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1/17 18:00:01
Name 삭제됨
Subject [삭제예정] 사회초년생 연금저축 보험 질문이용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1/17 18:0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연금 보험은 운용비 비싼 상품보단 irp로 국내 상장 미국 etf 추천합니다. snp500이나 나스닥으로요.
21/11/17 18:09
수정 아이콘
다들 그 종목을 추천하더군요.. 이유가 있나보군요
21/11/17 18:24
수정 아이콘
특정 종목이라기 보단 미국 전체 시장(snp500)과 기술주(나스닥)에 투자하는 인덱스펀드라 안정성이 매우 높습니다. 수수료도 작구요.
21/11/17 18:01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용은 다 거기서 거깁니다. 아무거나 하세요
21/11/17 18:10
수정 아이콘
넵 제가 초년생이다보니 서툴러서 그랬습니다.. 저 상품은 10년간 월 34만원씩 해서 65세때부터 받는건데

연말정산용 + 연금용 의 용도로 한것인데 저렇게 하나정도 들어도 상관 없는거죠 ?
21/11/17 19: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
21/11/17 20:27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과 펀드의 차이점을 말씀하시려고 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회사별 연금저축끼리와 펀드끼리가 차이가 크지 않다고 말한거였습니다.
메타몽
21/11/17 18:07
수정 아이콘
KODEX 미국 S&P500 TR ETF

KODEX 미국 나스닥100 TR ETF

TDF 20X0 (설명보고 원하는 연도로)

전 이렇게 세팅했습니다
21/11/17 18:11
수정 아이콘
넵 나중에 여유되면 이 종목들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금주전사
21/11/17 18:24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보험은 몇년동안은 설계사,보험회사한테 돈 갖다 바치는 구조로 알고있고, 하시려면 연금저축펀드 하시면 됩니다.
늘새로워
21/11/17 19:39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보험 금리 좋을 때 시작해서 8년 납입했는데 원금 도달 안했습니다. 좋은 말로 포장하지만 사기에 가까운 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연금저축펀드 하시면 동일하게 세액공제 누릴수 있고 유튜브 조금 검색하시어 미국etf 투자하시면 되겠습니다.
늘새로워
21/11/17 19:40
수정 아이콘
아 벌써 가입을 하셨군요. 바로 해지하시면 페널티 없으니 빠른 시일 내로 해지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21/11/17 19:41
수정 아이콘
오늘 가입했는데 침향단인가 그거 받았습니다만 그거 돌려주고 해지하는게 맞는건가요?
늘새로워
21/11/17 19: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네 무조건 해지가 맞습니다.
좀 자세하게 설명드리면 연금저축보험이 10년 단위로 최저보증이율이 갱신되는데 갈수록 낮아지는 구조입니다.
2.5프로 2프로 1.5프로 이런식으로요.
문제는 처음 10년은 사업비를 떼기 때문에 2.5프로 복리를 받아도 원금도달이나 간신히 합니다.
사회초년생이시면 30년 바라보고 드는 연금저축인데 갈수록 낮아지는 저 최저보증이율은 절대로 절대로 물가상승률을 따라갈수 없습니다.

그래서 다들 연금저축펀드를 하라고 하는이유가 연금저축펀드로 etf상품을 매수하면 장기적으로 물가상승률을 따라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회초년생이시면 원금보전이 안될수 있음에 겁이 나실수 있겠지만 미국이라는 나라가 망하지 않는한 장기적으로 봤을때 미국etf가 물가상승률을 못 따라갈 수가 없습니다.

연400만원 한도 세액공제 혜택은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동일합니다. 연금저축보험은 해지하시기를 당부드립니다.
21/11/17 19:56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합니다 ~
21/11/17 20:31
수정 아이콘
펀드는 수익률을 보전할수 있는 가능성있지만 오히려 마이너스가 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점은 유의하시고 그리고 사업비(수수료)는 펀드도 뗍니다.

펀드는 수수료를 정률로 떼는 형식이고 보험은 수수료가 초반에 높고 점점 낮아집니다.
그렇다고 해도 전반적으로 보면 보험이 수수료가 더 쎄긴한데 대신 보험은 보험기능이 들어가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가 됩니다.

다 장단이 있으니까 어떤식으로 들지 생각하시고 드시면 됩니다.
21/11/17 19:53
수정 아이콘
해지하고 증권사에서 연금저축펀드 드세요. 세액공제 혜택은 동일하고 투자수익률은 훨씬 높게 할 수 있습니다.
21/11/17 20:34
수정 아이콘
답변 달아주신 선배님들 감사드립니다

고심끝에 해피콜 올때 취소한다고 말하고 받은 침향단 돌려주고 해지해야겠습니다

저는 혹했었는데 혹시나해서 여쭤보길 잘한거 같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9820 [질문] 한국세무사회에서 입금 요청이 들어왔는데 [8] 고스트7217 21/11/19 7217
159819 [질문] 용산가서 PC부품 사는건 어떤가요? [8] char8054 21/11/19 8054
159818 [질문] 닌텐도 조이콘 쏠림현상.. 해결이 안되네요 [21] 유니꽃9177 21/11/19 9177
159817 [질문] 모니터포함 300으로 컴퓨터를 사려는데 이대로 사도될까요? [5] 달달합니다10077 21/11/19 10077
159816 [질문] 낙지랑 장어는 같은 그람수의 돼지고기보다 인간에게 더 강력한 기력을 주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고기도 종류별로 차이가있나요? [18] 떡국떡9720 21/11/19 9720
159815 [질문] 전성기 약본즈급 스탯을 찍었다면, 오타니와의 mvp 경쟁에서.. [9] 마르키아르9495 21/11/19 9495
159814 [질문] 뮤지컬 오페라 글라스 필수인가요? [11] 스윗번즈8729 21/11/19 8729
159813 [질문] 60프레임 지원되는 무료 동영상 녹화 프로그램 추천부탁드립니다 [4] 요한나7041 21/11/19 7041
159812 [질문] CGV 아이맥스는 언제부터 인터넷 예매가 가능한가요? [6] 아이언맨7001 21/11/19 7001
159811 [질문] 연말 놀거리 질문(압구정 or 다른곳) 제리드8102 21/11/19 8102
159810 [질문] 듄이나 이터널스 중 보려고 하는데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베르나르6339 21/11/19 6339
159809 [질문] 모자간 1억 대여시 세무상담 [4] 까우까우으르렁7706 21/11/19 7706
159808 [질문] 신용카드를 부모님이대리해서 만들수있나요? [13] 갱생9542 21/11/19 9542
159807 [질문] 선과 선의 자동 각도 계산해주는 프로그램 같은게있을까요? [2] 개념은?8349 21/11/19 8349
159806 [질문] 온라인 퀴즈 툴? 앱? [5] 그말싫7783 21/11/18 7783
159805 [질문] 무선키보드인데 노트북에 연결하면 오타가 발생합니다. [2] monkeyD7306 21/11/18 7306
159804 [질문] 2차대전 영국의 항전은 필연적인거였나요? [17] 뵈미우스9802 21/11/18 9802
159803 [질문] 부린이 부동산 질문입니다(주택 매매 대출) [4] 삭제됨7916 21/11/18 7916
159802 [질문] 이사 비용/방법 어떤식으로 나오나요. [2] 동굴곰11100 21/11/18 11100
159801 [삭제예정] 월차 계산법 문의드립니다. [6] will9412 21/11/18 9412
159800 [질문] 보드카 싸게 사기 좋은 곳 [2] 퇴사자8273 21/11/18 8273
159799 [질문] 아이패드 배터리 이게 정상인가요 [4] StondColdSaidSo7762 21/11/18 7762
159798 [질문] 1초만 들어도 떠오를만한 외국 영화 브금? [39] 멜로8969 21/11/18 89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