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10/13 15:38:29
Name Aquaris
Subject [질문] 현금을 주면서 세탁된 돈이라는 게 말이 되나요?
범죄 소재의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간혹

거액의 현금이 든 가방 등을 건네며 "세탁이 된 돈이니 안심하고 써도 돼"같은 취지의 대사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돈 세탁이란 게 개념적으로, 범죄 수익으로 떳떳하지 못한 돈을 떳떳한 돈으로 바꾸는 개념이잖아요?


그런데 거액의 현금을 주면서 깨끗한 돈이니 맘대로 써도 된다는 대사가 이해가 안가서요.

국내만 그런가 하면 해외 국내 가리지 않고 간혹 나오든데..

돈가방에 100억이 들어있어도 제가 그걸 맘대로 쓸 수 있는 게 아닐텐데..

물론 뭐 소액으로 겸사겸사 생활비처럼 쓰는거야 하것지만..


아, 뭐 은행을 턴다던지 해서 돈에 묻은 추적용 잉크? 페인트?라던지
일련번호가 추적이 쉬운 연속된 번호라던지 하는 거라면 그렇지 않은 걸로 변환하는 것도 세탁이라면 세탁일 순 있는데

그렇더라도 출처가 증빙되지 않은 그 돈을 맘대로 쓸 수 있는 건 아니지 않나..


시나리오 작가가 돈 세탁에 대한 개념이 전혀 없어서 쓴걸까요, 아니면 저것도 뭔가 세탁이 될 수 있는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스티
25/10/13 15:45
수정 아이콘
말씀하시는 바가 맞습니다. 은행에서 돈가방을 털었다면 일련번호를 세탁했을 순 있겠네요
덴드로븀
25/10/13 15:52
수정 아이콘
종이돈 자체로는 추적은 힘들지만 결국 세탁된 종이돈을 주고받는건 [사람] 인거고,
주고 받는 사람들의 금융활동내역 등을 정부기관에서 추적하고 파다보면 범죄수익인지 아닌지 알아낼수있는데 거기에 안걸리게 작업해놨다 정도로 퉁치는거죠.
handrake
25/10/13 16:04
수정 아이콘
준 사람쪽에서 세탁했다는 의미죠.
받은 사람이 증명하는건 다른 문제고
25/10/13 16:06
수정 아이콘
현실에서 취등록세 내는 물건(집,차)은 못사긴하죠.
본인사업장차려서 한번더 세탁하거나 로또 당첨권을 웃돈얹어서 사거나.. (로또 판 사람도 다시 현금 출처를 만들긴해야겠네요..)
Jedi Woon
25/10/13 16:47
수정 아이콘
질문에 부합하는 답변은 아니지만 금융위 블로그에 자금세탁에 관한 글이 있네요.
https://m.blog.naver.com/blogfsc/50146157715
콘칩콘치즈
25/10/13 16:54
수정 아이콘
쓰는쪽도 그런돈은 어차피 마트가서 쓰고 백화점가서 쓰고 은행넣고 그런개념 아니죠. 유흥가서 현금 몇천 쓰고가고 비합법적 물건 거래할때 통으로 넘기고 도박판가서 쓰고
아라마사
25/10/13 17:25
수정 아이콘
세탁이라는게 개념이 문제가 있는 일련번호 추적이 가능한 돈 현금을 그대로 주는 개념이 아니라 이곳저곳 돈을 돌려서 일련번호가 맞지 않는 것들로 다시 채워서 주는걸 세탁이라고 표현하는거 아닌가요?

요즘같이 소득에 대한 증빙을 해야하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그냥 돈 쓰면 되는걸로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44년신혼2년
25/10/13 17:27
수정 아이콘
소득에 대한 증빙자료가 함께 들어가있는 가방이 아닐까요? 크크
네이버후드
25/10/13 17:40
수정 아이콘
범죄도시에서는 로또 1등 복권으로 주긴하더군요
25/10/13 17:46
수정 아이콘
니가 현금으로만 쓸꺼면 세탁된 돈이야고... 그걸 입금하는건 다른 얘기죠.
그래서 로또 1등 복권이 더 비싸게 팔리고 (그건 출처까지 댈 수 있는 정말 깔끔한거니까. 물론 세금내야하지만)
김삼관
25/10/13 18:54
수정 아이콘
정말 그런 용도로 로또 복권이 거래되고 있을까요? 문득 궁금해지네요
25/10/13 19:02
수정 아이콘
그 로또를 산 돈은 또 어떻게 증빙하느냐가 문제라서 크크크
25/10/13 19:13
수정 아이콘
반농반진으로 상속용도로 쓰이기도 하고 뭐 그런다는 걸 보긴했는데
매체에 다뤄진걸 보면 루머같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복타르
25/10/13 18:29
수정 아이콘
존윅의 세계관에서 보수로 금화를 받은 것과 비슷한 개념이지 않을까요.
지금바로여기
25/10/13 22:13
수정 아이콘
범죄로 얻은 수익금은 타인에게 줬어도 타인이 범죄로 얻은 돈이란 걸 알았다면 몰수돼서 국고로 환수되는 경우가 있는 걸로 압니다.
따라서 돈 준 사람의 범죄가 걸리더라도 그가 준 돈은 범죄 수익금이 아니라 세탁한 돈이므로 받은 사람은 합법적인 증여세만 물고 끝나게 될 돈으로 이해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3592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6625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6759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20061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2348
181898 [질문] 인생맛집, 인생메뉴 추천해주세요! [1] 히나194 25/10/14 194
181897 [질문] AI 어디다 쓰시나요? [3] 깃털달린뱀333 25/10/13 333
181896 [질문] 중세시대 배경 만화책 찾습니다. [5] 이쥴레이1227 25/10/13 1227
181895 [질문] 사무용 노트북 구매 추천 부탁드립니다. [8] stayclever1144 25/10/13 1144
181894 [질문] 현금을 주면서 세탁된 돈이라는 게 말이 되나요? [15] Aquaris2284 25/10/13 2284
181893 [질문] 제주도 포도호텔 다녀오신 분 어떠신가요? [1] 콩순이1192 25/10/13 1192
181892 [질문] 다 청산됬다고 하는데 뒤늦게 코인선물에 관심이 생겼어요 ㅠㅠ [17] 개가좋아요1708 25/10/13 1708
181891 [질문] 가정용 공구세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3] 택배426 25/10/13 426
181890 [질문] 카톡 오픈채팅방 강퇴테러 [3] Undertaker1256 25/10/13 1256
181889 [질문] 미국 주식 주린이가 질문 드립니다 [9] 핸드레이크2413 25/10/12 2413
181888 [질문] 니케 리세 필수인가요? [18] 두드리짱2639 25/10/12 2639
181887 [삭제예정] [혐?주의] 이 이불 사용해도 될까요..? [7] 까만고양이3571 25/10/12 3571
181886 [질문] (투자관련)금을 사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18] 정 주지 마!3321 25/10/12 3321
181885 [질문] 침대 좀 아시는 분 계실까요?? [18] 원스4390 25/10/11 4390
181884 [질문] 변기 뒤에 너트 풀어야하는데 무슨 공구가 필요할까요 [13] K53136 25/10/11 3136
181883 [질문] 조용필 최고의 곡은? [23] 유티엠비3556 25/10/11 3556
181882 [질문] 모니터 안에 와셔가 들어갔는데 괜찮을까요 [4] 밥과글2660 25/10/11 2660
181881 [질문] 어릴 때 116 안쓰셨나요? [22] 윌슨 블레이드3928 25/10/11 39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