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12 12:23
뭐 멀리 갈 필요 없이 일본만 봐도 버블 터지면서 장기 디플레이션 들어가고 잃어버린 30년 온 사례가 있고...
결국 수요/공급의 문제라서 서울 알짜배기 땅에 아파트는 떨어질 일 없고 북한이 핵 떨어트리지 않는 이상은 계속 우상향이긴 할텐데, 하락장 오면 자산 가격이 떨어지는 건 둘째치고 매도가 안 됩니다. 지방 BYC 같은 곳에 20억짜리 아파트를 지었다고 한 들 사줄 사람이 없으면 그냥 헛돈 날리는거죠. 서울이라고 해도 빌라나 오피스텔 같은 건 마찬가지고요 그리고 사실 서울 크고 좋은 집만 보고 있으면 집을 영원히 못 사는 게 맞는데 지방광역시만 하더라도 갭 5천으로도 살 수 있는 집들이 많죠. 진짜 서울 한강뷰 입성이 목표면 그런 시장에서부터 차근차근 자산 불려서 올라와야지 처음부터 한강뷰는 부모 잘 만난 거 아니고서는 욕심이라고 부동산 투자가들이 얘기하더라고요.
21/09/12 12:37
지금 부동산이 아무리 미친듯이 올라도 주식상승률보다 낮았는데요... 슈카형도 자기가 집 안사는 이유는 부동산 상승률보다 주식 상승률이 더 좋아서라고 얼마전 영상에서 그러시던데 크크 주식에만 관심가져서 벼락거지라뇨. 벼락거지라는 단어는 투자 무서워서 현금만 들고있는 사람한테 하는 얘기인데요...
조금만 찾아봐도 나오는 얘기인데 08년 이후 2010년대 초반은 부동산의 극심한 침체기가 이어졌고, 수도권 청약도 미달나는 경우, 청약가보다 실제 가격이 더 떨어지는경우도 허다했습니다.
21/09/12 12:45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헷지할만큼 오른다고 보는데 문제는 세금입니다.
취등록세+양도세랑 앞으로 올라갈 재산세+종부세 내다보면 요 몇년만큼의 폭발적인 상승이 아닐 경우 메리트가 떨어지는 것 같아요 1주택이야 자기가 사는 비용 낸다 치지만 투자로 2주택 이상 가버리면 세율이 확 올라버리니 더더우깅요
21/09/12 12:46
앞으로의 가치를 따지자면 하락할 가능성은 낮다고 봅니다.
근데 주식의 수익률과 비교했을 때 부동산이 압도적 우위가 있을까는 모르겠네요 그리고 벼락거지는 실패가 두려워서 현금만 쥐고 어떤 곳에도 투자 하지 않는 사람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자기가 원하는 수익률을 못 얻었다고 그러시면 안 돼요 크크
21/09/12 12:50
실거래 기준 은마 아파트 2006년 평균가 11억, 2013년 7.4억
타워팰리스 1차 2007년 66평형 33.4억, 2013년 17.1억 정도가 있네요. 물론 표본이 적지만 대장주격인 아파트 가격이 40~50%정도 떨어졌네요
21/09/12 13:05
(수정됨) 개인적으로 이번 정부들어 서울부동산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에 특이점이 왔다고 봐서... 경제위기나 인구문제가 현실로 다가오면 지방이나 gtx호재로 인해 심하게 거품 낀 곳은 분명히 빠질 거라 보지만 서울 대부분, 그 중에서도 특히 강남,서초쪽은 이제 전쟁이나 한반도 멸망급 위기가 아닌이상 안정적인 가격조정만 있을 뿐 금융위기급 급락은 없을 거라 봅니다.
즉 지방이나 수도권 몇몇 지역들은 싸게 살 수 있는 일이 올 가능성이 분명 있지만 서울 주요 지역은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21/09/12 13:12
크게 안 떨어진다고 생각은 하는데 혹시 또 모르죠 크크
나스닥 16000 비트코인 60000 예측한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집값도 혹시 모릅니다.. 와장창 쏟아 내려갈 수도..
21/09/12 13:26
부동산 특성상 땅은 한정되어 있는데 경제는 계속 성장하므로 부동산 시세가 내려가기는 어려워요
IMF사태 같은 큰 위기가 오면 일시적으로는 폭락할 수 있지만 금방 복구되지요 우상향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고 봐요
21/09/12 13:50
서울 알짜배기야 빠지긴 힘들거고
그나마 지금같은 절망적인 출산율 생각하면 결국 빠지긴 할겁니다만 최소 몇십년 후 이야기긴 하죠.. 크크
21/09/12 14:40
현재 출산율로 보아 인구 줄어드는건 예정되있는지라 20~30년 후면 서울 입지좋은곳 빼고는 조정이 올것같네요...
집값이 떨어지긴 할겁니다.. 당장은 아니구요..
21/09/12 16:10
저는 이 의견에 좀 회의적입니다. 국토부 예측에 따르면 현재 흐름이 유지되면 20년 후에 대한민국 인구는 줄어들지만 수도권 인구는 오히려 증가합니다. 지방 인구가 빠지죠. 광역시 부산, 대구, 광주 이런거 상관 없이 서울에서 먼 곳은 전부 쇠퇴하고, 딱 경기도, 충청도는 지금보다 인구가 더 늘어납니다. 국토 개발에 대한 대대적인 충격 없이 현재 상태로 유지되면 이게 대한민국의 미래네요. 대한민국 인구 줄어든다고 수도권 집값이 떨어질까는 저는 의문이네요.
21/09/13 01:07
빠진적은 있습니다 또 분명 빠질수도 있죠
근데 앞으로 서울은 그러기 매우 힘들거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집값이 30% 넘게 빠지는 사태가 일어나려면 집값이 문젠가 싶은 큰일이 났을겁니다
21/09/13 01:28
부동산은 통으로 생각하면 안될 듯 해요.
강남이 언제나 부동산 얘기 맨첨에 나오는 이유는... 여기는 가장 비싼 곳이기도 하지만, 가장 안정적인 곳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지어진 주변 인프라(교육/교통/고소득직장)가 한번에 빠지거나 하는 리스크 같은건 없기 때문이죠 내가 노리는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를 먼저 확인한 다음에 그런 곳에 해당하는 곳의 추이를 보는게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