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20 08:51
아버지가 갑자기 돌아가셔서 상조고 뭐고 없었는데 (애초에 상조가 필요하단 생각을 못했습니다)
제수씨가 가입해놨던 상조회사가 양도 가능한거라 아버지 보내드렸습니다 이후에 상조가입했는데 납부하다가 결혼하게 되면 결혼으로 쓸수 있고 여러가지 서비스가 있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가입해놓는게 좋지 않나 싶어요.
25/04/20 09:30
아 그렇군요..
그게 그냥 바로 신청해서 하는것보다 서비스나 진행과정에서 더 매끄럽고 그런건가 해서요 미리 가입하는것도 나쁘진 않나보군요 감사합니다
25/04/20 09:49
저는 병원내 장례식장을 통해서 모두 진행했습니다.
다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경우도 많아서 상조보다 그냥 적금 드는게 더 나은 것 같아요. 상조보다 좋은 장지를 미리 알아봐두시는걸 추천합니다.
25/04/20 10:45
https://www.youtube.com/watch?v=fAmN7jGNvXo
이 영상 한번 보시고 나서 결정하세요. 전 부정적입니다.
25/04/20 10:59
다음은 해당 비디오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 상조 서비스 산업 개요 * 상조 서비스 시장은 상당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총 회원 납부액은 약 8조 원에 달합니다 [02:34]. * 약 700만 명의 고객이 매월 약 20,000원을 납부하고 있습니다 [02:44]. * 상조 회사의 수익 구조 * 고객은 상조 서비스를 미리 결제하지만, 실제 서비스는 훨씬 나중에 제공됩니다 [11:08]. * 받은 돈은 서비스가 제공될 때까지 수익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11:19]. * 장례가 발생하면 회사는 서비스당 약 500만 원의 수익을 인식합니다 [11:37]. * 장례 서비스 제공 비용은 수익의 약 절반이며, 나머지는 이익으로 남습니다 [20:48]. * 회사는 선불금을 활용한 금융 투자로 추가 수입을 올리기도 합니다 [16:20]. * 상조 회사의 재정 상태 * 최상위 회사인 "프리드라이프"는 수익성이 좋지만, 다른 많은 회사는 그렇지 않습니다 [18:44]. * 일부 회사는 상조 서비스 운영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금융 수입에 의존합니다 [19:04]. * 회사는 선불금을 받고, 이 선불금의 50%를 적립해야 합니다 [17:51]. * 일부 회사는 필요한 금액을 적립하는 대신 은행에 지급 보증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27:09]. * 우려 사항 및 위험 요소 * 상조 회사가 재정을 얼마나 잘 관리하고 공개하는지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46:39]. * 일부 회사는 부동산에 투자하거나 관련 법인에 돈을 빌려주는데, 이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49:02]. * 회사가 신규 회원을 유치하지 못하거나 많은 회원이 계획을 취소하면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54:55]. * 권장 사항 * 영상에서는 현재의 50% 적립금 요건이 너무 낮을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55:15]. * 상조 서비스에 선불하는 대신 별도의 은행 계좌에 돈을 저축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52:16]. * 상조 회사를 선택할 때는 재무제표를 검토하여 회사의 안정성을 평가하세요 [37:12]. * 상조 서비스 산업은 금융 산업과 유사하게 더 나은 감독이 필요합니다 [56:00].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제미나이 요약본입니다 감사합니다!!
25/04/20 12:46
상조회사 1년 다녀본 사람으로 상조는 필요하다. 하지만 미리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단 판단(상조회사 도산 등에 대한 피해)에
후불식상조 두어군데 알아두고 필요시 후불식 상조를 쓰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