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2/26 15:28:39
Name RealityBites
Subject 방금 이예훈 vs 이신형 경기 보셨습니까?
설레발인지 몰라도 근래 본 테저전중 가장 수준높은 경기인거 같네요.

특히 이예훈 선수;;; 우와 진짜 할 말을 잃었습니다. 미친경기력 ㅡㅡ

마XX랑 이제동 전성기급 디파일러 사용능력과 장난아닌 멀티태스킹 능력...

꾸역꾸역 소수 디파 저글링으로 양념반 후라이드반 하며 막는게 장난아니네요.

이신형선수도 이영호선수처럼 옵저버가 따라가지 못하는 날카로운 공격을 여러번 날렸으나 역대급 수비를 보여주는 이예훈의 수비력앞에 무너져버리고 말았네요...

대체 이런 선수가 어디 있다가 이제 튀어나왔을까요

특히 마지막 마린 두부대에 끼얹어지는 플레이그는 올해의 명장면이 아닐까 싶네요.

요즘 저런 저그가 잘 안보이는 이유가 테란이 레이트메카닉을 해서 그런건지, 저그들의 기량 저하인지는 모르겠지만 간만의 SK테란 vs 울링디파저그 재밌는 한 판 봤습니다.

이신형 선수는 항상 명경기만 만들고 나쁘지 않은 경기력으로 지기만 하네요...;;

조금 아쉬웠던건 왜 벌쳐를 쓰지 않았을까하는...SK테란은 요즘 잘하는 저그에게는 절대 안된다는걸 보여준게 아닌가 싶습니다.

제발 이런 경기가 많이 좀 나와줬으면 좋겠습니다 ㅜ.ㅜ

p.s. 잘하는 저그는 왜 꼭 아드레날린업을 안할까요??

p.s.2 15줄 채우기 힘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작업의정석
12/02/26 15:30
수정 아이콘
레이트메카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sk테란의 한계를 잘 보여준 경기였다는 생각이 드네요
12/02/26 15:31
수정 아이콘
왜 요즘 테란선수들이 sk테란을 안쓰는지 알 수 있게 해준 경기네요. 이신형선수도 정말 잘했습니다만..
노르웨이의 숲
12/02/26 15:31
수정 아이콘
위메이드 출신 저그들이 이제야 빛을 보고 있는 것 같아 좋습니다.

그니까 CJ에 있는 김준호 선수도 포텐좀...
12/02/26 15:32
수정 아이콘
이신형이 레이트 메카닉을 안 쓴 것 부터가 잘못이죠..
(물론 이예훈이 엄청나게 잘해줘서 대박 경기가 나온 건 맞지만)

이건 1년 전 경기 수준..
제라드
12/02/26 15:33
수정 아이콘
레이트 메카닉을 사기라고 깔게 아니라는걸 증명한 게임 같네요.
메카닉 안하면 후반 저그를 도저히 이길 수 없다는걸 증명한 게임인듯..

간만에 재밌는 게임 잘봤네요~
12/02/26 15:33
수정 아이콘
어제 이영호와 오늘의 신노열,이예훈... 전부 수준높은 테저전들이었습니다
12/02/26 15:50
수정 아이콘
경기력이 상당히 좋더군요. 레이트 메카닉상대로는 어느정도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되네요
12/02/26 15:50
수정 아이콘
전 그냥 테란이 레이트 메카닉을 가야만 하는 이유를 보여준 게임이라고 생각합니다.
레이트 메카닉 상대로도 좋은 경기를 보여주면 모르겠으나..... 아직은 판단 유보할 때인거 같긴합니다만
마지막 플레이그는 정말 대박
No21.오승환
12/02/26 15:53
수정 아이콘
이신형 선수가 공격에 있어서는 드랍쉽도 섞어주고 여기저기 찌르면서 저그 정신못차리게 해준건 좋았는데

SK테란은 레메처럼 어떻게든 센터까지만 치고 나가서 자리잡고 마인박고 줄만 그으면 되는게 아니라

마린메딕 무빙으로 쉴새없이 스캔 뿌려가며 저그병력이 멀티를 못치게 하고 마린메딕이랑 소모전을 하게 만들어야하는데

이번 경기는 이신형 선수가 정신없이 찌르는건 좋았는데 반대로 상대편의 찌르기에는 대처가 좀 아쉬웠죠
sHellfire
12/02/26 15:56
수정 아이콘
레메를 안가는 대신 마메로 기민한 병력운용과 이쪽저쪽 난전을 걸어줬지만 그걸 거의다 막아낸 이예훈선수가 감탄스럽더군요. 숨은 재야의 고수를 보는 느낌이었어요.
12/02/26 15:56
수정 아이콘
이예훈 경기보고 바로 정명훈 경기봤는데 정명훈을 저그로 어떻게 이길지 판단이 안서더군요. 둘이 붙어 봤음 좋겠네요.
내사랑 복남
12/02/26 16:09
수정 아이콘
오늘같은 경기가 재밌더군요
레메와 sk의 차이는 둘째치고 이예훈선수는 멀탯과 반응속도가 정말 빠르더군요
정말 왕년에 이영호잡던 김성대가 생각났습니다 [m]
12/02/26 16:13
수정 아이콘
항상 2프로씩 아쉬운 이신형 선수네요.ㅠ
12/02/26 17:06
수정 아이콘
이신형이 무리했죠..
충분히 메카닉으로 체제전환할수 있었는데..
그냥 바이오닉+탱크+베슬로 때려잡으려다 스스로 망쳐버렸네요..
물론 이예훈이 잘했습니다만, 이신형의 방심(?!)이 보인듯 했습니다.
12/02/26 17:42
수정 아이콘
저그가 이정도로 해도 레이트메카닉에는 그냥 무너지는걸 보면 레이트 메카닉은 사기가 맞습니다.
sHellfire
12/02/26 18:48
수정 아이콘
? 저그가 이정도로 해도 레이트메카닉에는 그냥 무너진 경기가 어떤 경기였나요?

경기를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이신형선수는 5배럭을 가며 11시 멀티끊는데 주력했지만 아무 소득없이 병력피해만 입었습니다.
이 상태에서 공방1업한 바이오닉 병력 놔두고 레메를 가기도 무리일뿐더러 억지로 간다해도 막멀티한 저그의 회전력에 밀렸던걸로 아는데요?
게다가 메카닉쪽으로 간다면 이예훈선수도 아드레날린 업은 까먹었다 쳐도 병력구성 바꿔주고 오버드랍도 섞어줬겠죠.

오늘 이예훈 선수가 굉장히 잘한겁니다.
파랑파랑
12/02/26 18:28
수정 아이콘
네이트에서 vod로 보고 왔는데, 이예훈 선수 정말 깔끔하게 방어 잘하네요.
이신형선수는 난전 잘 펼쳤는데, 끝까지 sk체제 고집한 게 아쉬웠습니다.
벌쳐를 적극 활용하면서 마인만 여기저기 심었어도 테란이 이겼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마인 TT
만수르
12/02/26 18:33
수정 아이콘
시즌 첫경기에서 그정도 할수 있다니 후덜덜,.
12/02/26 19:31
수정 아이콘
저랑 완전히 반대로 보셨군요. 경기력 별로였습니다.

이예훈 선수는 디파는 좋았지만 게임 끝날때까지 아드레날린업도 안했고 울트라도 많이 흘렸구요
이신형 선수는 탱크 배치 미스 수없이 하고 마인도 하나도 안쓰고 베슬 관리도 안되고

이예훈선수의 시즌 첫경기의 긴장감과 이신형 선수의 연패 슬럼프를 감안했을때 다음에 더 좋은 모습 보여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12/02/26 20:27
수정 아이콘
전 딱 이영호 이제동의 작년 경기까지 안가더라도 그 전인 마모선수의 경기를 보는듯 했습니다..

그가 그렇게 아슬아슬 막고 결국은 스멀스멀 이기는 스토리를 자주 썼죠...

저런 스타일의 경기가 확실히 인기는 있었다는게 오늘 경기 반응을 보니 알 수 있겠네요
사티레브
12/02/26 20:41
수정 아이콘
난타전과 양동의 반복이 명경기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명경기에는 그런 요소가 포함될 뿐
개인적으로는 완전한 느낌의 경기는 아니었어요
후란시느
12/02/26 21:43
수정 아이콘
요즘 저그 선수들은 왠만한 SK를 막을만큼은 디파일러를 쓸 줄들 안다....라는 느낌?
이미 시대는 레이트 메카닉으로 넘어간 듯....
lafayette
12/02/26 22:32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저그 잘나가던 시절 플레이를 다시 보게 되었네요.
4가스만 먹으면 절대 안지는...
12/02/27 17:27
수정 아이콘
사실전 레이트메카닉을 안가면 이렇게 되는구나 정도까지만 느꼈습니다...그 이상은 못느꼈구요.
물론 이예훈 선수가 잘했지만 쉬지않고 여러군데에서의 저그의 기동력을 보여줄수 있던것도 벌쳐에 마인이 없기에 자유로웠던거고
플레이그로...그러니까 디파일러에 효능을 잘 이끌어낸것도 레이트메카닉이 아니였기에라고 생각합니다.
레이트 메카닉이라면 디파일러의 능력이 바이오닉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니까요.
아직 레이트메카닉을 상대하는 이예훈선수의 모습까진 보진 못해서 아직 더 지켜봐야할거 같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王天君
12/03/01 19:07
수정 아이콘
저 진짜 감동받았어요. 이예훈 선수의 신예답지 않은 노련함도 좋았지만, 이신형 선수의 악이 받힌 공격력도 굉장하더라구요. 클래식한 경기 정말 간만에 잘 봤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641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PO 2차전, 삼성전자 vs KT #4 [289] kimbilly8080 12/03/25 8080 0
46463 대기업 효과는 환상에 불과하다? [36] TAMBANG7316 12/02/29 7316 1
46435 방금 이예훈 vs 이신형 경기 보셨습니까? [27] RealityBites8136 12/02/26 8136 0
46434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3주차, STX vs SKT #2 [136] SKY925712 12/02/26 5712 0
46433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3주차, STX vs SKT #1 [222] SKY925502 12/02/26 5502 0
46272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9주차, 8게임단 vs 삼성전자 #1 [215] SKY925873 12/02/01 5873 0
46148 스타2 연습중인 스타1게이머들? [41] 마냥좋은11404 12/01/12 11404 0
46134 제8게임단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 [34] noknow7409 12/01/10 7409 1
45887 하나, 둘, 셋, CJ 파이팅! [9] 전준우4735 11/11/27 4735 0
45817 11-12 프로리그 판도 예상 [22] 본좌7973 11/11/12 7973 2
45816 지금까지 진로가 결정된 해체된 프로게이머들의 향방 [10] 삼성전자홧팅7879 11/11/12 7879 0
45808 수많은 이들을 떠나보내며 [8] VKRKO 6530 11/11/10 6530 1
45784 해체 게임단 공개 포스팅 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70] 운체풍신11029 11/11/04 11029 0
45589 그들은 역시 우리를 실망 시키지 않는다. [40] 리멤버10022 11/09/26 10022 0
45552 혹시 방금전 철구방송 보셧나요?? 익명 현프로간의 경기.. [12] 바알키리13759 11/09/21 13759 0
45474 드림팀떡밥 [22] 로베르트11354 11/09/05 11354 0
45439 화승, MBC게임 프로게임단 해체 [84] 소주는C118940 11/08/29 18940 0
45396 우리 스타판을 살려주세요. [73] 영웅과몽상가6943 11/08/24 6943 0
45392 위메이드 폭스를 떠나보내며. [3] VKRKO 6007 11/08/24 6007 0
45378 지금이라도 유즈맵 자체 패치로 리그를 진행 했으면 좋겠습니다. [71] 마빠이7582 11/08/23 7582 0
45374 이달말 폭스외 2개팀이 더 문을 닫는다는군요... [76] 마재곰매니아12246 11/08/23 12246 1
45371 (위메이드) 폭스 게임단 해체 소식입니다. [95] 플로엔티나16258 11/08/22 16258 0
45295 경남 STX컵 마스터즈 2011 8강 토너먼트 5회차 화승 OZ VS 위메이드 FOX [319] SKY925080 11/08/16 50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