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2/03/14 20:52:47
Name 목마른땅
Subject [시론] 2002년 프로게임계의 부활의 가능성...
최근 방송을 중심으로 살아나는 게임대회와 이로 인해 사정이 나아지고 있는 프로게이머들, 또한 프로팀간의 구조조정 및 신생팀의 창단등에서 보여지는 프로게임계의 변화에 대해 간단히 적어보았습니다.
---------------------------------------------------------------
2001년, 한국의 프로게임계는 한 사람의 공로에 의해서 버텨냈다고 표현해도 절대 무리한 표현이 아닐 정도로 위태위태한 시기였다.

한때 신흥 산업으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던 프로게임산업은 IT업계의 불황과 거품 인터넷 방송들의 도산 등으로 말미암아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대체로 경제적인 관점에서 보면 오락/게임과 같은 산업들은 경기변동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업계이다. 이른바 사회적여가활동(노동력 재생산 활동이라고도 하죠)에 부담되는 경제적 비용은 경기가 활성화 될 수록 확대되고 경기가 약화될때는 직격탄을 맞기 때문이다.. (단 일본의 경우는 예외인데, 장기불황에도 게임 및 만화 산업은 10년간 버틸 수 있었다.. 물론 요즘에는 불황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GameQ를 비롯한 수많은 크고 작은 게임리그가 문을 닫았고, 프로게이머들에 대한 임금 체불과 출연료 시비, 프로팀의 해체와 게이머들의 군입대 등,다사다난한 한해였던 것 같다. 최근 10대들의 선호도 1위로 떠오른 직업인 프로게이머는 바람 앞의 촛불과 같은 운명에 처해졌던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위기 속에서 업계의 가능성을 증명한 선수가 있었으니 그는 바로 테란의 황제 임요환이었다. 그 전까지 지속되었던 군웅할거의 혼란은 게임을 좋아하는 일반 유저들에게는 즐거운 일이었는지도 모르겠지만, 스폰서들에게 확실한 광고 효과를 전달하거나, 투자 가치를 증명하게 만드는 데는 마이너스가 되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임요환 선수가 2001년의 히어로로 떠오르면서 10만이 넘는 대규모의 팬클럽을 확보하고, 범국민적인 스타로 발돋음하면서 부터는 다시금 프로게이머 사업이 기업 홍보와 같은 스포츠적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재고되기 시작한 것이다.

한 때 임요환 선수의 출장을 위해 맵 선정까지 조정되었다는 이야기가 돈 적이 있었는데, 이는 현재의 한국 프로게임계의 현실에서는 당연한 상황일 수도 있다. WCG라는 세계대회에서 한국의 대표 선수가 당당히 금메달을 쟁취하는 모습은 타 국가에 비해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한 한국에서 크게 어필할 수 있는 계기였던 것이다..

그러나, 임요환 선수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업계는 위기 상황에 계속 봉착해 있으며, 연습생 신분으로 눈물겨운 게이머 생활을 하고 있는 분들의 고민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일 것이다.. 임테란의 화려한 모습을 꿈꾸며 수많은 게이머들의 문을 두드리지만, 이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선수들은 소속팀에서 살아남기 위해 좋은 조건에서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다. 좁은 문을 두드리는 수많은 아마추어들이 도사리고 있는 형국, 정글의 법칙이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식솔들을 책임지고 있는 프로팀 매니저 및 관계자분들도 현재의 팀 존속을 위해 눈물겨운 노력들을 하고 있다. 새로운 스폰서와 광고주를 얻기 위한 노력들 속에 프로게임계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2002년을 맞이하였다. 홍진호, 김동수 선수가 메이져 대회를 석권하면서, 다시금 전란의 시대를 예감하게 되자 많은 업계의 사람들이 걱정을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2002년에 들어오면서 부터 게임리그는 단순히 절망의 길이 아니라 가능성 있는 리그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잘 아는 온게임넷의 경우 전반적으로 자금사정이 좋지 않지만, (자체 제작프로그램이 많고 광고가 적은 관계로 상황이 그리 않좋다고 하지요..)스타리그에서 만큼은 스폰서를 따내면서 케이블 업계내에 시청률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새롭게 개편된 gembc의 경우도 KPGA투어를 새롭게 단장하고 메이져 대회로서의 면모를 갖추면서 가뭄에 쩔어있는 프로게이머들의 단물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새로 개국한 스카이 겜티비 역시 스타리그에 총 1000만원의 상금을 걸면서 시청률 상위권 도약과 동시에 프로게임계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위성 방송내에 게임 관련 방송이 늘어날 전망이라, 이를 중심으로 한 게임리그가 봇물을 이룰 전망이다. 아울러 겜벅스와 게임아이 같은 프리 서버들도 나름의 수익모델을 찾으려는 노력끝에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남기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업계의 변화 속에서 프로팀들도 새단장을 하고 있는데, IS팀은 GET팀과의 통합을 통해 규모를 확대하고 사업의 규모와 방향도 확대함으로써 독자적인 프로게임팀의 생존 및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임요환 선수의 CF 촬영은 그러한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임요환 선수의 광고가 대중들에게 어필하는데 성공한다면 프로게임계의 가능성이 한차원 확대되는 것이다.. 나아가 기존의 팀들도 현재의 팀을 재정비하고 이벤트 수익사업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이야기들도 들려온다. 이제는 게임대회에서 머린, 히드라, 질럿 인형을 들고 나오는 프로게이머들이 상당수가 된다. 나아가 게임아이, 게임벅스 등의 작은 규모의 대회가 안정화되면서 신인들이 자신을 어필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게 되었다.

나아가 올 여름에 발매되는 '워크래프트 3'의 성공여부도 중요한 변수가 될 조짐이다. 만일 이 게임이 스타 정도의 영향력은 갖기 못하더라도 제2의 대안으로 떠오른다면 프로게임계의 운신의 폭은 넓어질 수 있다. 침체일로에 있는 피씨방 산업의 경우 이 게임에 목숨을 걸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블리자드에서 시작된 게임산업이 다시금 블리자드로 하여금 유지될 지도 귀추가 주목되눈 부분이다.

몇년전 노래방 산업이 크게 히트하면서 일약 도약을 했다가 지금은 하나의 유흥 산업중의 하나로서 자리잡았듯이 어떠한 산업이듯 그 업계의 거품이 빠지는 시기를 어떻게 견뎌내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현재의 프로게임계는 바로 그러한 위기를 넘어서도 있는 과정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극복하고 하나의 성공 사업으로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프로게이머들의 노력과 팬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스타 관련 산업이 발전했으면 하는 마음에서 최근에 질럿 인형을 구입했는데, 물론 이러한 멍청한 짓을 할 필요가 없겠지만,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스타라는 게임이 바둑과 같이 국민적 오락으로 정착하길 바라는 한 유저로서 2002년 프로게임업계의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ps.. 허접한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버님이  티비를 독차지해서 KPGA 투어를 보지 못하는 울분에, 긴 글을 적었습니다... 감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마른땅
02/03/14 21:10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이 글은 임요화 선수 예찬을 위한 글이 절대 아님을 공지합니다.. 이건 어디까지나 게임 산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구요, 그러한 관점에서의 임요환 선수의 역할을 적어본 것이지요..
대단한 관찰력과 분석력이군요. pgr21은 정말 다른 게시판과 달리 멋진 글들이 많아서 저 같은 게임 문외한도 즐겨 찾는 곳입니다.
근데, 딴지를 걸자는 건 아니지만... '아버님'은 장인이나 시아버지에게만 쓰는 말이 아닌가? 헤, ^^
별루 임요환 예찬은 없던뎅..--;;
좋은글 잘읽었습니당...^^
우주플토
뛰어난 관찰력이 돋보이네요
어쩃든 임요환선수가 좋든싫든 그의 스타대중화의 공은
이기석선수 그이사이면 이상이지 이하는 아닌듯하군요...
02/03/14 22:02
수정 아이콘
대단하세요.. 목마른땅님. 저도 프로게임리그가 바둑과 같은 하나의 e스포츠로써 당당히 대접받는날이 오길 바라마지 않는답니다.
확실히 어떤 한 분야가 발전 하기위해서는..
'스타' 라는 존재는 반드시 필요한것아닐까요?. 임요환 선수는 그러한 역활을 했고.. 확실히 이것은 인정받아야된다고 생각합니다.
헌데..약간의 갈등이라고나 해야할까요..
스타크래프트만이 프로게임리그로서 정착할것인지..
아니면 타 게임 역시 조화롭고 안정되게 프로겜으로
자리잡을수 있을지 하는것이죠...
확실히 후자의 경우가 바람직하긴합니다만..
정말 바둑과 같이 스타크래프트 그 자체만으로 하나의
문화를 형성하는것도 여러가지 경제적요소 등을
봣을때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그렇게 된다면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은.. 이미 게임의
범주를 벗어나 있겠지요..)
02/03/15 10:10
수정 아이콘
참 좋은글이군요. 공감합니다.
임요환선수 한 사람뿐만 아니라 임선수로 인해 프로게임어의 위상과 대중적인 가치도 같이 상승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최초의 한국인 메이저리거인 박찬호와 김병현이 있기에 다른 선수들이 그 무대를 꿈꿀수 있고 그들이 받은 연봉이상의 대우를 받을 수 있는 발판이 되는것처럼 말입니다. 많은 게임방송들이 쏟아지는 스폰서에 괴로와하는 2002년이 되길 바라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23 죄송해요 [1] 질럿매니아1226 02/03/14 1226
1622 [퍼옴]임요환선수의 화이트 데이선물~~. [10] shari1289 02/03/14 1289
1621 [시론] 2002년 프로게임계의 부활의 가능성... [8] 목마른땅1361 02/03/14 1361
1619 국내나 외국이나 비슷하지만 스타크래프트는 너무 한쪽의 게임 모드에만 사람들이 집중을 하는 것 같습니다. [7] Scmapz.org1220 02/03/14 1220
1618 오랜만에 본 블록버스터 저그 [1] jerry1372 02/03/14 1372
1617 재미있군요..워3 래더 순위.. [4] Sir.Lupin1323 02/03/14 1323
1615 헐... 새삼대단하게 느껴지네요 최인규선수.. [2] 아이리스1680 02/03/14 1680
1614 game-q.com 얼마인가... [2] 리버피닉스1196 02/03/14 1196
1613 이윤열선수가.....이매리의 사촌? --;; [3] sun.a1294 02/03/14 1294
1610 스타크레프트-동영상 [2] 홍승민1593 02/03/14 1593
1609 그냥 게임중계에 대한 잡담......... [6] kama1329 02/03/14 1329
1605 [잡담] 그런 팬이었으면 좋겠다. [5] Apatheia1208 02/03/14 1208
1604 (펌)네이트배 스타리그 관계자여러분들께 - 예선 참가자 윤정민선수의 글 [5] max1664 02/03/14 1664
1606 [re] (펌)네이트배 스타리그 관계자여러분들께 - 예선 참가자 윤정민선수의 글 [3] 이지환1303 02/03/14 1303
1603 허허 한일 청소년 축구-_- [5] 나랄라1555 02/03/13 1555
1600 [잡담] 테란 대 테란전 [9] Apatheia1405 02/03/13 1405
1599 겜비씨의 시메트리 오브 싸이..밸런스가 안맞는게 아닐까요? [10] 마린스1308 02/03/13 1308
1598 2002 온게임넷 스타리그 1차 시즌 일정 [20] 나기사 카오루1764 02/03/13 1764
1596 [잡담] 워3를 하다가... [4] ricken1229 02/03/13 1229
1595 2002 온게임넷 스타리그 1차시즌 예선전 공지사항 [2] 이지환1190 02/03/13 1190
1591 [퍼옴] 스타크 2에 대한 정보... [8] 목마른땅1176 02/03/13 1176
1590 스타크래프트.......... [1] 쿨럭1193 02/03/13 1193
1589 1.08 패치이후 테란Big4의 전적 [7] 수시아1325 02/03/13 13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