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2/29 18:04:17
Name TAMBANG
Subject 대기업 효과는 환상에 불과하다?
요즘 들어 스타판의 끝물이 보이는 것처럼 느껴집니다.비단 저만 느끼는 감정은 아닐 것입니다.

그런데 그와 동시에 ‘최근 일련의 해체 사태를 보아 대기업 효과에 대한 주장(대기업주도의 스폰서 방식이 보다 더 안정적일 것이라는 주장)이 환상에 불과함이 드러났다’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사실 그렇게 보이기도 합니다. 많은 선수들이 직장을 잃고 떠나갔습니다. 아프리카에서 생활을 전전하는 선수들도 있고요.하지만 곰곰이 생각해 본 결과 이러한 주장이 완전히 옳은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해보자 합니다.


1.일련은 게임단 해체사태는 대기업 효과의 허구성을 드러내는 증거일까
  
최근 2년 사이에 무려 12개 게임단 중 무려 5개 게임단이 해체되었습니다. 말이 5개지 그 팀에 딸린 프로게이머, 연습생을 고려한다면 상당수가 직업을 잃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판에 안정성을 충분히 제고해 볼만 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기업주도의 팀의 문제점인지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2개 게임단 중 기업주도의 팀은 8개라는 것을 고려해야 하니까요.

실제로 해체된 팀을 보면 화승,위메이드,mbc게임,온게임넷,이스트로입니다 이중 온게임넷은 승부조작의 여파로 인한 주력선수의 이탈로 해체되었고 이스트로는 중계권 판매가 중단됨에 따라 존재이유가 없어지면서 해체되었습니다. mbc게임은 mbc게임 채널의 전환으로 인해 해체되었습니다. 이 세 팀은 실상 기업스폰서 방식과 아무런 연관이 없습니다. 창단 자체가 홍보의 목적이 아니었을 뿐더러 해체이유도 특수한 이유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선택 이었습니다. 이를 두고 ‘기업팀의 안정성’을 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물론 화승과 위메이드팀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기업 스폰서의 전형입니다. 하지만 이들의 해체 뒤에 승부조작의 여파가 있다는 걸 고려해야 합니다. 스폰서는 기업의 이미지개선과 홍보 효과를 위해 팀에 투자합니다. 이는 곧, 승부조작으로 인한 이미지 실추의 여파로 기업팀이 몽땅 해체 되었더라도 사실 이상할 것이 없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기업 8개팀중 6개팀이 지속적인 투자를 유지했습니다. 스타판의 인기가 점차 떨어지고 있다는 것까지 고려해보면 놀라운 수입니다. 이것은 오히려 기업팀 방식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예가 아닐까요?


2.서브 스폰서 방식에서 책임감을 기대할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기업스폰서방식에 반감을 갖는 이유는 기업팀의 만행탓이 큽니다. 전권을 쥐고 휘두르는 기업팀은 심각한 부작용 가지고 있는 것처럼도 보입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이 오로지 부작용만을 불러일으킨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전권을 쥐는만큼 책임감도 가진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러한 말을 꺼내면 ‘기업팀 이라고 무슨 책임감을 가지고 있겠느냐’ 하실 겁니다. 물론 제가 말하는 책임감 이라는 게 투철한 정의감과 이스포츠에 대한 사랑의 발현이라고 말하고자 하는 것은 아닙니다. 스포츠 마케팅에선 기업이 팀을 창단하면서 가지게 되는 홍보효과 만큼 발을 빼게 되면 가지게 되는 반감도 존재하게 됩니다. 그래서 기업팀은 섣불리 창단하지도 않지만 섣불리 해체하지도 않습니다. 8개팀중 6개팀이 유지된 이면에 이러한 이유도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한번 발을 들인 기업은 이스포츠판에 대한 어느 정도의 책임감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스포츠가 위기를 맞은데 기업팀이 변화를 꾀하지 않은데 이유가 있다는 비난이 이는 상황에서 이스포츠판이 갑자기 거꾸러진다면 기업차원에서도 그다지 달갑지 않은 상황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게임단 내에서 스타2연습을 하고 있다는 루머가 나도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또 예전에 뒷담화에 이제동 선수가 나와 협회차원에서 예전에 받던 연봉 수준과 가능하면 큰 차이 없도록 맞춰주고 있다는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비록 팀원 수가 많지 않더라도 8개팀 체제를 유지하는데 적지 않은 지출을 감수하고 있다는 뜻일 겁니다. 이것이 기업의 이미지 관리 차원이든 아니면 게임단을 오래 운영하다보니 이스포츠에 대한 애정이 조금이라도 생긴 것이든 간에 기업팀이 이스포츠판을 유지하는데 일정부분 책임감을 통감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대 다수의 서브스폰서를 바탕으로 하는 체제에서는 이러한 책임감을 기대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서브스폰서들은 선수들을 관리할 권리가 없으며 선수들이 일탈을 저지른다고 하여도 그들에게 책임이 없습니다. 비단 승부조작 같은 사태가 아니더라도 이스포츠에 이미지에 타격을 입힐 위기가 왔을 때, 이스포츠 전반의 열기가 식었을 때, 체제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을까요?또 서브스폰서가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지출을 감수할 수 있을까요? 승부조작 사태에 기업팀중 수치상 75%가 투자를 유지했지만 과연 서브스폰서도 마찬가지 결정을 할지 의문입니다.
  

3.
이런 분들도 있을 겁니다. “이미지에 타격을 입거나 인기가 떨어졌으면 수명을 다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 수명이 다된 것을 물고 늘어지는데 가치를 둘 수 있는가?”
개인적으로 이 부분에 대해선 논쟁하지 않을 것입니다. 가치판단의 차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저는 좋아하는 스타를 가능한 오래 보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가능한 많은 선수들이 가능한 안정적인 환경에서 프로게이머 생활을 하는 것이 이상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저는 글을 그러한 가치아래서 썼다는 것을 고려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4.결론
기업 스폰서 방식이 완벽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본연의 문제점을 분명히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저는 기업주도의 스폰서 방식이 현재 여건상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기업스폰서의 안정성 때문이라 생각했구요. 저도 제 글에 허점이 많을 것이라는 걸 알고 있고 반대의견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안정성에 대해 지적하는 리플을 몇 번 보아서 적어도 저는 이렇게 생각한다는 글을 써보았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2/29 18:47
수정 아이콘
대기업 스폰서 아니면 지금 기업팀이 8개나 남아있었을리가 없다고 봅니다
이미 스타1 접었어도 이상하지 않음
12/02/29 18:57
수정 아이콘
하나의 의문제기를 할만한것이 있는데,,, 과연. 진짜로 승부조작이 팀 해체의 절대적 공헌을 했을까요?

글쎄요...

온겜에 승부조작 선수가 있다는건 사실입니다. 허나,
이스트로는 애초에 팀 유지에 별 관심이 없었습니다. pc방 홍보 와 중계권 매매가 팀 유지의 이유였죠
엠겜도 마찬가지입니다. 엠겜에 핵심적인 조작선수가 있나요? 시청률 안나오니 그냥 방송국 폐지하고 당연히 팀 해체인거죠.
화승과 위메이드에도 조작선수가 있었나요?

오히려 거두라고 할만한 선수는 cj에 있었습니다. cj가 팀 해체 하나요? 아니죠. 가장 투자가 많은 기업중에 하나입니다.


요는 승부조작은 스타리그 부흥에 데미지는 줬을지언정 그로 인해 휘청인건 아니란겁니다.


그리고
기업팀은 선수에게 안정과 환경을제공한다. 요거 틀린말입니다.
빈익빈 부익부를 가속화하고 단기간에 몰아서 아예 뽕뽑기가 되는거죠

연금으로 받냐 퇴직금으로 받냐의 차이였다고 생각하구요.

애초에 각팀 주전선수끼리의 연봉차이가 너무 컸습니다. 그러면 안돼요.
적정한 팀간의 경쟁과 선수간의 교류가 있어야되는데요.

epl에는 ffa라는게 있습니다 팀의 재정이 극단적으로 되는것을 막는거죠.
프로리그의 상금을 지금보다 훨씬 늘리고 선수들의 연봉은 적정수준을 유지해주는게 더 좋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팀이 자생능력을 키우고 동등해져야 시장이 유지가 되는거지 한쪽에 너무 치우치면 시장은 붕괴됩니다.




지금의 스타게임판은 한두개의 문제가 만들어낸 상황이 아닙니다.
단물 우려먹기로 뽕뽑히면서 연착륙에 실패했고 재미와 선수중심이 아니라 홍보와 팀중심이 되면서 유저층의 이탈을 만들어냈습니다.
기업팀과 선수간의 불평등한 권력이 유저들의 비난을 받았구요.

매니아는 이탈하고
라이트유저는 관심이 멀어지고
신규유저 유입은 없죠.

마치 시골의 경제 부흥을 외치는것과 같습니다.
청년들은 도시로 떠나고
노인들은 농사가 전부고
농사는 경쟁력을 잃은지 오래죠
기후에 따라 말아먹기 딱 좋구요.
12/02/29 19:42
수정 아이콘
1-1. 이스트로와 mbc게임이 승부조작 떄문에 해체되었다고 한적은 없었습니다만-_-; 기업팀의 불안정성의 근거로 삼기에 적당하지 않다는 예기를 한것이었는데요.. 본문을 잘 읽어주셨으면 하네요

1-2. 화승과 위메이드에 조작 선수가 없었다는게 중요한 사실이 아닙니다. 실제로 말씀하셨듯 가장 악질인 마모씨가 cj에 있었지만 스타팬들이 다른팀보다 cj에 더 실망했다는 말을 들은적 있었나요? 실제로 cj가 '조작팀' 같은 이미지를 얻은것도 아니에요. 중요한것은 승부조작의 발생으로 인해 이스포츠 전반의 이미지가 나빠졌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점은 팀 해체에 중요한 역활을 했다고 봅니다.

2. 기업팀에도 문제점이 많다는것은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서브스폰서로 유지하는 체제보다는 안정성이 월등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네이쳐나 지오팀 같은 팀을 보세요, 당시 스타인기는 지금보다 월등했음에도 불구하고 훨신더 열악한 환경에서 게임했습니다. 지금 그런식으로 운영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아마 스타플레이어 몇명만 간신히 먹고살만한 체제가 됬을겁니다.
블루드래곤
12/02/29 19:00
수정 아이콘
아이러니한건
예전에 프로게이머들 눈물젖은빵 먹고 그럴때는,
기업스폰서가 최고의 해결책인것 마냥 할때가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고 보니 그게 아니었던 것 같네요.

그런면에서 스타2는 요즘 상황이 어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기업스폰보다는 서브스폰위주로 후원받고, 자기네 팀(또는 클랜)만의 정체성을 유지하는게
이판에는 더 낫지 않나 싶기도 하네요.
12/02/29 19:08
수정 아이콘
그건 현실성 없는 이야기라고 봅니다. 기업의 스폰서 없이 운용되는 프로야구의 넥센이 안정적이라는 말을 들었던가요? 스타2 게임단조차 넉넉하지 못한 재정 상황으로 많은 선수들이 해외 게임단의 좋은 조건으로 넘어갑니다. 예전 이네이쳐 팀이 창단되었을 때, 수많은 스폰서가 붙었지만 게임단 규모 및 선수들 연봉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무엇보다 어떤 스폰서가 붙든, 시장이 축소되니 마찬가지로 축소된 것이지, 스폰서의 구조 문제라고 볼 수 없습니다. 기업이 계산했을 때 운영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여 게임단을 해체한 것이고 그게 단순히 기업의 문제가 아니었다면 다시 인수해야 운영할 기업이 있었을겁니다.
블루드래곤
12/02/29 19:41
수정 아이콘
물론 일리있는 말씀입니다.
하지만, 기업스폰일 경우에는 서브스폰으로 운영할때보다는 기업입장에서는 고정비용이 훨씬 많이 들어갑니다.
선수들 연봉줘야지, 프런트 둬야지, 숙소도 잡아야지, 거기다 코칭스탭도 만들어야지..
한마디로 부담이 심해진다는 얘기죠

하지만 서브스폰으로 단순히 운영비용만 스폰해줄경우에는 아무래도
팀을 통째로 운영하는것보다는 부담이 좀 덜하지 않을까하는 의견입니다.
마빠이
12/02/29 19:23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알아야할건 선수들은 백이면백 기업팀을 선호할겁니다.
조금이라도 대우를 더받을수 있다면 해외팀이라도 가는 선수들인데 정치고 머고
기업팀을 선택할겁니다.

지금 스1에서 기업팀이 팀을 해체하고 선수들은 팽당해서 기업팀은 안좋은거다?
앞뒤관계가 완전하게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기업팀이 해체하면 선수들이나 감독들은, 그냥 스폰잡아서 다시 팀을 꾸리면 됩니다.

예를들어서 지금 lol기업팀인 나진엠파이어를 봅시다.
나진이 1년만 꾸리다가 팀을 해체하면 선수들은 다 강제로 은퇴해야 하나요?(물론 1년만에 그럴일은 없겠죠)
아니죠? 나진이 손때면 지금 소속인 막눈이나 다른 선수들은 다시 스폰잡아서 자체적으로
대회나가서 보조스폰으로 팀을 운영하면 그만인겁니다.

지금 스1은 "기업팀" 자체가 문제라기 보다는 팀이 없으면 선수들이 자생할수 없는 환경
이기 때문에 팀해체는 곧 선수들은 오리알 신세가 되는것이죠, 은퇴선수들도 무더기로 나오고요

즉 연봉주는 기업팀의 문제가 아니라 그 주변환경자체가 이미 국내대회도 없고 시간이 지나서
해외대회도 거의 전무해서 사실상 프로리그가 아니면 자생할 건덕지가 없기 때문에 생기는 일입니다.

스2도 당장 보조스폰 정도가 아니라, 네이밍스폰 이라도 받을팀이 있다면 당장이라도 창단할겁니다.
창단했다가 모기업이 손때면 다시 지금처럼 보조스폰 받아서 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최소한 자생할수 있는 수단이 있거든요
그럭저럭하루
12/02/29 19:47
수정 아이콘
나진 사장님이 이런말을 하셨죠.
스1 창단제의도 왔었는데 거절했다고. 지금 미래를 본다면 스1 프로게임팀 창단하는건 바보같은 짓이라고 장담할수있습니다.
나진기업은 프로게임팀을 창단했죠.. 결과는 대성공이였구요. 저도 나진이 무슨기업인지 몰랐는데 이번기회로 알게됐습니다.

롤이나 스2도 인기가 영원히 계속될수는 없습니다.
당장 롤만해도 블리자드도타와 도타2 와 곧 대결을 해야되거든요.
스2도 확팩이 다나오고 2~3년 진행후 소멸될걸로 예상하구요.
안타깝지만 스1은 이쯤에서 끝냈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이영호선수 광팬이고 아직도 이영호선수 경기는 하나도 안빼놓고 봅니다.
하지만 스1이 망한다고 해서 이영호선수나 프로게이머들도 망하는건 아니거든요.
롤이건 스2건 전향해서 언제든지 성공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저는 이영호의 LOL 플레이를 보고싶어요. 이영호가 스1에 계속 매달리고있는게 정말 아깝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냥 스1의 생명력이 다했다고 보고있습니다.
더이상의 신규유저는 존재하지않고 한국에서만 한다는점이 치명적이죠.
e-스포츠도 이제는 글로벌 시대입니다. 시대의 흐름을 따라야된다고 생각해요.
그러는 의미에서 LOL이나 스2는 미래가 더욱 밝죠..
만약에 스1을 끝낸다면 남은 프로게임단 7개중 반은 스2로 반은 LOL쪽으로 넘어갈거같네요.
12/02/29 20:14
수정 아이콘
최근 일련의 해체 사태를 보아 대기업 효과에 대한 주장(대기업주도의 스폰서 방식이 보다 더 안정적일 것이라는 주장)이 환상에 불과함이 드러났다 ---> 라기 보다는
대기업주도의 스폰서 방식이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살아남았다라고 보는게 더 옳을듯 싶습니다.
스타를 이제 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시청하는걸 즐기는 입장에서
대기업주도의 스폰이 아니었다면 몇년전에 or 지금보다 더 축소된 리그가 됐을거라 생각합니다.

쓰고나니 원글 반대하는 내용같은데 동의하는 내용입니다.. 쩝
담배상품권
12/02/29 20:40
수정 아이콘
뭐,대기업 자체가 나쁘다기보단 애초부터 팬의 입장에서 보니까 대기업 고정화에 반대할 수 있는거라 생각합니다.
진짜 그쪽에서 일하거나 팀을 운영하게 되면 불만은 있을지언정 거부할순 없죠.
12/02/29 20:52
수정 아이콘
"대기업"팀들의 카르텔을 공고히 하기 위해 그들만의 리그가 만들어지고 선수가 거기에 속박되는걸 경계할 뿐 기업팀 생기면 좋죠. 나진 정도 수준이면 얼마든지 환영할 수 있지 않을까 하네요.
12/02/29 20:54
수정 아이콘
대기업 주도의 체제가 없었으면 스1판이 여기까지 올 수도 없었죠.

이제와서 이게 다 대기업 때문이라면서 타박하는건 그 옛날 팬들에게 반찬 구걸하던 시절에 대해 다 망각하고, 스1 이후의 수많은 RTS게임들중 현재까지 게임리그 형태로 존속하는게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서도 모르고 있다고 밖에는 볼 수가 없습니다.

안타깝지만 작금의 스1판의 침체는 기업팀 체제를 통해 억지로 스1의 수명을 늘리는 데에도 한계가 왔다고 보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게임이 흥행을 하려면 결국 하는 사람이 많아야 하는데 스1의 신규유저 유입은 끊어진지 오래죠.
Sky날틀
12/03/01 01:38
수정 아이콘
저 또한 본문과 같이 대기업의 스포츠 마케팅은 단기적 이미지 마케팅으로 팀을 창단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마케팅은 물론 사회공헌 활동의 하나로써 팀을 운영(STX 창단 당시 기사 내용을 미루어 보아)한다는 점에서
부작용이 분명 존재하나 괜찮은 시스템이라 생각합니다.
//
단 과거 협회의 판단들이 기업적 마인드(중계권, 지재권 파동등)로 인해 마케팅의 이익적인 측면에서 급하게 다가가다 보니
반감이 오히려 커진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개인적으로는 이제 변화를 받아 들인다면 이러한 대기업 주도 팀 시스템도 과거와 같이 반감보다는 좀더 나은 평가를 받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연봉 공개 및 FA시 에이전트 투입, 최소 연봉제 투입, 은퇴 이후를 고려 다양한 배움의 활동 제공등 프로게이머들에게 좀더 나은 환경을 제공해 주었으면 하는... )
마이너리티
12/03/01 04:01
수정 아이콘
스타1 리그가 축소되고 있고 팀이 해체되는 건 스타1리그의 재미의 수명이 다했기 때문이지
다른곳(협회 운영, 승부조작 사건 등)에서 찾으려고 하는건 손으로 태양을 가리는 격이죠.
그나마 대기업 위주의 협회 주도의 리그였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스타1리그가 열리는 게 맞다고 봅니다. (그 이유가 협회의 자기 존속의 목적이든 뭐든지 간에..)
대기업이 뭉친 현재의 협회 주도 방식이 아니라 그냥 클랜을 네이밍 스폰하는 식으로 발전해왔다면 적어도 3년 전쯤에 스타1 리그는 종적을 감췄으리라고 봅니다.

우리가 원하는게 그냥 재밌는 게임을 우리가 원할때 보는 것일뿐이라면 현재의 대기업의 창단 형식의 리그는 불필요하겠죠.
하지만 많은 분들이 단순한 게임이 아니라 야구나 농구와 같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스포츠로 인정받고 유지되기를 원했고
그러기 위해선 현재로선 대기업들이 창단하는 현재의 이스포츠 형식이 필수적이지 않나 싶네요.

제 개인적으로 현재 뜨고 있는 lol 리그도 스타1처럼 지속적인 흥행이 보장된다면
협회소속기업이 종합e스포츠팀 창단(스타1 팀이 스포팀도 겸하듯이 lol팀도 겸하는 방식)을 통해 공인 리그도 열되..
소속 선수들의 비공인 리그 참가나 해외 리그나 국제대회 참가에 전폭적 지원을 해주는 식으로 유연한 운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불쌍한오빠
12/03/01 10:22
수정 아이콘
팬 입장에선 비스폰이...어쩌면 더 안전할수도 있습니다
근데 대기업스폰 제외하면 정상적으로 선수연봉 지급할수 있나요?
프로게이머가 봉사단도 아니고 정당한 연봉은 지급할수 있어야죠
알파스
12/03/01 10:57
수정 아이콘
승부조작때문에 스타1이 몰락한게 아니라 이제 뽑아먹을게 없으니 그렇게 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케이리그도 승부조작으로 엄청난 내흉을 겪었지만
팀은 그대로이지 않습니까 [m]
청바지
12/03/01 13:18
수정 아이콘
본문의 내용에는 동의합니다.
하지만 안정성이라는 측면을 얻어온 대신 잃은것도 너무 많은것 같아서 안타깝네요.
기업에 이익이 되는 운영 방향과 팬이 원하는 방향이 다른 경우가 많았죠. (개인리그 보이콧, 곰tv클래식 문제, 지재권 협상 등)
그리고 자연스러운 다른 종목 전환을 막는 걸림돌이기도 하구요.
솔직히 말해서 기업이라는 우산 밑에 들어간 선수만 이익(연봉, 연습환경, 안정성)을 본거지 팬들은 딱히 이득을 보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안정적이기만 하면 뭐합니까? 라고 말하고 싶네요.
지나가다...
12/03/01 14:22
수정 아이콘
선수가 이익을 얻지 못하면 애초에 프로 스포츠가 성립하지 못합니다.
안정성은 무엇인가를 지속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안정성이라는 바탕이 없었으면 이 바닥이 여기까지 오지도 못했습니다. 그리고 안정적인 연봉과 연습 환경이 경기의 질을 크게 끌어올렸다고 생각합니다.
마냥 이상적이지는 않을지 몰라도 대기업 스폰은 꼭 필요했습니다.
팬이야 판의 지속으로 지금까지 스타 경기를 즐길 수 있다는 이득이 있었죠.

자연스러운 종목 전환은 이제 진행될 듯합니다. 지금까지도 방송사에서 여러 게임의 리그를 열었지만 결국 남은 건 스타1뿐이었습니다(아, 유일하지는 않네요. 스포리그도 있고..). 사람들이 관심을 덜 보였으니까요. 이제 사람들이 스타1보다 관심을 더 보이는 게임들이 생겼으니 전환되겠지요.
지나가다...
12/03/01 14:51
수정 아이콘
테니스나 골프처럼 비스폰으로도 선수들이 먹고 살 만큼이 되려면 여기저기서 대회도 많이 열리고 상금 규모도 상당해야 합니다. 즐기는 인구가 많아서 강사 등으로 먹고 살 수 있는 길도 어느 정도는 열려 있어야 하고요.
그런데 스타1이 그럴 수 있었을까요? 전 부정적으로 보는데, 그렇다면 팀 단위의 안정적인 스폰서 시스템은 꼭 필요했습니다.
중간중간 삽질도 많이 했지만, 이미 사라져도 이상하지 않았을 일개 게임 리그를 지금까지 볼 수 있었던 것은 거의 절대적으로 대기업 스폰이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문제는 규모가 이 이상 클 수 없는 운명이었다는 것이죠.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면 더 지속이 가능했겠지만,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쇠퇴기에 접어든 것 같습니다. 전 앞으로도 오랫동안 보고 싶지만...
12/03/02 13:5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승부조작의 가장 큰 문제점은 수명이 다한 스타판에서 빠져나가려고 눈치를 보던 대기업들에게 좋은 핑계거리를 던져줌으로서 대비할 겨를도 없이 이 판의 극심한 축소를 몰고왔다는 것이라고 생각하네요.

다른 종목으로의 전환이 매끄럽게 이어지지 못 한 상태였기에(스2 중계권 문제 등...) 더 뼈아프게 다가오네요.
12/03/03 08:18
수정 아이콘
대기업이 없었으면 스타가 여기까지 오지도 못했습니다. 대기업 스폰으로 억대연봉 선수들이 나오고 그 선수들을 보며 어린선수들이 프로게이머를 꿈꾸고 이 판에 유입되고.. 그런거죠.

그냥 기업팀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기업팀이 있기에 아직도 스1 리그가열리는 거구요. 이번 프로리그 스폰도 sk에서 잡아줬죠.. [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641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PO 2차전, 삼성전자 vs KT #4 [289] kimbilly8009 12/03/25 8009 0
46463 대기업 효과는 환상에 불과하다? [36] TAMBANG7242 12/02/29 7242 1
46435 방금 이예훈 vs 이신형 경기 보셨습니까? [27] RealityBites8081 12/02/26 8081 0
46434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3주차, STX vs SKT #2 [136] SKY925655 12/02/26 5655 0
46433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3주차, STX vs SKT #1 [222] SKY925432 12/02/26 5432 0
46272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9주차, 8게임단 vs 삼성전자 #1 [215] SKY925806 12/02/01 5806 0
46148 스타2 연습중인 스타1게이머들? [41] 마냥좋은11326 12/01/12 11326 0
46134 제8게임단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 [34] noknow7347 12/01/10 7347 1
45887 하나, 둘, 셋, CJ 파이팅! [9] 전준우4670 11/11/27 4670 0
45817 11-12 프로리그 판도 예상 [22] 본좌7908 11/11/12 7908 2
45816 지금까지 진로가 결정된 해체된 프로게이머들의 향방 [10] 삼성전자홧팅7820 11/11/12 7820 0
45808 수많은 이들을 떠나보내며 [8] VKRKO 6470 11/11/10 6470 1
45784 해체 게임단 공개 포스팅 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70] 운체풍신10967 11/11/04 10967 0
45589 그들은 역시 우리를 실망 시키지 않는다. [40] 리멤버9962 11/09/26 9962 0
45552 혹시 방금전 철구방송 보셧나요?? 익명 현프로간의 경기.. [12] 바알키리13690 11/09/21 13690 0
45474 드림팀떡밥 [22] 로베르트11299 11/09/05 11299 0
45439 화승, MBC게임 프로게임단 해체 [84] 소주는C118885 11/08/29 18885 0
45396 우리 스타판을 살려주세요. [73] 영웅과몽상가6887 11/08/24 6887 0
45392 위메이드 폭스를 떠나보내며. [3] VKRKO 5957 11/08/24 5957 0
45378 지금이라도 유즈맵 자체 패치로 리그를 진행 했으면 좋겠습니다. [71] 마빠이7527 11/08/23 7527 0
45374 이달말 폭스외 2개팀이 더 문을 닫는다는군요... [76] 마재곰매니아12183 11/08/23 12183 1
45371 (위메이드) 폭스 게임단 해체 소식입니다. [95] 플로엔티나16201 11/08/22 16201 0
45295 경남 STX컵 마스터즈 2011 8강 토너먼트 5회차 화승 OZ VS 위메이드 FOX [319] SKY925018 11/08/16 50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