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글쓰기이벤트 모음
14회차 - PGR21
13회차 - 여행
12회차 - 의료인
11회차 - 성탄절
10회차 - 추석
9회차 - 휴가
8회차 - 가정
7회차 - 인문사회
6회차 - 이해
5회차 - 추억
4회차 - 감사
3회차 - 지식
2회차 - 키배
1회차 - 자유주제
Date
2024/12/22 19:24:18
Name
성야무인
Subject
[일반] [2024년 결산]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전문위원 활동기
아마 학계 혹은 산업계에 있으면서 ISO라는 걸 들어보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단순히 표준이다 혹은 여러가지 정부 혜택이나 홍보 혹은 인증의 기준이 되는 수치를 맞춰
사업을 원활하게 하는 일이라고 볼 수 있겠죠.
대부분의 몇몇 중견 혹은 그 이상의 기업이나 표준화된 공장에 대해 ISO 인증을 유지하거나 받으려고 많이 시도할 겁니다.
산업체에서 보통 표준 인증은 ISO 14001 (환경) 혹은 가장 유명한 ISO 9001 (품질)일겁니다.
ISO에서 하는 일은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기준이 되는 다양한 표준 (엄밀히 말하면 숫자 및 용어)를 정하는 작업을 합니다.
이 작업 정말 쉽지 않지만 나중에 다시 설명하겠지만 어디에 속해 있는지는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될 수 있으면 특정되지 않게 할려고 합니다.
제가 ISO 전문위원으로 임명돼 활동한 건 올해 3월 부터입니다.
ISO 전문위원이 될려면 저 하겠습니다해서 되는 건 아니고
관련 학회나 산업체에서 추천을 받고
심사가 끝난 후에 위촉장을 받게 됩니다.
저는 학회 추천으로 ISO 위원으로 재작년에 위촉되었고
그 전에 여러가지 서약서를 쓰는데 임명직 공무원과 거의 엇비슷한 서약서를 씁니다.
(대부분 청탁관련 하지 말라는 서약서를 많이 쓰게 됩니다.)
대충 1년 단위로 계약을 하며
그 이후 동의에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제가 처음에 어떤분에게 추천받았을 때
'단순하게 하면 되, 어렵지 않아'라는 취업사기에 가까운 이야기를 듣고
뭐 대충 참가해서 이야기 몇번하고 투표만 하면 되겠지라는 정말 가벼운 마음으로 활동하자였습니다.
처음 워크샵 때도 어렵지는 않을 거라는 분위기로 갔습니다만...
참 신경쓸 게 상당히 많습니다.
대한민국 ISO 전문위원 활동은 크게 두가지로 나눠집니다.
ISO에 제안할 여러가지 표준규격을 만드는 일이고
두번째는 ISO에서 제시한 국제 규격에 대한 한글화 작업을 하는 것입니다.
일단 표준규격을 만드는 일은 각 분야에서 새롭게 혹은 바꿔야 할 여려가지 부분에서
측정이나 시험결과를 (이것도 참 시험인지 실험인지 용어 통일도 쉽지가 않아서 말이죠)
바탕으로 영어로 모든 서류를 작성한 뒤
여기에 대한 WG이라고 해서
그 분야에 문서 작업을 할 사람들을 모으고
이 작업을 통해 문서 수정을 하고
수정이 끝나면 서로의 찬반 투표를 통해
해당 표준이 들어가 있는 서류가 국제 규격으로 정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한글화 작업은 영어로 된 용어를
현재 표준화 된 국가 표준화 문서집을 바탕으로
단어를 통일하여 새로운 단어는 국내 ISO 전문위원들이
몇차례 토의 및 검수를 거쳐
납득할 만한 그리고 각 분야의 단어에 저촉하지 않는
(용어 및 뜻도 마찬가지로)
어려운 작업을 통해 문서집을 만들어 내는 작업을 합니다.
저도 3월부터 시작했을 때 이게 뭔가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 이전에 전문위원들이 대부분 (아니 전부)
그 분야에 고수들만 있고
동일한 영어 단어 조차 분야마다 해석이 다르고
각 학교에서 교수님들이 쓰신 교과서를
한국어로 바꾸는 과정에서도 제각각이고
영어로 하면 뜻이 쉬운데
이걸 웬만한 뜻이 해석되지 않는 외래어 조차 한국어로 바꾸어야 해서
제가 처음에 용어집 받고 이걸 수정하고
반영하는 데
토론 과정에서 이견이 많았습니다.
5월부터 각 나라가 제안한 규정에 대해 투표 및 의견 제시를 해야 하지만
이것도 단순하게 Yes 혹은 No에 대한
답이 아니라
No를 하면 왜??라는 데 알맞는 답변을 해야 했고
그렇다고 무지성으로 Yes를 하기에는 무책임에 가까운 행위라
꼼꼼히 살펴봐야 했습니다.
다만 절 추천하신 분이 이야기 한 것처럼 쉽게 하면 끝이야가 아니라
투표하고 살펴볼 문서가 쏟아집니다.
이런식으로 3월부터 10월초까지 국내 회의와
국제 투표를 진행하게 되었고
10월에 해외에서 하는 오프라인 한국 대표로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1주일 동안 하는 회의에서
중구 난방으로 뭔 영어를 하는지 모르겠지만 계속 떠들어 댔고
다행히 제가 제안하는 몇몇 규정에 대해
각 WG (문서 working group)에서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제가 11월 부터 작업에 착수하여 올해 말까지 제가 제한한 자료에 대해
Convenor라고 불리는 책임자의 검토하에
다른 분들과 함께 작업하는 걸로 올해를 마치게 되었습니다.
일년동안 제가 이런 분야에서 일하게 될지는 몰랐고
2023년 R&D 예산의 삭감으로 인해
회의 회수랑 국제 회의 참석에 대한 지원이 상당히 줄어들긴 했고
급여를 주는 것이 아니라
거의 봉사 위주로 하는 명예직에 가깝다 보니
어려운 점도 있긴 했습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특정 국제 표준에 대해 한국에서 주도권을 잡거나 한국의 표준이 국제 표준이 되는 걸 선도하는 자체가
그래도 영광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해서 일했고
내년에도 계속 할 예정입니다.
다만 올해 활동 처음하면서
예산이 부족했는지 각 국내 전문가가 다수의 분야를 활동하기에는 숫자가 너무 부족했고
(사실 영어를 잘하면서 전공지식도 많은 40대 이상의 전문가가 이런 명예직을 선택하기가 많이 힘들어서)
대부분 미국과 유럽에서 표준에 대한 주도권 싸움에 나머지 대륙이
낑낑대는 그런 분위기 였으니까요.
이건 이번 국제회의에 갔을 때도 느꼈고
미국 대표 다수랑 저 혼자랑 이견이 있어
의견을 교환했을 때
나중에 다행스럽긴 했지만 호주쪽 대표가 토론을 도와줘서
그나마 숨통 트면서 마무리를 지을 수 있었습니다.
아마 내년에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나름대로 2024년에 국내 표준화 및 국제 표준화 작업에
어느정도 기여했다는 자부심이 생겼고
내년에는 좀 더 열심히 일해
표준화 관련하여 한국에 기준에 맞는 표준화가
국제 표준이 될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