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4/08 19:38:05
Name 캇카
Subject [일반] 남을 위한 단 한 번의 생각

행위에 대해 평가를 하기 전에 우리는 먼저 어떤 측면에서 행위를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를 정해야 합니다. 같은 행위를 같게 인식할 수 있다고 전제하더라도 (사실은 여기부터가 불가능해보입니다만) 보려는 관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에 따라 한 행위는 올바른 행위가 될 수도 잘못된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변호사가 연쇄살인마의 변호를 맡아 무죄를 이끌어내는 경우에 판단은 판사가 하는 것이고 변호사는 의뢰인의 이익을 극대화하여야 한다는 가치가 더 소중하다고 본다면 그 변호사의 행위는 정당하다고 평가되겠지만, 변호사가 의뢰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문제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면 그러한 변호사의 행위를 비난할 수도 있겠죠. 사실은 이 세상은 수많은 가치가 작용하는 곳이기에 모든 행위에 대해 그것을 정당화할 근거가 하나쯤은 있기 마련이며 반대로 비난할 근거도 하나쯤은 있게 될 겁니다.

문제는 우리가 자신 스스로도 어떤 가치가 더 소중하고 여러 가치가 대립되는 순간에 어떤 선택이 올바르다고 할 수 있는지 잘 모른다는 데 있습니다. 우리는 불편함이나 간절함 등의 필요가 있는 경우에서야 생각하게 되는데 따라서 아쉬울 것이 없는 순간에는 별다른 문제의식을 갖지 않으며 아쉬운 순간에야 문제의식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그 때의 불편함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치 간의 우열관계가 즉흥적으로 정해집니다. 사람들이 스스로의 감정이 정당하다고 믿기 위해 이런 과정을 거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인데 결국은 한 행위에 대해 문제라고 느끼는 사람( 내지는 불편한 사람)은 그것이 왜 문제인지를 보여주기 위해 그 행위를 통해 침해된 가치를 생각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제기에 동의해주기 싫은 사람들은 그 행위를 통해 달성된 가치를 생각하게 됩니다. 문제는 이러한 양식의 싸움이 주제만, 그리고 입장만 달리하여 계속하여 반복되는데도 끊임없이 사람들은 자기가 정당하다고 믿는데서 발생합니다.  

물론 한 개인의 감정은 존중되어야 하고 그 개인이 한 순간에 불편함을 느꼈다고 다른 순간에도 불편함을 느껴야할 의무는 없으며 그렇게 불편함을 느끼는 순간이 자신의 입장에 따라 달라지는 이상 행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 역시 달라질 수 밖에 없을 겁니다. 그렇지만 어떤 가치가 더 우월한지에 대해 합의가 되지 않아 각자가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살아가야 하는 우리 사회에서 적어도 남을 욕하기 전에는 자신의 감정을 정당화하기 위해 곧바로 논리를 짤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선택한 대립되는 가치가 무엇인지 한 번 쯤은 남을 위해 생각해줘야 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는 결국 앞서 말씀드린 사람이 갖고 있는 자기가 불편할 때에 주로 생각하는 특징을 보완하기 위한 최소한의 방안으로 내 감정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만 생각하지 말고 상대방을 비난하기 위해서도 최소한의 에너지를 소요하자는 얘긴데요.  

제가 피지알에서도 논쟁을 하다가 가장 화가 나는 순간은 한 사람을 ‘오히려’ 라는 논리로 비난하는 때입니다. 이는 그 사람의 사고 과정이 1) 자기감정의 정당화에 이어 2-1) 타인입장에서의 고려가 아니라 2-2) 타인을 어떻게 해서든지 비난하기 위한 고려로 이어졌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오히려라는 말은 갖다 붙여 보시면 아시겠지만 오히려라는 말 자체에서 이미 부정적인 가치평가가 결정이 납니다. 우리에게 아주 소중한 행위인 밥을 먹는 행위, 돈을 버는 행위, 봉사하는 행위 등 모든 행위에 대해 오히려가 붙는 순간에- 밥을 너무 많이 먹으면 오히려, 봉사를 하는 것은 오히려~  등 등 스스로의 감정이 정당화되기에 부족한 순간에 오히려를 붙임으로써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비난을 정당화시키는 비겁한 논리구조이기 때문입니다.
타인을 위해 한 번만 더 생각한다면 ‘오히려’가 붙는 것이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가 붙겠죠. 이러한 사고 과정은 너의 행동은 ~~부분이 인정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행위는 ~~가치를 침해한다는 점에서 정당화되기 어렵다. 는 식의 판단으로 이어집니다.

왜 타인을 위해 한번 더 생각해야 하는가.

첫째는 일단 논리적인 부분에서 내가 타인을 비난함으로써 그 불이익을 타인에게 입힌다면 적어도 나도 약간의 생각을 더함으로써 얻는 불이익 정도는 감수해야 타당하다는 것이고

둘째는 스스로가 정말 소중히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이고 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의식할 수 있게 된다는 점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 설명하자면 내가 남을 비난하기 위해서만 생각한다면 동서양 가치가 혼합되어 있고 공동체적이고 개인주의적인 가치가 혼합되어 있는 현재 우리나라 사회에서는 사실 모든 행위는 비난의 대상이 되게 되는데요. 예를 들어 한 사람이 기부를 한다고 했을 때도 우리는 이미지 세탁하려고 혹은 세금 아끼려고 하는 것 아니냐?고 비판이 가능하고 반대로 기부를 안 한다고 했을 때에는 사회에 기여할 생각이 없다고 비판이 가능한데 앞에서의 비판은 개인의 동기측면에서 그 동기가 순수한지 아닌지를 따지는 반면에 뒤에서의 비판은 동기가 아닌 사회의 효용의 측면에서 비판이 들어오기 때문에 사실 이 두 개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는 없는 것이거든요. 그런데 자기가 정당하게 불편하기 위해서만 생각을 해버리면 동/서양적인 가치 중에서 내지는 동기/결과적 측면의 가치 중에서, 개인/사회적 측면의 가치 중에서 스스로가 어떤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를 판단할 수가 없게 됩니다. 그 둘 간의 대립되는 상태가 나타나지 않고 내가 불편한 상황을 해소하려는 순간에 그에 적합한 가치만이 선택되기 때문에요.

요즘 게시판에서 날 선 모습 보여드려 죄송하고.. 저 또한 많이 미흡하지만 서로가 너무 쉽게 다른 사람을 쓰.렉 같다고 판단하여 대립되는 모습을 덜 보였으면 하는 마음에서 글 남겨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알키리
16/04/09 14:53
수정 아이콘
많은 부분이 공감되네요. 특히 자신의 논리가 맞다고 생각할때 가질 수 있는 우월함으로 상대를 짓누르려고 하는 공격성을 내보일때 남을 배려하지.않는 부분이 특히요.
날선 논리로 무장하되 상대에 대한 배려가 있다면 더 생산적인 논쟁이 될텐데요. 하긴 제 자신도 쉽게 흥분하는거보면 아직 많은 공부가 필요한거 같숩니다
멀면 벙커링
16/04/09 19:21
수정 아이콘
선게 보니까 이 글에 왜 답글이 안달리는 지 알겠습니다. 마지막줄은 결국 공허한 메시지일 뿐이네요.
16/04/09 20:18
수정 아이콘
그러게 말입니다. 결국은 싫은 사람은 싫다고 하고 싶은게 사람이니까요.
16/04/09 23:42
수정 아이콘
자기가 이해할수 없는 다름을 용납하지 못하죠.
본인들이 이해할수 없다면 절대악 또는 준불법 취급해버리는게 이 나라의 현실인거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6502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70629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7368 4
105316 [정치] 3분기 GDP 성장률 1.2% '서프라이즈' [27] lightstone3461 25/10/29 3461 0
105315 [일반] 코스피 곱버스 수익률 [69] 신정상화4665 25/10/29 4665 2
105313 [정치] 대미투자 3500억달러 중 현금투자 2000억달러 연 상한 200억달러 [152] 슈터10444 25/10/29 10444 0
105312 [정치] “동명목재 재산헌납은 신군부의 강탈” (2008년 중앙일보 기사) [9] petrus2609 25/10/29 2609 0
105311 [일반] 어제 울산에서 자작곡 발표했습니다. [3] 포졸작곡가2466 25/10/29 2466 16
105310 [일반] 26일 밤 벌어진 게임유튜버 납치사건 전후 사정 [56] 매번같은8106 25/10/29 8106 9
105309 [일반] 2021년 1월과 비교한 2025년 10월 주요자산 상승률 [53] Hydra이야기5168 25/10/29 5168 1
105308 [일반] 쏘니가 겨울에 톳넘으로 복귀하는 환상 소설 한번 써 봅니다. [20] 청둥오리3873 25/10/29 3873 1
105307 [일반] 중고차 판매 및 구매 후기 (헤이딜러제로, 론데렌터카중고) [15] 웅즈4302 25/10/29 4302 6
105306 [일반] 9박 11일 폴란드 여행기 Day 2-1. (data 주의, scroll 주의) [4] 강력세제 희드라2553 25/10/28 2553 3
105305 [정치] 미국의 대통령에게서 낯익은 향기가 느껴진다... [34] 빼사스10155 25/10/28 10155 0
105304 [일반] 아재가 본 체인소맨과 귀멸의 칼날 (약 스포) [40] theo4671 25/10/28 4671 2
105303 [정치] 나경원 "선거 때마다 중도 타령을 해서 우리가 망한다." [206] 전기쥐13451 25/10/28 13451 0
105302 [일반] 런던베이글뮤지엄 직원 과로사 사건 [194] 롤격발매완료12383 25/10/28 12383 13
105301 [일반] 자고 일어나니 재벌그룹이 해체됨 [35] 신정상화10353 25/10/28 10353 23
105300 [정치] 윤석열 "니가 뭔데! 내가 대통령이야!" [175] 코로나시즌12798 25/10/28 12798 0
105299 [정치] 서울 자치구별 30평대 아파트 수익률(CAGR:2006-2025년) 계산 [94] 바람돌돌이6474 25/10/27 6474 0
105298 [정치] '대북송금' 안부수, 규정 어기고 검찰청서 딸과 면회 [11] 베라히6505 25/10/27 6505 0
105297 [정치] 싸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94] Neuromancer12017 25/10/27 12017 0
105296 [일반] [주식] 콩고기의 난 [52] 깃털달린뱀7503 25/10/27 7503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