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2/30 14:55
아 그렇네요 저는 웹개발자 입니다 지금 전자정부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회사에 취직한 상태이구요
비전공자로 국비학원 수료후 취직한겁니다
21/12/30 15:00
네카라쿠배 정도의 이직을 원하시면 비전공자기 때문에 컴퓨터공학쪽 공부하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사실 뭘 하든 꾸준히 하시고 블로그 또는 깃헙에 포트폴리오를 잘 만드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1/12/30 15:06
감사합니다
아직 네카라쿠배 정도의 이직을 원하기보단 제대로 알고싶은게 더 큽니다.. 컴퓨터 공학쪽 공부를 하려면 인프런이나 패스트캠퍼스 같은곳에서 추천순 많은거 위주로 보면 되는건가요? 토이프로젝트 하면서 깃헙에 꾸준히 올리는게 목표이긴 합니다
21/12/30 15:57
토이프로젝트 추천합니다
뭔가 만들지 않는 공부는 지속하기가 쉽지 않더라구요 여러 프레임워크/서비스를 적당히 딥하게 자유자재로 쓸 수 있기만 하면 네카라쿠배 에이스 삽가능입니다
21/12/30 17:24
(수정됨) 감사합니다
예 맨날 해야지 해야지 하고 입사하구 손에 꼽을정도만 복습했네요 ㅠㅠ 예전부터 구상해왔던 웹페이지 만들어보면서 공부해야겠습니다 ..
21/12/30 18:31
1번은 요즘도 보나요? 채용자 입장에서는 차라리 2번과 같은 포트폴리오가 있는게 훨씬 +일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실제로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 해보는게 경험적으로나 실력적으로도 훨씬 미래를 위한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1/12/30 20:08
(수정됨) 우선 저는 현재 공공기관하고 일하는곳에 취직한지 3년 7개월 정도되었구요. 본인의 목표에 따라 다릅니다.
만약 eGov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는거 자체가 공공기관 또는 공공기관 산하에 있는 업체랑 일하는걸로 보이는데 경력을 살리고 싶고 프리랜서가 되서 계속 공공기관쪽과 SI업무를 보고 싶다면 정보처리기사는 고민할 필요가 없고 필수입니다. 이쪽일에 맨먼스 산정할 때 주작도 많지만 그래도 경력은 정보처리기사가 있어야 초급개발자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 직장이 거처가는곳이고 위에 네카라쿠배는 너무 갔고 자체서비스하는 스타트업이라도 갈 생각이 있으시다면 토이프로젝트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다만 전자정부프레임워크를 하면서 쌓은 경력은 인정받기 힘들 확률이 꽤 되어 최대한 빠르게 공부하셔서 신입으로라도 옮기는게 좋습니다.(참고로 Si쪽 3년경력자보다 스타트업으로라도 자체서비스 가는 신입이 연봉이 비슷하거나 훨씬 높습니다.) 만약 토이프로젝트 생각이 있다면 타겟을 제대로하셔야 합니다. 이것도 기존 스택 살리시겠다면 JAVA기반의 Spring boot에 마이바티스가 아닌 JPA로 가시고 서버쪽은 당연히 AWS경험자가 인정받습니다. 신입으로 빨리가고 싶다면 인기있는 React쪽이나 백엔드 쪽도 신입 nodejs, 파이썬쪽 노리는것도 괜찮겠죠. 길게 보고 공부하겠다면 당장 테스트코드나 리팩토링부터 시작해서 객체지향, 네트워크, 리눅스를 진득하니 공부하는것도 괜찮습니다. 저도 이직준비중에 고생하고 있는데 특히 전자정부프레임워크쪽은 레거시를 쓰는데다 유지보수까지하면 너무 오래된 버전을 쓰고 최시버전도 java1.8 지금 지원중지중이라 테마조차도 못까는정도로 오래된 버전쓰고 테스트코드없고 마이바티스쓰고 권장 형상관리가 SVN이고 여러모로 이직할때 감점요인이 많아서 물경력 되는경우가 많아서 후회가 많아요. 빠르게 준비 잘하셔야 합니다.
21/12/31 20:40
감사합니다
1번. 공공기관쪽 계속 일한다면 정보처리기사가 필수이고 2번. 자체서비스하는 스타트업정도 갈려면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마이바티스가 아닌 jpa, 스프링부트에 서버는 aws로 결과물을 준비하고 3번. 길게보고 공부한다면 테스트코드나 리팩토링, 객체지향, 네트워크, 리눅스를 공부하라 제가 아직 입사한지 두달차라서요 1번 정보처리기사는 무조건 진행하고 2번 3번은 1년정도 업무를 계속 하다가 결정해도 될까요?
21/12/31 22:58
정보처리 기사는 공공기관쪽에서는 필수인데 자체서비스 기업으로 이직을 준비한다면 아예 쓸모없는수준입니다. 하지만 비전공자라면 기사에서 배우는 과목들이 전공자를 따라잡을 수 있는 지식이 될 수 있어 이를 각잡고 공부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기출문제만 풀어서 합격하는 방식은 비추)
2번은 바로 따른 플랫폼으로 이직을 마음먹고 준비하라는거기 때문에 정말 빨리하셔야 합니다. 나중에 해도 좋은건 취업전 3~6개월 전의 알고리즘 공부이지 바로시작하셔야 되요. 만약 현재 하고있는 쪽으로 계속 할거라면 업무가 곳 공부이기 때문에 상관없지요. 3번이 만약 현재 업무에 미련을 못버린다면 현재 업무에서 테스트 코드를 만들어보고 리팩토링을 해보고 서버에 다양한 셋팅을 해보고 경험하시는게 좋습니다. 즉 2번을 당장 할 상황이 아니라면 3번은 바로 시작하셔야 합니다.
22/01/01 15:56
감사합니다.
저도 정보처리기사를 기초지식 채우기용으로 기출문제 + 거기 파생된 선택지나 문제지 부분을 확장해서 공부해나갈 생각이였습니다. 이직준비는 아직 생각이 없습니다. 아직 회사 업무도 다 파악하지 못한 상태고 여기 사수랑 부장님이 정말 잘 알려주셔서 제대로 배워보고 싶거든요 저도 테스트코드 만드는거나 리팩토링은 아직 수준이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22/01/01 16:10
사실 테스트코드나 리팩토링은 저도 아직 어려워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쓴다는거 자체가 SI라는거고 SI는 빨리 만들어서 주고 튀기 때문에 테스트코드를 만들 시간이 부족하고 내가 책임지고 발전시킬게 아니기 때문에 리팩토링이 필요가 없죠.
막상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에 공통컴포넌트 불러와도 테스트 코드가 없어서 어디서 부터 손봐야할지도 난감하더군요. 근데 또 막상 유명한 개발 유튜버이신 백기선님 영상보다보면 테스트코드랑 리팩토링이 없다면 똥이다 이런말도 하셔서 저도 올해목표는 회사에 불만가지고 나갈생각만 하기보단 현재 업무레벨에서 최대한 발전시켜보는걸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보통 java 1.8, 객체지향, 디자인패턴, TDD, 리팩토링 관련 책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이런걸로 코드 품질 향상시키는걸 저도 해보려고 하고있습니다.
22/01/03 10:17
감사합니다.
java1.8, 객체지향, 디자인패턴, TDD, 리팩토링 관련 책들 찾아보면서 코드 품질 향상시키는거 메모해두겠습니다.. 앞으로도 개발관련 궁금한점 생기면 질문드리겠습니다!!
21/12/31 04:29
기업에서 국가과제 같은거 할때 참여 인력으로 들어갈때 이런 종류의 자격증 여부를 따지는 경우도 있어서
자격증도 딸 수 있으면 따두시는게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