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3/31 22:00:07
Name 마로니에
Subject [질문] 첫차구매 및 집매매자급 마련사이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곧 결혼을 앞두고 제목과 같이 첫차구매 및 집매매자금 마련 사이에서 고민이듭니다.

일단 현재 상황을 말씀드리면

1. 서울거주, 아파트에 전세로 들어와있고 보증금 관련 빚은 없습니다.  
2. 결혼 곧 예정이어서 차량은 공유차량을 많이 이용하다가 필요성이 크게 느껴지는 사건이 있었어서 한대 구입할 예정입니다.
3. 부부합산소득은 세전 2.4억 가량이고 월 900~1000가량을 저축하고 있습니다.(별도 투자는 하고있지 않습니다)

운전경력은 자차로는 없지만 말씀드린대로 공유차량으로는 계속 이용해왔어서 못하는 편은 아닙니다.
처음에는 중고차를 사려다가..그래도 이왕 타는거 마음불편한거 없앨겸 신차를 사려고하고 GV70까지 알아보고 있습니다.
풀옵션을 넣을 생각은 전혀 없고..필요한 옵션만 넣으니 5천 후반대까지는 가는것 같습니다.

다만 막상 차를 사려고하니 서울에서 출퇴근을 자차로 하는 경우는 많이 없을것으로 보이고..
그냥 이돈 모아서 빨리 집사는데 보탤까 하는 생각도 들고.. 또 이런 떄 아니면 차를 살까 싶기도 합니다.
또한 어중간한 중고차 샀다가 결국 차량을 조만간 바꾸게되면 중고차 매입비용은 그냥 매몰비용이 되는게 아닌가싶은 생각도 있구요..

결론적으로 사회경험 많은 선배님들께 질문드리고 싶은건
1. 차량하나 사면 10년정도 끈다 생각중인데 이게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경우 맞을 지
2. 그냥 차를 저렴한 가격에 중고차로 매입하는게 맞을 지..
3. 결국 내집 마련의 시점 때문이기는 한데, 좀더 무리해서 대출 받고 현재기준 집을 매수하는게 맞을지..

예신이랑 둘자 재태크에는 크게 관심이 없다보니 목돈 나갈일 생기니 고민이 드네요.
어떤 의견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3/31 22:09
수정 아이콘
결혼을 앞둔 상태의 저라면 일단 부동산에 먼저 자금을 쓰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적어도 제 기준, 아이가 태어날 즈음에 차를 사도 늦지 않았다는 느낌입니다.
차가 있어서 편한점은 확실합니다.
그런데 그게 [내 집]이 있어서 편한 점보다 압도적이냐면 결코 아니라서요.
성야무인
25/03/31 22:20
수정 아이콘
1. 결혼해서 애낳으실 생각이시라면 SUV가 맞긴 헌데

그렇다고 G70까지 가실 의미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소렌토나 비슷한급을 가시던지 아니면 더크게 팰리세이드로 가시는 게 더 나아 보입니다.

이런 저런 가성비를 생각하신다면 하이브리드 쪽도 나쁘지는 않으리라 봅니다.


2. 다만 두분이 1-2년 막 몰고 다닐 생각 하신다면 1000만원대 중반 정도의

SUV사서 어느 정도 익숙해진 다음

차를 구입하는 것도 나빠 보이지는 않습니다.

저도 결혼 전에는 차 몰지 않았다가 결혼 직전에 중고차 사서

온갖 파손과 수리를 거치는 경험을 한 뒤

5년간 22만 키로 몰고 팔았습니다.


3. 집을 이야기 드리자면

아마 신혼 특공이 3-4% 이자로 알고는 있습니다만

서울의 집값이 전반적으로 올라가 있긴 헌데

공급이 많아져서

마이너스 피까지 떨어진 곳이 있습니다.

제가 거주하고 있는 강북쪽이긴 헌데요.

저도 작년에 청약 넣었다가 떨어지긴 했는데

떨어지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세는 공급이 많이 떨어지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2-3년 후 쯤 줍줍할 수 있는 물량이 나오기는 하겠고

결정적으로 코로나 시기에 지어진 집들은 하자가 많긴 많습니다.

그래서 결정을 하시긴 해야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2-3년 내에 특공으로 신축은 이자부담과

아파트 내구성 때문에 당장은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안들어 가시는 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슬래쉬
25/03/31 22:28
수정 아이콘
저렴한 중고차 사셔서 필요할때만 가끔 쓰시다가
혹시 아이가 생기게 된다면 출산 전에 새차 장만하세요
봉그리
25/03/31 22:56
수정 아이콘
1. 차는 결국 이동수단에 불과합니다. 아무리 비싼 차도 집안에 모셔서 이고지고 살지는 않습니다... 아기 어느 정도 클 때까지는 그닥 오래 차 몰일이 별로 없습니다.
2. 내집 마련이 우선으로 보입니다.
3. 혹시라도 목돈이 남는다.. 하시면 인테리어의 세계가 있습니다.
25/03/31 23:11
수정 아이콘
전 소득 생각하면 사는 건 크게 무리가 아닌거 같은데
현금흐름을 디테일하게 따져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차량이라는게 생각보다 잡다한 유지비가 많이 들어요
따지고 보면 1억 쯤 대출한거랑 비슷한 느낌
25/03/31 23:22
수정 아이콘
저라면 일단 집에 주차 편의성을 생각할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주차공간 부족한 곳에서는 저녁 마실같은건 생각지도 못합니다. 왜냐하면 차뺐다가 오면 주차 공간찾아 30분 돌아다녀야 하거든요.
겨우 이열주차해놔도 아침에 차빼달라고 연락오면 나가야 하고, 이게 생각보다 많이 불편해서 멀리 나가는거 아니면 차를 안쓰게 됩니다.
그리고 첫차라고 하셨는데 차량을 소유하면 관리가 생각보다 귀찮아요.
2년에 한번씩 차량 종합검사도 해야하고, 주기적인 엔진오일 교체라던가 세차, 보험 등 여러가지로 신경쓸게 많더라고요.
맞벌이면 저런거에 평일 시간 빼는 것도 쉽지 않고..
여러모로 아이 낳기 전까지는 없는게 편한데 그럼에도 구입해야 한다면 다른 분이 얘기하신 것처럼 저렴이 중고차샀다가 출산 전에 바꾸는게 좋아보이네요.
참고로 저는 아이생기고 나서 600만원짜리 준중형 중고차가 첫차였는데 차가 크지 않아서 주차도 편하고 가족끼리 다니기에 부족함이 없었어요.
덴드로븀
25/03/31 23:31
수정 아이콘
소득 수준을 생각하면 일단 GV70 바로 지르고 타고 다니다가 부족한게 생기면 그 때 다시 바꿔도 되겠지만

결혼 후 몇년안에 자녀계획까지 있다면 일단은 2~3천만원대 중고로 확 내려서 구매 후 정말 단순 이동용 도구로만 활용하시고,
출산 및 아파트 구매 계획에 따라 그때가서 다시 생각해보는것도 방법입니다.
Alcohol bear
25/04/01 00:03
수정 아이콘
돈 잘 버시는데 집부터 하나 하심이?
25/04/01 02:46
수정 아이콘
차는 제일 마지막입니다. 아이 돌 즈음에 있으면 됩니다.
시무룩
25/04/01 08:40
수정 아이콘
가끔 타려고 gv70 사는건 오히려 그게 더 돈이 아깝고 결혼 하시고 아이 생기면 차 쓸 일이 많아질텐데 그때 사세요
그때쯤이면 gv70도 다음 세대가 나오려고 각잡는 시점일테니 지금 사서 얼마 타지도 않았는데 구형 만들지 마시고
탈 일이 많이 생길 때 신형으로 뽑아서 다니시고 일단은 거래 활발하고 저렴한 중고차 사서 대충 타세요
25/04/01 08:50
수정 아이콘
gv70을 못 굴릴 소득은 아니신데 나중에 집을 한 번 사보시면 취득세니 복비니 부대비용이 엄청납니다. 층/향/인테리어 유무로 호가가 몇 천 차이날 수도 있구요. 그 때 차에 들어가있는 돈이 생각날 수도 있어요.
포의부하
25/04/01 08:57
수정 아이콘
저정도 소득이면 뭘 하셔도...
스토리북
25/04/01 09:14
수정 아이콘
사실 이 모든 질답에 의미가 없는 게, 얼마짜리 집을 원하시는지에 따라 답변이 판이하게 갈립니다.
25/04/01 09:51
수정 아이콘
소득 수준을 생각했을때 솔직히 어느쪽이든 원하시는대로 하셔도 크게 문제 없을거 같은데요...
로하스
25/04/01 09:53
수정 아이콘
1년에 1억 이상 저축할 정도의 경제력이면 원하는 차 사셔도 될거 같은데요.
25/04/01 10:08
수정 아이콘
현재 소득수준이면 5천짜리 차는 원하는 집 사는데 반 년정도 미뤄지는 정도입니다. 두 세달 당기려고 2~3천짜리 저렴한 차를 살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그냥 뚜벅이 하거나 원하는 차 사거나 하시죠.
카오루
25/04/01 10:11
수정 아이콘
차는, 무조건, 본인이, 사고싶고, 마음에드는걸 사는게 정답입니다.

그래야 정도 더 가고 관리도 더 잘하게 되고
다른차 생각도 안납니다.

어정쩡한 차 샀다가 3~4년동안 만족도 못하면서 타다가 후에 새차로 바꿔서 2중지출 하게 될 수도 있으니
차는 그냥 무조건 지금 내 마음이 끌리는 걸로 사시기 바랍니다.
몽키매직
25/04/01 10:11
수정 아이콘
무조건 집 먼저 하세요. 소득 많아도 집 부터입니다.
소득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도 집부터 한 사람 차 부터 한 사람 차이 벌어집니다.
처음 집 살 때 현금 몇 천 부족해서 좋은 매물 놓치는 경우도 많아요~
좋은 차는 애들 통학시킬 때쯤 마련하시면 됩니다. 지금부터 10년 쯤 뒤
karlstyner
25/04/01 11:01
수정 아이콘
일단 살고 싶은 집을 먼저 물색해보시고 구매시기와 자금조달계획을 대략적으로 세워보세요. 물론 부동산 가격이란것이 예측을 정확히 할 수는 없지만요.

그리고 차를 사도 집구매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듯하다면 차를 구매하셔도 되겠네요
바위꿈틀
25/04/01 11:10
수정 아이콘
보통 적절한 집 수준은 연봉의 10배 보면 됩니다 왜냐면 소득이 높을수록 집을 보는 눈높이도 높아지기 때문이에요
그럼 지금 상황에서 맞는 집은 24억 정도 잠실 25평정도 수준 정도 되구요

이정도 집 사려면 자본이 12억은 있어야 됩니다

지금 자본 얼마나 모으셨는지 모르겠지만 최대한 12억정도까지 모아서 24억 정도 집을 사는걸 목표로 한다면

지금 5천 짜리 차를 사면 집 매수 시간이 1년은 늦어질거에요 실제로 해보면 1년 이상 타격이 갑니다

지금 꼭 차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2천 이하 중고차로 애기 초저까지는 충분히 버틸수 있습니다

중간에 집을 매수 성공한다면 그때가서 차는 더 좋은걸로 바꿔도 될거 같습니다

추가로 결혼식 및 신혼여행, 예물도 최소한으로 하면 금상첨화입니다
엘브로
25/04/01 16:05
수정 아이콘
일단 집 마련부터 하시고, 차는 아이가 없으시니 나중에 고민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무냐고
25/04/02 09:17
수정 아이콘
저라면 중고건 신차건 차를 살겁니다.
돈은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잖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168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054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79771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2962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4405
180215 [질문] 금융종합소득세 질문 [3] 거북왕407 25/04/02 407
180214 [질문] 상사가 나만 갈굴때 대처법 [7] 향기나는사람1131 25/04/02 1131
180213 [질문] 그거...사진을 지브리스타일로 변화해주는... [12] 어...1070 25/04/02 1070
180212 [질문] 우메다역쪽 스시나 스키야키집 추천부탁드립니다 [1] 기다리다432 25/04/02 432
180211 [질문] 테슬라 차량 과거와 현재 차주님들께... [10] 똥꼬쪼으기1072 25/04/02 1072
180210 [질문] 경기 북부(포천 등) 풍광 좋은 펜션/숙소 추천 부탁 드립니다. [1] deadbody539 25/04/02 539
180209 [질문] 이 웹사이트(pgr21.co.kr)에서는 공동인증서 사용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7] 리린2160 25/04/01 2160
180208 [질문] i7-14700 이슈 관해서 질문입니다. [3] lifewillchange1699 25/04/01 1699
180207 [질문] 옛날 무협소설을 찾고 있습니다. [10] EagleRare2297 25/04/01 2297
180206 [질문] 맨발로 신기 편한 신발, 샌들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1] 같이걸을까1898 25/04/01 1898
180205 [질문] 챗지피티에 사진업로드가 안되는 이유가 뭘까요? [10] 아리아2331 25/04/01 2331
180204 [질문] 관우가 죽기전 유비가 지원을 해줄수 있었을까요? [21] 개가좋아요2176 25/04/01 2176
180203 [질문] 요즘 스타 공방 수준은 어떤가요? [11] 8억빠1779 25/04/01 1779
180202 [질문] 헌법재판소 방청 신청 노하우 부탁드립니다 [4] 일신1584 25/04/01 1584
180201 [질문] 회사에서 쓸 유선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8] 894 25/04/01 894
180200 [질문] 텔레그램에서 일대일 대화방을 실수로 지웠는데 [3] 해피시티2029 25/04/01 2029
180199 [질문] 렌트카로 강원도 속초 여행 질문입니다 [7] Robotics1393 25/04/01 1393
180198 [질문] 첫차구매 및 집매매자급 마련사이 고민입니다. [22] 마로니에2215 25/03/31 22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