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0/11 13:11
게임을 업으로 삼는 사람들, 특히 해외 유저랑 매칭 많이 하는 대전게임 유저(프로게이머, 게임 스트리머)들은 죄다 무조건 KT를 씁니다. T1 조차도 KT를 쓴다니 말 다했져. 넷플릭스 회선 문제로 욕 제일 많이 먹는게 SK기도 하고요
21/10/11 13:12
바꾼거는 아니고 계속 KT 쓰고 있는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특정 사이트의 문제말고 그냥 해외사이트 전반적으로 오늘 유난히 느리다 이런 느낌이나 유튜브 넷플릭스 버퍼링이나 화질저하 겪은 적이 거의 없습니다. 1~2년 전쯤 트위치만 KT만 유난히 버퍼링 문제 심했던 적 있었는데 이것도 지금은 옛날 얘기고 그냥 인터넷 관련해서 스트레스 받은 적이 확실히 없네요.
21/10/11 15:00
규모 좀 있는 회사면 다 KT 씁니다..
KT가 유선 인터넷은 3사중 가장 비싸게 대놓고 받고 있습니다. 유선에선 KT랑 나머지는 넘을 수 없는 벽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U+의 경우 디즈니, 넷플릭스, 유튜브같은 서비스와는 제휴를 통해 캐시서버로 극복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자 기준으론 U+도 쾌적합니다만. SK는 제휴조차 안하기 때문에..)
21/10/11 15:06
10년에 걸쳐서 KT->LG->SK->KT 갈아타왔는데 작은 동네만 하더라도 압도적입니다 크크크
그냥 평상시 핑 30ms 뜨다가 3ms 뜨는거보고 이젠 누가 매달 5만원 주면 모를까 무조건.... KT흐흐흐 해외핑도 300~400ms 뜨던거 100~200ms 뜨고 있습니다. 게임에 따라 다르지만 VPN 까지 쓰면 50ms 까지 뜨는 애들도 많이 있구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