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9/13 16:45
이해가 1도 안되는데요 6개월 놔두면 돈이 더 벌리나요.
그냥 견적 안나오면 빨리 내릴거 내리고 ott로 보내서 제작비 회수하는게 낫지 싶은데
+ 25/09/13 16:53
실효성도 없고 효과도 없긴 하겠지만
이대로 시장에 맡겨두기만 하면 CGV 나 롯데시네마나 지점은 계속 줄이고 비싼 특수관만 수도권에 남게 될테고 극장개봉작 투자는 더 줄고 넷플릭스 직계약만 늘어나고 국내 영화산업 침체는 깊어지고.... 정답도 없고 홀드백도 뻘짓일수 있지만 그냥 냅두기도 어려운 그런 상황이라고 봅니다.
+ 25/09/13 16:57
OTT 이용자들은 별 관심도 없는데 그나마 최신개봉작으로 이름값 조금 있을때 못팔고 6개월 손빨고 있어야 되는 제작자만 더 짜증날듯
+ 25/09/13 17:01
무슨 소릴까 이게... OTT로 넘어오니까 그나마 보는 거 아닌가요; 영화관에서 보는 게 메리트가 없다 이게 해결이 안 되면 뭘 어떻게 한다 한들..
+ 25/09/13 17:09
티켓값이 비싼게 타격이 제일 심하죠 가격이비싸지니 더 따져봐서 보는 영화를 선택하는것이죠
홀드백제대 도입해도 무쓸모같아보입니다 오히려 자금회수를 더디게 만들어서 제작사에 악영향을 줄거타습니다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3/05/25/SNPOA5BXFRDXVFRSHBNQ247YJA/
+ 25/09/13 17:10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557697?sid=103
[영화 개봉후 6개월 지나야 OTT서 본다] 2025.09.12. 年 관객 1억명 붕괴 위기에 임오경 민주당 의원 발의 영화 선순환 위해 불가피 프랑스는 15개월 기다려야 소비자 불만 제기 가능성도 <홀드백을 가장 강력하게 시행 중인 프랑스> 2019년 극장 관객 수가 2억1330만명 2024년 1억8130만명으로 약 15% 만 감소 <홀드백이 법제화되지 않은 국가> 영국 2019 -> 2024 : 29.3% 감소 북미 2019 -> 2024 : 42.4% 감소 한국 2019 -> 2024 : 45.7% 감소
+ 25/09/13 17:56
OTT 시청자를 고려한 게 아니라 반대로 극장 애호가들의 박탈감을 줄여줘서 감소세를 줄이려고 한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뭐든 건 트레이드오프인 법이라 영화계 인력들이 OTT로 빠르게 재편되었기에 오징어게임 같은 글로벌한 작품이 나올 수 있었던 거 같아요.
+ 25/09/13 18:30
프랑스는 특수케이스인 게 홀드백을 강력하게 할 수 있는 것도 영화에 자부심 있는 국민들이 그나마 동의해서일 텐데... 시장 크기는 비슷해도 극장 문화는 우리와 완전 다르기도 했고요. 예를 들면 프랑스는 예술 영화를 의무적으로 개봉하는 법도 있는 걸로 알아요. 그런데 우리나라 민심은 진작에 오티티로 돌아선 것 같아서 반대 여론이 더 강할 거 같네요.
+ 25/09/13 18:55
저도 이 생각이 들긴 하더라고요. 되려 영미권이랑 비슷한 거면 이게 글로벌적인 흐름 아닌가. 일본도 홀드백을 법제화까지 한 건 아니고, 여기도 최근 추세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고 들어서요.
https://www.nytimes.com/2025/03/05/world/europe/france-cinema-attendance-covid.html 프랑스에서는 영화 관람을 하나의 국가적 정체성으로 인식하지만, 한국에서는 오징어게임, 케데헌이 성공하면서 OTT 컨텐츠가 국가적 경쟁력을 보여주는 심볼이 되었는데 이전으로 되돌아갈 수 있을지 의문이 들긴 합니다.
+ 25/09/13 17:10
이러면 영화 제작자들은 극장에 걸지 OTT로 갈지를 선택해야겠군요
케데헌처럼 OTT 먼저 등록되고 극장가는건 어떻게 되려나요? 일부 수혜받는 영화가 있을수는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독이 될 법안이라고 봅니다
+ 25/09/13 17:12
곧 ott나올거니까 기다렸다봐야지~ 이런 사람들 타겟인가본데... 대체로 이건 ott로 볼 퀄이다 이러면서 ott로도 잘 안 보지 않나요..
+ 25/09/13 17:19
애초에 ott로 빨리 넘어가는 작품들은 이미 영화관에서 흥행 조지고 피해 조금이라도 줄이려고 광고비 쓴 김에 그 효과 남았을때 ott로 넘기는건데 저렇게 막는게 영화계에 도움이 되는건 맞는건지...
+ 25/09/13 18:33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921499?sid=103
[영화계 "문체부 중규모 작품 예산 지원 환영…홀드백 시행돼야" 입력] 2024.09.09. 스크린쿼터제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영화쪽 사람들인진 모르겠지만 흔히 말하는 영화계에선 홀드백 도입을 몇년전부터 먼저 주장했죠.
+ 25/09/13 18:41
정권 바뀌자마자 극장 지원금 뿌리고 이런 정책 발의하는 이유가 극장이나 제작, 배급사들이 윤석열 영화 정책에 반대하고 공개적으로 민주당 지지한 이유도 있을 거예요.
+ 25/09/13 17:48
꼭 6개월까지는 아니지만 일정기간 정도의 홀드백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스크린 쿼터 폐지도 같이 시행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 25/09/13 17:52
전 무조건 이쪽입니다. 애초에 인구수대비 영화관람객이
비정상적이죠. 코로나를 빌미로 다른나라처럼 ott로 빠져나가고 다른 문화(특히프로야구) 생활로 다 분배된거죠
+ 25/09/13 17:56
윗 댓글들은 다들 비판적이신데 저는 기능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안 볼 영환데 ott니까 봤어' 앞에 '어차피 좀만 기다리면 ott에 나와' 가 있다고 보거든요.
+ 25/09/13 18:56
이걸 업계에서 더 원하는 걸로 들어서... 물론 평론가 몇명이 이야기 하는거긴 했습니다만 업계 내부 사정을 듣고 하는 말 같았습니다
+ 25/09/13 18:51
저는 찬성합니다.
ott용 컨텐츠를 만드는 입장에선 퀄리티를 올리기 위한 유인이 없습니다. 100점 만점 퀄리티 영화 1편보다는 10점 퀄리티 영화 10편을 매달 공개하는게 구독유지에 더 도움이 되기 때문이죠.
+ 25/09/13 19:08
"홀드백은 OTT와 극장, 제작사가 상생"
여기서 OTT와 제작사는 동의 안할 거 같은데요 흐흐 제작사는 결사반대 할거고 OTT는 시큰둥할거고... 극장만 죽어라 상생을 외치는 그림인 거 같은데
+ 25/09/13 19:23
보고싶어서 못참겠는영화는 어차피 극장가서 볼테고, 이거 보고는 싶은데 ott뜰때까지 기다려야지~ 하는 사람이 있나요? 언제 어디에 뜰지도 모르는데?
+ 25/09/13 19:31
갈수록 중소 영화 제작은 어려워지겠네요.
그나마 영화 만들어서 투트랙 전략이라도 짜서 어떻게든 계속 영화 만들어가고 싶을건데.. 뭐 대형 영화사들이야 자기들이 못만들었지만 억지로 억지로 극장 수입 올리고 싶겠지만 중소 영화사들은 그냥 극장에 영화 안걸고 ott에 바로 넘기는게 가장 안전한 영화 제작이 되겠네요.
+ 25/09/13 19:54
오히려 OTT로 빨리 보내서 영화관에 오지 않는 사람들까지 보게 해야
흥행이든 뭐든 되고 제작비 회수가 되는거 아닌가요? 홀드백 시행되면 극장이 영화를 인질로 삼고 와서 보라고 협박하는거 같은데 극장빼고 이득보는 사람이 누가 있지?
+ 25/09/13 19:55
영화계나 정치권이나 문제 파악을 제대로 못하고 있거나
문제 해결을 못할 것 같으니 규제하는 액선이나 취하자거나 둘 다 일수도 있겠네요 단백질 섭취 부족으로 근육이 빠지고 있는데 운동 부족이라 판정하고 하루 1km 씩 강제로 뛰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