E, sora 쓴다는거 말고는 plus 구독의 이점이 없습니다.
25/02/10 12:32
GPT한테 물어보니까,
o1 GPT-4o의 초기 버전. 지금은 GPT-4o가 나오면서 거의 안 씀. GPT-4o (현재 최고 성능 모델) ‘o’는 Omni(전방위적)라는 의미야. 가장 강력한 모델이며, 속도, 성능, 비용 면에서 이전 모델(GPT-4, GPT-4 Turbo)보다 우수함. 실시간 검색, 이미지 인식, 음성 대화 가능 등 다재다능한 기능을 갖춤. 일반적으로 최상의 AI 성능을 원하면 이걸 쓰면 됨. 이렇게 답변하는데 GPT가 동작그만 밑장빼기 하는걸까요..? ;;
25/02/10 12:34
(수정됨) 이놈이 완전 헛소리하네요
GPT4o는 팩트체크용으로는 쓰지 마세요. 정 쓰려면 입력창 밑에 검색버튼 누르고 쓰시구요. 서치기능이 없는 언어모델은 어떠한 단순 사실확인을 위해 쓰는게 아닙니다. 4o서치기능 안누르고 쓰면 이게 출시된 후의 정보는 하나도 모른다고 보면 됩니다. AI로 팩트체크 하시겠다면 딥시크 검색 쓰거나 퍼플렉시티 쓰거나 다른 유저가 말씀하신 다른 검색 AI쓰는게 맞습니다
25/02/10 12:55
Quantumwk님 댓글 넣고 다시 물어봤더니..
"이전에 내가 GPT-4o가 최고 성능의 모델이라고 말씀드렸지만, 최근 OpenAI에서 새로운 모델들을 출시하면서 상황이 변했습니다. 각 모델은 특화된 기능과 성능을 가지고 있어,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략) 따라서, 댓글을 작성한 분의 의견이 현재 상황에 부합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모델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GPT 이색기가..? 부들부들... 답변 감사드려요.
25/02/10 12:39
(수정됨) 검색버튼 누르고 4o써서 질문하니 그럭저럭 답편해주네요. 검색버튼 누르고 질문 다시 해보세요
퍼플렉시티 답변도 첨부해봅니다 https://www.perplexity.ai/search/4owa-o1yi-cai-8oD5atZyQZq0POJPCG.7kg
25/02/10 11:30
챗지피티플러스 사용중인데 종종 영어공부용으로 쓰고있거든요. 근데 댓글들보니 클로드가 언어쪽으로 뛰어나다해서 클로드도 한번 써봐야겠네요. 단순 영어공부용이라 성능상 크게 차이가 없을것같긴 하지만....
그리고 저는 주로 자격증공부하며 관련 내용을 많이 물어보는데 요즘엔 챗지피티가 헛소리를 거의 안하더군요. 공학관련해서 정말 똑똑해졌습니다. 문제도 잘 풀어주고 관련 이론도 쉽게 설명해주라고하면 쉽게 예시들어서 설명도 해주고요.
25/02/10 11:50
(수정됨) 개인용으로라면 모르겠는데, 업무용으로 쓰려면 어쨌든 이쪽 기업/기관의 정보(데이터, 문서, 코드 등등)가 ai서버로 넘어가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이슈는 다들 어떻게 해결을 하시는지요??
25/02/10 12:00
(수정됨) 기업 자체의 민감한 데이터를 사용 해야하는 경우 비즈니즈 용무로는 쓸수가 없다고 봐야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기업기밀에 저촉 안되는 주로 아이디어, 컨셉, 트랜드 파악, 수집, 사용 설명/개선, 에러 파악/해결 용도로 많이 사용합니다.
25/02/10 11:54
클로드랑 파플렉시티 두개씁니다. 유료모델로 매달 5만원 빠져나가는게 압박이긴 하지만 이전으로는 못돌아갑니다. 클로드는 업무분야에서 빠질 수가 없고, 파플렉시티는 다방면으로 쓰고 있습니다. gpt쓰는것보다 서로 강점이 뚜렷한 두가지를 상호호환하면서 쓰는게 만족도가 높더군요.
25/02/10 12:36
영어로 글쓰기를 주로 하는데 한동안은 언어가 클로드 원탑이었지만 지시어 분석은 최근엔 gpt 가 더 나은 것 같습니다. 같은 프롬프트 넣어보면 클로드 보다 gpt가 더 원하는 대답을 주더라고요.
딥시크는 중국에 정보 털릴것 같아 포기입니다.
25/02/10 12:53
클로드는 곧 업데이트가 필요해보입니다.
이미 중국이 제 정보 많이 털었고 저 자체가 별거 없는 사람이라 하루에 한번 쓴다는 느낌으로 쓰는 중
25/02/10 12:56
법률 쪽으로는 어떤 것이 가장 좋을까요?
법무법인 대륙아주의 AI가 문닫기 전에는 쏠쏠하게 활용했었는데, 문닫은 후로는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찾지 못했습니다. 일단 무료버전만 사용해서 그런지 몰라도 법률쪽으로 틀린 답이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chat GPT, perplexity, goover, flo, genspark 등에 질문하면 답이 동일한 것이 아니라 서로서로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p.s.deepseek은 개인정보 유출이 걱정되서 시도도 못해보고 있습니다.
25/02/10 13:07
(수정됨) 제가 법조계 사람은 아닌데 주변에는 있어서 들어보면 아직 한국 법에 대해 잘 아는 AI는 없어보입니다
한국 법조계 자료가 많이 숨겨져 있어서 학습이 덜된 느낌... 언급하신 것과 같은 한국법 관련 전문 AI가 나와야 할거 같습니다. 언급하신 검색 ai도 open access만 긁어오기때문에 법 관련한건 크게 도움이 안될걸로 보입니디 미국법은 꽤 잘 안다는 평은 있구요
25/02/10 13:11
딥시크 이번에 핫해지기 며칠전에 피지알에서 보고 써봤더니 너무 만족스러워서 계속 쓰려고했습니다. 근데 핫해지고나서는 계속 서버에러뜨고 안되더라고요. 답은 존버뿐인가..
25/02/10 13:14
하루에 두번정도 사용 가능한 느낌입니다. 횟수제한 걸어놓은거 같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난다고 나아지진 않을거고 타사 무료모델 성능이 올라오길 바래야죠
25/02/10 13:24
웹소설 자료 및 고증 조사용으로 O1을 쓰는데 좀 브레인스토밍 돌려보면서 질문 몇개 던지니까 금방 소진되더라구요. 프로를 써야 되나 고민이긴 한데 자료조사용으로 O1를 쓸 일인가? 싶기도 한데 4o랑 o1 답변 퀄리티 보면 이게 또 만족이 안 되고 해서... 딥시크한테 o1급 답변을 요구하기에는 무리겠죠?
25/02/10 13:29
딥시크랑 o1이랑 크게 차이는 안난다는 평인데 현재 딥시크는 하루에 2~3번 쓰면 서버 뻗어서 더 불편 할겁니다
윗 댓글 보면 글쓰기 용으로는 클로드가 좋다는 평이 많은데 클로드 무료부터 한번 써보면서 구독 고려해보심이.... pro 구독은 o1pro와 딥리서치인데 댓글 쓴 분 목적에는 좀 안 맞고, 30만원 쓰기에는 아직 가성비가 별로입니다
25/02/10 13:32
글 쓰기는 이래저래 이놈들한테 시도를 시켜보긴 했는데 뭘 써도 결론은 '이거 쓰고 보정하고 고치고 이러느니 그냥 내가 내손으로 쓰는게 더 빠르고 더 쉽다'라서... 순수 자료조사용으로만 쓰고 있습니다 뭐 예를 들어 중세 시대의 상하수도 구조 및 건축 방법이나 생활방식 등등 이런 거 물어보고...
25/02/10 13:26
이 글을보니 챗gpt pro를 지르고 싶어졌네요...
혼자 지르는건 좀 부담이 될 것 같은데, 혹시 오픈AI의 공유쪽 정책은 어떤가요? 칼같이 잡는 편 인가요? 아니면 한 2-3명 정도 공유해서 사용하는건 그냥 봐주나요?
25/02/10 13:30
(수정됨) 시도는 안해봤는데 pro는 공유 정책 꽤 빡빡하다는 얘기는 있습니다. 공유 하다 걸리면 계정 정지 당하기도 함. 운 좋으면 안걸리지만요
퍼플렉시티 답변은 다음과 같음. 서드파티로 팀플랜이니 이런거 있는거 같은데 이거 추천하네요. https://www.perplexity.ai/search/gpt-progudog-yeoreomyeong-gong-p3kC0EPmSUaLy9fbDMPeUQ
25/02/10 14:32
퍼블렉시티 skt 유료
쳇지피티 무료 딥시크 무료 사용하고 있는데 어플 개발(flutter)쪽이라 어디가 제일 좋을까요? 구독에 대한 압박이 너무 심합니다 ㅠㅠㅠㅠㅠ
25/02/10 14:50
(수정됨) 전문 프로그래머가 아니라서....
위에 어떤분이 쓰신대로 깃허브 코파일럿 쓰거나 챗gpt or 클로드 중에 고르는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