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2/06 09:01
    
        	      
	 어떤상황인지 모르겠는데, 회사 업무적 상황에서 직원 실수로 무언가 손실이 발생했을때 직원 사비로 손실을 메꾸는 상황은 거의 없다고 봐야죠. 
 
	20/12/06 09:52
    
        	      
	 작성자분이 고객이라면 회사에 배상을 요구해야 하고, 고용주 혹은 같은 고용주 입장이라면 그냥 넘어가는거죠. 막심한 손해일 경우 손해배상 청구 및 해임은 가능할것 같은데 말씀하신 금액의 경우라면...그 회사에 애도를 표합니다. 
 
	20/12/06 10:03
    
        	      
	 제가 고객입니다. 액수가 크면 뭐 사정이 많이 달랐겠죠. 사실 원칙?대로면 회사가 제 손해를 지불하는게 당연하겠죠. 근데 직원의 실수이긴하지만, 좀 사정이 있는데, 직원이 충분히 돈을 낼만한 상황이라 생각해서 전 얘기했거든요. 
 
	20/12/06 10:13
    
        	      
	 감가상각에 대한 기준이 명확치 않으니 상대방이 순순히 주지 않는 이상 입증하기가 어려울 것 같네요
 + 본문에 내용이 너무 부실해서 상황파악도 어렵네요 
	20/12/06 10:21
    
        	      
	 비슷할지 모르겠지만 자동차 사고에서 격락 손해배상해주는 경우가 있는데
 1. 새차 구매한지 2년 안쪽 2. 수리 비용이 차량 가격의 20%를 넘기는 큰 사고 3. 상대방 100% 과실 이 성립되야 배상받습니다. 
	20/12/06 10:24
    
        	      
	 답장 감사합니다. 감가상각에 의한 손해를 격락 손해라고 하는군요. 상당히 까다롭네요. 뭐 과실 0프로 사고로 사고차된다고해서 배상해주진않으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