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2/23 12:06:04
Name 102
Subject [질문] 물건의 수리비는 어느정도까지 감수하시나요?
3년 반 전에 중고 미개봉을 16만원 주고 구입
중간에 고장이나서 4만원 주고 수리
고장난 부분은 지금도 약간 말썽
이번에 다시 고장이 나서 수리가 필요. 대충 3만원정도 예상.  
현재 동일물건을 신품으로 사면 20이나, 대체 신품은 많음

다시 수리를 하고 폐기할때까지 쓴다 VS 이참에 바꾼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2/23 12:25
수정 아이콘
향후 고장가능성인데 고장이 쉽게 발생될경우라면 신품을 삽니다.
22/02/23 12:32
수정 아이콘
처음 수리한건 야매로 수리한건데 불편하긴한데 당분간은 사용가능해 보이네요.
22/02/23 12:33
수정 아이콘
왠지 마우스 더블클릭 문제인것같은데.. 사설 수리만 잘되면은 큰문제는 없는걸로압니다.. 아니면 저처럼 아예 새로운 마우스를 구매해보시는것도
22/02/23 12:35
수정 아이콘
마우스는 아니지만 답변이 결정에 도움될것 같습니다.
22/02/23 12:25
수정 아이콘
이참에 바꾼다에 한표입니다
22/02/23 12:36
수정 아이콘
이참에 한번에 비싼걸 살까 생각이 드네요.
League of Legend
22/02/23 12:29
수정 아이콘
계속 쓰는데 또 고장날 것 같으면 새거 사구요. 한번 고쳤을때 마지막으로 고치면 이젠 괜찮겠다싶으면 고칠듯
22/02/23 12:34
수정 아이콘
이번에 수리하면, 중고로 샀을당시 가격의 반을 수리비로 지출하는거라
물론 이번에 끝난다면 감수하고 폐기때까지 쓰면 되긴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구품이 되는것또한 감수하고요.
하우두유두
22/02/23 12:57
수정 아이콘
전 수리요. 새로 20을 지출할대신에 막는거니까요
22/02/23 12:59
수정 아이콘
약 4년정도 최신상품을 수리비따지면 3만원 싸게 살수있는거라 고민되네요.
샤르미에티미
22/02/23 13:35
수정 아이콘
한 방에 수리비가 산 가격의 50%가 나왔다면 웬만하면 신품 삽니다만 본문 같은 식이면 웬만하면 수리할 듯하네요. 새로 산다면 아예 업그레이드를 해버리지 똑같은 건 안 살 것 같습니다. 물론 그 물품이 뭐냐에 따라 달라지긴 하겠고요.
22/02/23 13:37
수정 아이콘
네 저도 그래서 좀더 나은제품으로 살까 생각중입니다.
메타몽
22/02/23 13:43
수정 아이콘
전자제품 기준 3년 넘었으면 내용연수 지났다고 봐서 신품 삽니다

일반적인 물품이라면 수리가가 50% 넘으면 신품사고 30% 넘으면 중고 구입합니다
22/02/23 18:39
수정 아이콘
합리적인 판단같습니다
농심신라면
22/02/23 17:39
수정 아이콘
이참에 급 높은 신품으로 바꿉니다
22/02/23 18:40
수정 아이콘
마음이 조금 넘어가네요. 고치면 못쓸만한건아니나 팔수있진않고 그런데 계속 쓰는데는 돈이 추가로 들고
22/02/23 21:49
수정 아이콘
이미 써봤으니 다른 제품 경험 해 보는 게 도리 아니겠습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1938 [삭제예정] 휴대폰 보호필름 붙여주는곳 [9] 삭제됨7484 22/02/23 7484
161937 [질문]  주식어플 문의 : IRP + 연금저축 동시 사용 관련 (나무 어플 쓰시는분?) [4] 승뢰4304 22/02/23 4304
161936 [질문] 신용카드교체 [1] 당근병아리6217 22/02/23 6217
161935 [질문] 연말정산 이직자 원청징수영수증 입력 질문입니다. [1] 삭제됨3825 22/02/23 3825
161934 [질문] 기계식키보드 교체 주기 질문드립니다 [15] 밤공기6156 22/02/23 6156
161933 [질문] 아들이 마인크래프트 하고 싶다는데.... [5] 도날드트럼프4771 22/02/23 4771
161932 [질문] 블루스택으로 드래곤퀘스트 플레이하려구 하는데요~ [2] 가능성탐구자5059 22/02/23 5059
161931 [질문] pc가 점심시간만 되면 꺼집니다.. [3] 수지짜응4406 22/02/23 4406
161930 [질문] pcr검사도 위음성이 뜰수있나요? [7] 형리6969 22/02/23 6969
161929 [질문] 코로나 이후 외부활동 하고 계신가요? [13] 2004년5943 22/02/23 5943
161928 [질문] 물건의 수리비는 어느정도까지 감수하시나요? [17] 1025940 22/02/23 5940
161927 [질문] 기내용 캐리어 추천부탁드립니다. [5] 보급보급5644 22/02/23 5644
161926 [질문] 열 약하게 있고 인후염이 있는데 병원가도 되나요? [6] 하카세4558 22/02/23 4558
161925 [질문] 중도금 -> 주담대 변환 관련 문의 드립니다 [4] 메타몽4792 22/02/23 4792
161924 [삭제예정] 병원 매물 전문 사이트가 있을까요? [2] 삭제됨4356 22/02/23 4356
161923 [질문] 주택담보대출을 앞두고 있으면 마이너스 통장 개설 안하는게 나을까요?? [10] 여의5743 22/02/23 5743
161922 [질문] 스팀에”만” 있는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아이폰텐4387 22/02/23 4387
161921 [삭제예정] . [5] 삭제됨4933 22/02/23 4933
161920 [질문] 코로나 확진자가 7일만에 복귀하는데 괜찮나요? [15] 사상최악5186 22/02/23 5186
161919 [질문] 이런 머리 스타일은 어떤 펌으로 구현될까요? [7] 트와이스정연5198 22/02/23 5198
161918 [질문] 개물림 사고시 대처법이 궁금합니다 [11] 달마야놀자6036 22/02/22 6036
161917 [질문] 휴대폰 회선 추가개통 + 원스토어 질문드립니다. [4] 버드맨4937 22/02/22 4937
161916 [질문] 스위치 지를까 고민중인데요 [21] 앙몬드5737 22/02/22 57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