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2/19 20:01
21/12/19 20:08
감사합니다. 링크 보고 하는데, 일단 자동인식은 안 되는 것 같고 장치관리자에 'Microsoft Xbox One 컨트롤러'가 아니라 그냥 'Controller'라고만 나와서 업뎃을 못 한다고 하네요ㅠ
21/12/19 20:57
(수정됨) 아... https://support.xbox.com/en-IN/help/hardware-network/accessories/xbox-controller-functionality-operating-systems 4세대에서 블루투스 무선연결을 지원하지 않네요. 구형 리시버를 구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유선은 되신다는 뜻이죠? 유선도 조작이 안되면... 인터넷을 좀 더 뒤져보니 유선 드라이버 설치시 간혹 본문과 같은 오류가 나는 것 같은데, 장치 관리자에서 표시된 드라이버 제거 후 재부팅, 재연결해보세요. 그래도 이후 같은 증상이 발생할 시 아래 댓글처럼 해결하실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엑박 컨트롤러 드라이버는 윈도우즈까지 정품일 경우 마이크로소프트 고객센터에 메일이나 전화문의 연결하시면 상담사 확인 후 받을 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원래 공식 홈페이지에 있었는데 접근을 차단한 것 같습니다. (https://www.techspot.com/drivers/downloadnow/17648/?evp=1040b370dcc166aec0368dcb3ef7108b&file=23162 사실 다른쪽으로 드라이버 다운로드는 가능한데, 바이러스 유무는 솔직히 자신이 없습니다. 다만 제가 다운로드까지만 시도해본 결과 디팬더에서 걸러지지 않는것으로 보아 설치해도 무방할 것으로 보입니다. 64비트는 맞는거죠?)
21/12/19 21:28
(수정됨) 댓글을 수정하다가 댓글이 달려서 기묘한 답변이 되어버렸는데, 위의 절차대로 확인 후 2단락의 드라이버 다운로드 진행해보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링크 접속하시고 한 5초에서 10초 후 자동으로 다운로드 시작됩니다. 선의로 하신 일이 이렇게 되어 힘드시겠습니다. 힘내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그리고 본문과 무관한 사견입니다만, 요즘 일반소비자용 소프트웨어도 그렇고, 제조사들도 그렇고. 심지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나오는 엔드유저용 물건들도 그렇고. 어느순간부터 윈도우 10이하 드라이버 지원이 옛날 같지가 않습니다.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요. 하여튼 친구분도 여력이 되시면 윈도우 버전을 올리심을 권합니다. 노트북이나 특히 메인보드가 옛날 물건이라 제조사 홈페이지 가도 10용 드라이버 없다고 지레 포기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는데, 정말 어디 이름도 들어본적 없는 곳에서 별도의 온보드 칩셋같은걸 붙여놓은게 아닌 이상에는 요즘은 진짜 좋아져서, 반대급부로 윈도우 10만큼은 온라인 환경만 갖춰져 있으면 어떻게든 곧잘 인식 및 지원이 되더라구요.
21/12/19 20:06
(수정됨) 유선의 경우 4세대 드라이버는 못깔지만 전세대 드라이버를 어캐(...) 구해서 깔면 전세대 기기로 인식시켜서 쓸 수 있습니다(4세대에 생긴 스크린샷 버튼은 당연히 먹통이구요). 무선의 경우 전 시도를 안해보고 윈도10으로 넘어왔는데 4세대의 경우 성공담은 따로 못본 것 같습니다(참고로 전용 리시버조차 최신형은 윈도 10부터 호환됩니다(...)).
덧) 윗 분이 다신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도움말은 저의 경우 도움이 안됬었습니다...
21/12/19 20:16
(수정됨) 무선을 선호한다면 10 가야죠!(...)
전 야리코미 때문에 스크린샷 단축키가 필요한 걸 엑박 버튼을 쓰다가 꼬이는 바람에 짜증나서 결국 10으로 올린거고(...) 윈도 8에서 유선으로 게임하는 거에 불편함은 딱히 없었고, 10에서도 유선으로 합니다. 거리는 3m 케이블로 커버하고 있고, 충전하거나 배터리 갈 필요 없고, 무게도 그만큼 덜 나가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