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1/01 12:52
(수정됨) 유튜버 뿐 아니라 예술 쪽은 자기 브랜드, 스토리가 매력적인 사람은 계속 잘 벌걸고 매력 없다면 AI로 만들어진 양산형만도 못한 취급 받겠죠. 예를 들어 유명 가수 아이돌, 쯔양 같은 분들은 AI로 대체 되기 어렵죠. 반면에 투자 종목 분석, 스포츠 분석, 의학 헬스 정보 같은 크리에이터 본인 매력보다 정보 전달 위주인 유튜브는 몰락까지는 아니여도 AI 딸각으로 너무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생기면서 만족할 수익이 안나올거에요.
위에 분이 1인 크리에이터와 기업형 얘기하셨는데 기업형으로 가면 딸린 식구가 많아서 안정지향적 채널이 됩니다. 시간 지날수록 자극성, 화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태반이라 나중에 구독자 수만 많고 조회수 낮은 알고리즘이 망하는 채널이 됩니다. 이게 무한 반복 사이클인 업계입니다. 1인 크리에이터가 흥하다가 사고로 나락 가거나 기업형으로 전환. 기업형 되더니 참신함 부족으로 몰락. 신선한 신인 크리에이터가 데뷔해서 기업형을 대체. 이런 업계에서 롱런하는 사람 자체가 극소수여서 인지를 하고 있는 것이지 관측하지 못해보고 흥할려다가 더 이상 채널이 성장 못하고 알고리즘에서 외면 받는 채널이 수십배는 많은 곳
25/11/01 13:10
ai가 그럴듯하게 만들더라도 예술 창작 계통은 끝까지 살아남을 거라 봅니다. 누가 만들었냐가 중요해서요. 그 '누가'가 될 수 있냐가 문제겠지만요. 그리고 ai발달로 여가 시간이 늘어나면 예체능 계열엔 더 좋죠.
25/11/01 14:50
사진기가 나왔을 때 이제 미술가의 시대는 끝났다는 얘기가 많았지만, 지금 보면 오히려 현대미술 작가들은 그 가치가 더 올랐습니다. 게다가 사진작가라는 새로운 직종까지 등장했죠. 그것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25/11/01 20:59
AI가 아무리 발달해도 학습은 계속 해야 하고 그 원 소스가 되는 사람이 만든 컨텐츠는 계속 나와야 합니다.
AI가 만능이라고 오해하기 쉬운데 AI에게 학습을 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을 중단하면 바보 되는 거 순식간입니다.
25/11/01 21:13
결국 사람 그 자체를 소비하는 컨텐츠들은 끝까지 살아남을거라 봅니다.
언젠가 한 연예기자가 '연예인이라는 직업은 걸국 가쉽 비지니스'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그 명제가 더욱 극명해질 시대가 오고있다고 생각해요.
25/11/01 23:03
당장 의료쪽만 봐도 간호사가 의사보다 오래 살아남을거라고 하죠 사람 상대할 일이 더 많은 직종이라서.(가격경쟁력도 있겠지만)
사람 직접 상대하는 일은 오래 살아남을 것 같습니다. 단 이거도 ai기술에 달리긴 했는데, ai유튜버가 최신기술로 수천 수만명의 사람한테 일일이 개인화된 대답을 하며 방송 진행을 아주 기깔나게 한다면 기존 유튜버도 파이를 많이 뺐기긴 하겠지만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