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5/04 23:29
(수정됨) 미국에는 WAR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베이스볼 래퍼런스의 bWAR 팬그래프의 fWAR 편하게는 보통의 WAR와 같다고 생각하심 되겠습니다.(양쪽이 가중치가 다릅니다) 아래를 참고해보세요 : ) https://namu.wiki/w/%EB%B2%A0%EC%9D%B4%EC%8A%A4%EB%B3%BC%20%EB%A0%88%ED%8D%BC%EB%9F%B0%EC%8A%A4#s-3
+ 25/05/05 00:13
MLB의 WAR은 bWAR(베이스볼 레퍼런스 계산식)와 fWAR(팬그래프 계산식)이 있는데
신뢰도 측면에선 bWAR이 높은 편이고, fWAR은 일반적인 인식과 더 비슷한 느낌이 있습니다.
+ 25/05/05 00:20
만화 슬램덩크에서도 이와 비슷한 사례가 나오는 걸 보면 아무래도 선수는 국내에서 자신의 재능이 낭비된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직행을 택하는 선수들 대부분은 내 포텐셜은 100인데 국내에선 80쯤 발휘 될 것 같고 그나마도 7년쯤 뛰면 70쯤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하는데 미국에 가면 90에서 시작해서 5년 이내에 100을 채울 것 같다고 생각하는 느낌입니다.
+ 25/05/05 00:18
FA까지 기다릴거없이 포스팅으로 갈 수 있는 상황만 되면 메이저 직행이 굳이긴 하죠
고졸선수가 직행해서 마이너에서 몸만들고 프로로서 어느정도 시즌 치루는 법도 배우고 자기 루틴도 정립하고 이걸 그냥 크보에서 한다고 치면 그만이라서 계약금은 직행이 좀더 높겠지만 미국 마이너에서 말도 안통하는데 미국까지 가서 저거 혼자서 하기vs크보에서 탑급 유망주 대우 받으면서 하기 하면 후자가 더 나아보이긴 해요 이건 제 사견인데 전 투수는 진짜 상관없어보이는데 타자는 메이저 진출 욕심이 있으면 하위리그에서 하다가 넘어가서는 상당히 빡세다고 생각하는 편이긴 합니다 타자는 직행도 생각해볼만하긴 하다고봄 투수는 오히려 생소함이 장점이고 무기가 되는데 타자는 하위리그에서 하위리그 투수들에 맞춰서 타격폼, 타석 접근법 다 정립해놓았는데 상위리그(메이저)가면 이걸 무조건 다 뜯어고쳐야되더라고요 근데 본인 타격폼이랑 타석접근법 0부터 뜯어고쳐서 잘한다는게 참 어려운일이라 가서 뜯어고치는데 성공한 선수는 먹히는거고 실패한 선수는 안먹히더라고요
+ 25/05/05 00:23
예전에 니혼햄이 계약안하고 미국 가겠다는 오타니를 설득한 내용이 2006년 이후 한국에서 고교졸업 후 바로 미국간 선수 21명 중 21명이 모두 메이저 콜업 안됐다는거였죠.
+ 25/05/05 02:18
(수정됨) 오타니 입단 연도가 2013년이고, 설득에 썼던 프리젠테이션 파일은 예전에 니혼햄이 공식 홈페이지에 올려놨었습니다. 한국인 직행중 마지막 콜업이 그땐 추신수였습니다.
2006년 이후 직행한 한국인 선수중 메이저리거는 0명이지만 류현진은 KBO에서 활약하고 거액의 계약으로 메이저리거가 되었다 라는게 주 설득이였고 이게 오타니 마음을 움직였죠.
+ 25/05/05 00:32
항상 말하는거지만 1라운더 후보군 직행과 kbo성공자들중 한번 더 거른쪽은 당연히 후자죠
이런글들은 직행자가 한국 남았더라도 망할 가능성이 있다는걸 항상 간과함
+ 25/05/05 00:53
트라웃같은 비현실적인 케이스를 제외하고 보면 고졸 신인이 마이너리그를 순조롭게 올라가도 대충 4~5년 정도가 걸리는데
(참고로 그 저지도 대졸 신인임에도 3년 걸렸고, 추신수가 5년 걸렸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메이저리그 콜업, 샌드다운 왔다갔다하면 다시 1~2년 걸린단 말이죠. 이러면 풀타임 메이저리거는 데뷔 6~7년차인거고요. 이 정도 기량을 갖춘 선수가 크보에서 데뷔했다면 포지션이 꼬였어도 1~2년 안에 주전을 먹었을테니 기간차이가 거의 안 나죠. 메이저리그 직행이 의미있을만한 선수는 1) KBO 진출이란 안전장치가 의미 없을 정도로 완성된 S급 유망주 2) 대졸, 병역 등으로 데뷔부터 나이가 많아서 빅리그 도박을 원함 이 두가지 정도 제외하면 찍먹하고 나가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어차피 크보에서도 안 먹힐 선수면 메이저리그는 그냥 나가나마나고요 크크
+ 25/05/05 01:49
고등학교도 졸업안한 선수입장에선 먼 일이라서 별로 귀에 안 들어올수 있는 얘기지만
메이저데뷔나 크보에서 진출하는거나 실질적인 데뷔년도는 차이가 안 나는데 크보에선 준FA선수 취급받고 넘어가고, 메이저에선 그때부터 서비스타임 노예 스타트 인것도 너무 크죠. 찍먹수준이 아니라 제대로 메이저리거로 활약해서 그나마 반례가 되는 최지만의 총 연봉 수령액이 1200만불인데 크보에서 요즘 선수가 메이저가는데 총 보장연봉 1200만불이라고 하면..뭐 크보라고 다 미국가는게 김하성이고 이정후인건 아니긴 합니다만 고우석조차도 계약이 이해가 안되는건 맞지만 4~500만불 수준은 나왔는데 그렇게 메이저 오래 잘 뛰었다고 하면서 1200만불이라고 하면 초라하죠
+ 25/05/05 02:25
최지만급이 국내에서 뛰었다면 거의 크보오는 탑 타자용병급이고 그쯤되는 국내선수면 FA로 한번 땡기고도 4년 계약 끝나서 2차 FA 뛸 나이죠. 금전적으로 압도적인 우위냐라면 그것도 아닐거라.. (연금이 있다는게 그나마 우위긴 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