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0/08 15:03
(수정됨) 파워는 500w 하시면 됩니다.
하드는 평소에 전기는 거의 안먹습니다. 딱 한번 부팅할때만 하드 하나당 30w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그것도 하드들이 동시에 그렇게 먹는게 아니라 순차적으로 먹기 때문에 하드가 아무리 많아도 파워는 신경안써도 됩니다. 파워는 용량보다는 케이블 갯수, 케이블 타입, 연결부 모양이나 두께 등에 따른 조립의 편의성과 케이스 우측면 두께 등의 고려같은걸 신경써야 합니다. 내장그래픽을 사용할 경우, 하드가 1~2개라면 200W짜리 파워로도 충분하고도 남기 때문에 하드가 5개라도 500W면 반도 못씁니다. 다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게 500이고 가격도 싸기 때문에 굳이 낮출 필요는 없습니다. 내장그래픽 들어가는 CPU중 가장 좋은게 5700G일텐데, 그걸로 하더라도 파워는 500으로 아주 충분합니다. 하드가 많이 들어가는 케이스는 대체로 비쌉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4687480&cate=112775 요즘 유행하는 디자인의 케이스는 요런거 하시면 되고.. http://prod.danawa.com/info/?pcode=6805027&cate=112775 http://prod.danawa.com/info/?pcode=3471238&cate=112775 점잖은 디자인으로는 이런게 있습니다. 두번째 것이 오랜기간동안 인기가 좋습니다. 케이스에 돈을 좀 많이 써도 된다면 '프랙탈디자인'이라는 회사의 케이스 중 하드 많이 들어가는것 중 맘에 드시는 걸로 하시면 됩니다.
21/10/08 15:04
하드 많이 설치할거면 브라보텍 ex270 추천합니다. 다만, 하드 많이 다는걸 추천드리지는 않아요..(버벅임의 원인이 될수도 있음.. 하드는 쓰지 않아서 인식하는데, 자원을 써서..)
내장이면 500w이면 충분하고요.. 정말 게임 안할거면 인텔 내장 12세대 나오면 사는걸 추천합니다.(다음달에 나와요)
21/10/08 15:18
답변감사합니다 겜은 진정 안하고요 할줄도 모르고 취미도 없어요 ^^ 하드 많은 이유는 드라마, 영화 소장해놔서 10테라넘게 있는데 꽉찼네요
21/10/08 16:19
(수정됨) 하드디스크가 많이 달라붙어있으면 컴퓨터 부팅 속도가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NAS 또는 DAS, 아니면 저렴하게는 하드독 등으로 분리해서 보관/연결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는 뭐 데탑을 (하필이면 글픽 대란 오기전에) 팔아서 그렇긴 하지만 4테라/2테라 HDD 두개를 DAS에 넣어 쓰고 있거든요.
21/10/08 16:40
저도 업무상 하드를 많이쓰는데 줄줄이 달고 쓰다가 이번에 하드독 하나 놨습니다. 쓸때 꽂고 안쓸때 빼놓고. 라벨링만 잘 하면 되는거라 크게 불편함 없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