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05/16 14:30:17
Name 크산테
Subject [기타] lck 선수로 뛰어본 썰
직딩들이 가장 괴로워지는 금요일 오후에 13년 전 썰 풀어봅니다.
제목은 어그로인데.... 거짓말은 아닙니다.


2012년.... 한국에 리그오브레전드가 태동하던 시기,
피지컬이 한창 빠릿빠릿할 때라 그런지 그땐 제가 롤을 꽤 잘했습니다.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는데, 당시가 한국에 롤 서비스를 정식으로 시작해서
북미 계정을 한섭으로 옮겨주던 때였던 것 같아요.
그전까진 알음알음 알다가, 정식 오픈하고
사람들한테 '롤'이란 이름이 스물스물 올라오던 때였죠.


당시 레이팅 1800쯤이 플래티넘으로 최고 티어였는데
나름 탑레 2000까지 찍어 뿌듯했던 기억이 납니다.
가물가물한데 당시 1등이 2200~2300점쯤 됐을 거에요.
무료한 대학생이었던 당시 같이 게임 돌리던 겜친구가
롤 대회가 있는데 한번 나가보지 않겠냐고 급작스럽게 제의를 했습니다.
별 생각 없이 ok 했는데 그때만 해도 전 그게 LCK인지도 몰랐습니다 크크.


참가하는 팀들 역시 플래티넘 한 둘에 나머지는 브실로 채웠던게 대부분이었습니다.
경기는 거의 온라인 예선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한두 팀 정도를 이겼더니 얼마 후 연락이 왔는데... 그게 지금은 폐지된 온게임넷이었습니다.
“오프라인으로 참가 가능하시죠?” 라 묻는데 굉장히 뜬금없었습니다.
진짜 나가는지 몰랐습니다. 크크... 전화받기 전까지 온라인 대횐줄 알았어요.


당시 전 학교 수업을 제외하고 밥똥롤을 실천하던 롤창의 삶을 살았고
대회 일정도 주장형이 “야 오늘 대회니까 몇 시에 접속해” 하고 통보하면
거기 맞춰 루틴만 조금 수정하던 정도로(그래봤자 솔큐참기)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대회 주관이 OGN인줄은 몰랐을었습니다. 크크


지금으로선 상상할 수도 없겠습니다만... 참가하는 입장컷이 거의 없던 수준이었습니다.
그도 그럴게 한국섭이 열린지도 얼마 안됐었고,
온겜넷도 슬슬 주작사건으로 내리막을 걷고있던 스타에서 롤쪽으로 살살 간보던 시기였으니까요.
그래도 대회는 대회인지라 팀원 일부가 플래티넘 이상? 정도 조건이 걸려 있었던 것 같긴 합니다.


무튼....

갑자기 오프라인 대회에 나가게 되어버린 상황...
대회 일정이랑 스케줄을 통보받고, 본격적인 대회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음성채팅으로만 말하던 팀원들을 직접 보게 됐는데
팀원들은 경상도 쪽에서 상경한 서로 실친인 네 명이었고,
제가 그때 스물셋 정도로 제가 제일 막내였고,
형들은 저보다 3~4살 정도 많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간단하게 통성명을 하고, 중앙대 근처에서 롤 연습을 하기로 했는데
사실 연습이랄 게 없었습니다. 그냥 5인팟 돌리는 거였거든요. 크크...



‘흠.... 잘해봤자 광탈이겠군....’



그나마 주장형이 저보다 점수가 더 높은 플래티넘이었고,
한 명은 골드, 나머지 두 명은 각각 실버와 브론즈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한마디로 ‘우리 친구아이가~’ 정도였는데
실친들의 추억 만들기파티에 제가 깍두기로 낀 느낌의 파티였습니다.


그러다보니 제대로 된 연습은 되지 않았습니다.
그때 스크림이 어딨습니까. 크크.. 그냥 PC방에서 롤하는 5인큐였어요.
연습한건 정말 기억 하나도 안나고 끝나고 먹었던 술과 밥만 기억납니다.
순대곱창볶음을 먹었는데 5인분 넘게 먹고 소주도 시켰는데 4만원밖에 안됐었거든요.
아! 짭짤쌉싸르한 중대앞 곱창집의 추억이여...


첫 상대팀에 대한 설명도 듣게 됐는데 무서웠습니다.
왜냐면 상대 티어가 꽤 높았거든요. 상대 엔트리중 가장 티어가 낮았던 사람이
골드라는 얘기를 듣고 팀원 모두가 긴장할수밖에 없었습니다.
롤이란 게임이 어떤 게임입니까? 아무리 날고 기어도 한 라인이 뚫려버리면 답이 없는 게임이잖아요.
우리 브론즈 실버 바텀형님들이 골드 상대로 버틸수 있는지가 관건이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상대팀 중 가장 잘하는 사람이 카서스 장인이었는데
우리 브론즈 서포터 형이 소라카가 주캐였다는 점과
지금껏 저희팀의 승리 플랜이 극도의 라인전 장인인 주장형 혼자
상대 미드를 개털어버리고 원맨캐리로 이겨왔다는 점이었습니다.


어차피 우리는 미드 원맨팀이니 정글러는 콜하면 미드 갱.
바텀은 애쉬 골라서 궁으로 이니시 셔틀. 소라카는 진혼곡 카운터 겸 애쉬 보좌.
탑은 어느 정도 체급되니까 알아서 해라~ 정도의 플랜을 잡고 대회를 준비했습니다.


그렇게 일주일 정도가 지나고 용산에 설치된 롤 특설 대회장에서
플플골실브 vs 플플골골골의 가슴 웅장해지는(?) 대진이 펼쳐지게 되었습니다.


목표는 1승. 재밌는 추억 만들기로 말이죠....



-계속-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adiologist
+ 25/05/16 14:37
수정 아이콘
오오. 앞으로의 글 기대합니다. 벌써 도파민이 나오고 있어요.
교자만두
+ 25/05/16 14:38
수정 아이콘
재미있네 카서스 장인이면... 콘샐러드인가.. 나진훈인가 빠별인가
조랑말
+ 25/05/16 14:58
수정 아이콘
미드카서스 시절이니 덜덜
망고치즈케이크
+ 25/05/16 14:42
수정 아이콘
비축분어딨습니까!
VinHaDaddy
+ 25/05/16 14:43
수정 아이콘
유료결제 버튼이 어디 갔나요? 버튼 누르면 다음 편 볼 수 있는 거 아니었나요? 다음편이 읽고싶습니다! 잘 읽고 갑니다.
아스트란
+ 25/05/16 14:47
수정 아이콘
와 다음편 기대하겠습니다
스타나라
+ 25/05/16 14:52
수정 아이콘
순대나라에서 순대드신건가요 크크크
강동원
+ 25/05/16 14:54
수정 아이콘
이걸 자르네... 추천을 드릴테니 다음 글을 쓰시오!
다시마두장
+ 25/05/16 14:58
수정 아이콘
황충아리 케빈스페이시가 올스타로 나가고 포니가 본선 진출해서 '대 롤챔스 리거'라고 자칭하기도 전 시절의 이야기로군요.
이런게 바로 간접체험이구나 싶네요 크크. 다음 편 기대하겠습니다!
크산테
+ 25/05/16 15:06
수정 아이콘
그 황충아리 성님이 참여했던 대회 맞습니다 크크
쵸젠뇽밍
+ 25/05/16 15:26
수정 아이콘
와. 황충아리 오랫만에 듣네요.
+ 25/05/16 15:50
수정 아이콘
황충아리 추억 돋아서 찾아보니 참가 당시 31살이었군요. 31살이 황충이라니 ㅠㅠ

페이커가 2년 더 뛰면 최고령 출전 기록도 따라답겠네요.
쵸젠뇽밍
+ 25/05/16 16:04
수정 아이콘
프로게임판이 대학생들보다 연령이 낮으니까요.
당근케익
+ 25/05/16 14:59
수정 아이콘
와 여기서 자르시네.. 배우신분!
+ 25/05/16 15:04
수정 아이콘
작성자분이 [1화빌런]이라는 닉을 달고 계셨다면... 이라는 상상을 살짝 해봅니다
하카세
+ 25/05/16 15:06
수정 아이콘
인비테이셔널인가요... 직관 갔었는데 혹시 그거인지 흐흐
크산테
+ 25/05/16 15:14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인비테이셔널은 아니고 2012 스프링이네요
+ 25/05/16 17:50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가 우승했던 그 대회군요!!
+ 25/05/16 15:15
수정 아이콘
다음화 결제버튼이 어디있죠?
+ 25/05/16 15:20
수정 아이콘
아니 도입부에서 이렇게 끊으면...
파고들어라
+ 25/05/16 15:22
수정 아이콘
2012 스프링에 매라의 크레센도가 매니리즌 아리한테 적중하고 바로 클템이 쉔으로 도발 긁는 장면 밖에 기억이 안나네요.
그 때 무슨 팀을 응원했는지 모르겠는데 이상하게 그 이후 경기를 안보다 나중에 블레이즈가 우승하고 다시보기 봤던 기억이 납니다.
네크로노미콘
+ 25/05/16 15:24
수정 아이콘
와 사람들이 이래서 선결제 하는구나. 다음화 다음화!
+ 25/05/16 15:32
수정 아이콘
아 몰아서 볼걸
기무라탈리야
+ 25/05/16 15:47
수정 아이콘
그때 막 래더 1100점대도 보였던 걸로 기억하고 어마어마한 시절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크크. 꼬마는 당시 챔프 3개만 연습했던가
+ 25/05/16 15:50
수정 아이콘
미리보기 없나요 다음화 빨리
그럴거면서폿왜함
+ 25/05/16 16:10
수정 아이콘
CLG랑 프나틱이 특별 참가 하던 그 시절 맞나요?
당시에 미드 오리아나 나오니까 해설분이 오리아나는 메커니즘이 어려워서 쓰기 힘들다 이런 멘트 했던 기억이 나네요 크크크
+ 25/05/16 17:53
수정 아이콘
CLG.EU랑 프나틱이 참가했던건 2012 섬머 였죠. 같은 연도니 그시절이 맞네요.
+ 25/05/16 16:10
수정 아이콘
아오... 간만에 겜게 글 읽었는데 이렇게 끊기다니.... 2편, 빨리 2편 주세요!!!!!!!!!!!!!!!!!!!!
김삼관
+ 25/05/16 16:14
수정 아이콘
주말에 연재하시는거죠? 
감전주의
+ 25/05/16 16:16
수정 아이콘
엌 중간에 끊기신공
리얼포스
+ 25/05/16 16:19
수정 아이콘
앗 어느경긴지 알것같아요
+ 25/05/16 16:25
수정 아이콘
아니 이보시오 주모
여기서 절단신공을...
+ 25/05/16 16:37
수정 아이콘
작가님. 오픈일에는 3화 연참이 국룰입니다(단호)
raindraw
+ 25/05/16 16:58
수정 아이콘
아니 여기서 절단마공이라니...
기다리면 무료도 선결제 하면 볼 수 있는 세상에 빠른 연참 부탁드립니다.
요케레스
+ 25/05/16 17:58
수정 아이콘
미드킹짱짱맨?
승률대폭상승!
+ 25/05/16 19:11
수정 아이콘
12년이면 대회 참여조건이 래더 실버1400이고 금장만 달아도 상위 3퍼던 시절...
Normalize
+ 25/05/16 19:39
수정 아이콘
아니 2012 스프링이라고요?!

빠 빨리다음화!!
고민시
+ 25/05/16 20:18
수정 아이콘
페이커센빠이센빠이님
리니시아
+ 25/05/16 21:13
수정 아이콘
크크크 재밌네요 빨리 다음화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10905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76965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44704 13
81212 [LOL] 파죽의 2연승 DK와 도파민 그런거 없다는 젠지 하이퍼나이프354 25/05/16 354 2
81211 [발로란트] T1, 아카데미에서 DH 동호 선수 콜업 [6] 김삼관1359 25/05/16 1359 0
81210 [기타] lck 선수로 뛰어본 썰 [39] 크산테4080 25/05/16 4080 22
81209 [LOL] lck 현재 순위 및 이런저런 잡설 [25] 마술의 결백증명3185 25/05/16 3185 0
81208 [LOL] KT의 화려한 업셋과 T1의 복수 - 통신사들의 승리데이 후기 [39] 하이퍼나이프7335 25/05/15 7335 8
81207 [오버워치] 좀 늦은 OWCS 2025 스테이지 2 1주차 리뷰 [6] Riina2780 25/05/15 2780 0
81206 [기타] 난 뭘 위해서 게임을 하지? [32] 버드맨5752 25/05/15 5752 29
81205 [기타] 캡콤 근황 [17] 인간흑인대머리남캐7067 25/05/14 7067 0
81204 [라스트오리진] 라스트오리진의 가장 최근 미스오르카 소식 [35] 용자마스터5220 25/05/14 5220 11
81202 [LOL] 다시 쓰는 마드리드 로드트립 [17] DENALI6795 25/05/13 6795 0
81200 [발로란트] 내년 퍼시픽리그는 한국 서울을 떠난다? [10] 김삼관6121 25/05/13 6121 3
81199 [콘솔] [게임 클리어 후기:스포있음] 스플릿 픽션 [8] RED6453 25/05/12 6453 0
81198 [LOL] 열광적인 프랑스 로드트립 [19] DENALI9197 25/05/12 9197 0
81197 [발로란트] RRQ가 길고긴 악연을 끝내고 우승을 차지합니다. [10] 말레우스6338 25/05/11 6338 0
81196 [LOL] DNF가 드디어 첫승을 가져갑니다 [48] roqur10396 25/05/11 10396 4
81195 [기타] EVO Japan 2025 철권8, 무릎 우승 [24] 어강됴리6776 25/05/11 6776 6
81194 [발로란트]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패자조 결승 요약. [2] 일렉트3363 25/05/11 3363 0
81193 [LOL] 오늘도 소중한 1승을 쌓아올린 젠지 [11] 하이퍼나이프7015 25/05/10 7015 6
81192 [LOL] 오늘자 DK 참담 그자체 [62] 갓기태10565 25/05/10 10565 4
81191 [LOL] [LPL] 5월 초에 시즌 종료된 팀이 나왔습니다. [25] BitSae5359 25/05/10 535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