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2/24 11:03
얼마전에 벼락치기 했는데
제가 느끼기에 좋았던 점 공유합니다 공부 관련은 1. 실전 모의고사만 풀기 벼락치기면 기본서 공부보다 실전 모의고사로 공부하는게 효율이 좋더라고요. 2. LC는 안들리는거 철저히 암기 점수대 마드ㅏ 다른데 고득점자일수록 보통은 다 들리는데 정말 안들리는거는 연음방식이나 단어를 몰라서 안들리는거라서 무적권 암기해야 합니다. 3. RC 단어나 문법정리는 따로 안 함 기본 실력을 늘리기 위해서는 중요한데 벼락치기는 시간 효율상 모의고사 문제풀이식으로 가는게 더 좋았던 거 같아요. 시험관련 1. LC 1, 2는 디렉션 나올 때 파트5 문법문제만(선지를 먼저보고 판단.어휘X) 풀기. 어휘는 좀 집중해서 뉘앙스를 봐야돼서 기계적으로 풀기가 어려움. LC3,4는 디렉션에 첫번 째문제지문 읽어놓고 그 다음부터는 스크립트 끝나자마자(문제읽어 줄 때) 다음 문제 읽어놓기. 3.RC는 176번부터 200번까지풀고 마킹 (연계지문, 25~28분내)->147번부터 175번까지 풀고 마킹 (단일지문, 27~30분내,파트7 합쳐서 55분 내)번까지 풀고 마킹->131부터 146까지 풀고 마킹(파트6, 8분)-> 마지막파트5는 듣기때 반정도 풀기 가능해서 나머지 시간 동안 풀고 시간남으면 리뷰 집중력 있을 때 연계지문 풀고 단일지문 가면 단일 지문이 쉽게 느껴져서 좋고 문법/어휘를 먼저 풀면 괜히 고민 많고 시간 오래 투자하는게 안좋더라고요. 그리고 반드시 저 시간대로 푸는건 아니고 기준을 나름 세우고 거기서 플러스마이너스되는거 감안해서 시간배분 하는게 좋았다는 뜻입니다
22/02/24 11:32
토익은 무조건 기출 뺑뺑이에요.
시간 관리나 배분은 직접 풀어보면서 자기한테 맞는 걸 찾아야해요. 사람마다 맞는 방식이 달라서. 대충 생각나는 건 1. LC 답 나오면 넘겨서 RC 풀기 vs LC 다음 지문 읽고 핵심단어 동그라미 치며 미리 내용 파악하기 2. 문제 순서대로 풀기 vs 자기만의 순서(시간 많이 잡아먹는 연계지문부터 풀기 등) 지키기 이 정도만 생각나네요. 나머지는 풀어보면서 문제 유형, 성격 파악하시면 됩니다. 뭐 예를들어 문제, 선지 순서는 정직하게 지문 진행 순서랑 똑같다든지. LC에서도 파트3 4에서 대화나 지시문 듣고 3문제 푸는 거 앞부분 놓쳤다 싶으면 과감하게 포기하고 뒤에 두 문제라도 듣고 푼다든가. 순서대로 나와서 어차피 앞에 건 놓치면 못풀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