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
2012/05/21 01:30:57 |
Name |
멋진돼지호랑이 |
Subject |
카드사와 가맹점 수수료 관련해서요............ |
제가 최근에 카드업계나 수수료 관련 이슈에 대해서 조금 공부를 했는데요...
카드사 수수료가 정말 높은 건지. 낮추어야 되는건지 의문이 들어서 글을 써봅니다.
카드사들의 수수료가 정말 깡패라고 하는 말이 있는데요. 특히 영세상인들이나 자영업자들에게
가맹점 카드 수수료는 낮아져야 한다고 대부분 생각을 하는 것 같고...
당국에서도 수수료를 강제적으로 내렸다고 하던데...3월부터인가? 시행되었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정말 가맹점 수수료 2.8% 인가 2.5% 였던게 높은건가요? 어딜 봐서 높다고 하는거죠?
외국 사례로 알기로는 수수료는 영점대도 있고 1%안팍이 많던데 ...낮긴 낮죠. 그런데
이들은 다른 명목으로 여러가지 수수료를 떼는 부분이 있고 연체시 벌금이 있고
가입비내고 회비가 연회비가 아니라 월회비로 그 금액이 높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처럼 포인트라든지 이러한 여러가지 혜택이 별로 없다고 알고 있구요.
그런데도 우리나라 카드 수수료가 비싸고 깡패짓이라는 것은 잘 이해가 안됩니다.
그리고 영세상인들은(연매출 4800만원 이하) 세액공제를 받는 부분도 있고...
솔직히 프랜차이즈 업주들은 영세 상인도 아닌 것 같고요...백화점이나 대형마트의 경우에는 당연히
그 규모 자체가 크기 때문에 수수료가 낮다고 하더라도 절대적으로 거두어 가는 돈이 많으니까 낮아도 된다고 생각하구요.
코스트코도 하나의 가맹점이라고 생각했을 때 삼성카드만 사용가능하다고 알고 있는데 그 만큼 카드 긁는 양이 엄청나죠.
대형마트나 백화점에서는 국가에 내는 세금도 더욱 많을 것이구요.
일반 동네 가게에 있는 사람들은 또 현금으로 받으면 대부분 탈세를 하면서 스스로가 챙기는 부분이 있고...
그러면서 세액공제 혜택은 받으면서 수수료는 계속 낮춰달라고 하는 건 오히려 과도한 주장이라고 까지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최근 몇 년동안 수수료율을 계속 낮추고 있는데 또 대형마트나 백화점은 낮으니까 낮춰야 한다고 하는건 이해가 안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카드수수료인하운동(?) 삼성카드불매운동(?)이 일어났으니 당국의 입장에서는 어떠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고
가장 만만하고 직접적으로 해결을 하는것이 카드수수료를 깍는 것이었는데
솔직히 이건 그냥 심하게 나쁘게 말하면 보여주기식 정책이지 않을까요...굳이 이렇게 욕먹고 있는 카드사를 건드리면서까지...
세액공제를 더 해주거나 하면 세금이 깍여서 그런걸까요? 카드사들의 매출이 줄어들면 카드사의 법인세도 그 만큼 줄어들텐데...
그리고 마케팅비용을 줄일 수 밖에 없고 그러면 소비자에게 혜택이 줄어들게되고......현금서비스를 조금 더 쉽게 해서 늘리고
이자를 좀 더 높이거나...리볼빙 서비스를 할 때 이자를 높이거나...할 것이 분명하다고 생각을 하는데...
굳이 이렇게 카드사에게 수수료율을 깍아 버릴 필요가 있을까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이라고 생각은 합니다.
카드 사용으로 세금탈루가 방지되고 소비를 할 때도 과소비를 조장하는 것은 부정적이지만 현금으로 일일이 계산하는 것보다
카드사용으로 인한 혜택들이 소비자들에게 많으니까 그만큼 사용이 크게 늘어난 것이고 (물론 카드세액공제가 있어서 인듯 하지만)
최근에는 카드공제도 줄어들었지만
카드사용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었죠...(더 이상 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정말로 가맹점 수수료가 높은 것인지. 단지 대형마트와 백화점과 비교적인 수치로 높다고 하는 것인지.
제 생각은 높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1년에 200만원을 카드 수수료로 내는 가맹점은 연매출이 카드로 1억이 넘는 것 아닌가요?
1억 카드사용으로 그 돈을 확실하게 가맹점에게 주는 것인데 200만원 정도의 수수료는 적당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카드사가 소비자에게 돈을 받지 못하는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고...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