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31 17:43
절편값에 대한 유의성 검정은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해도 상관없습니다. 아래에 서술하신 대로 회귀에서 유의성 검정은 해당 계수가 0인지의 여부를 검정하는 거잖아요? 그런데 절편에 대한 검정이 H0을 기각하지 못했다면 그냥 절편값이 0이라는 결론을 얻은 거라구 보면 되죠. 기울기의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면 좀 그런 이유가 x의 회귀계수가 0이면 선형적 인과관계가 없는 거나 마찬가지니... 그냥 통째로 검정하신다음에 회귀식 표시하실 때 상수항을 0 취급하시면 됩니다.
아래 질문 같은 경우엔 잘 이해가 안가요 ㅠㅠ 검정에 있어서 유의수준과 T통계량이 배타적인 개념이 아니라서...
12/05/31 17:53
아핫 절편값이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면 그냥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다고 하면 되는거군요. 이제 이해가 되네요.
밑에 질문은 사실 이게 학교 과제인데 어헝... 교수님이 P-Value를 이용하지 않고 T통계량을 임계치랑 비교하라는 것을 요구하시는 것 같아서요. 제가 잘못 이해한 것일 수도 있는데 어쨋든 그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